'일상다반사'에 해당되는 글 1166건

반응형


주행거리 약 9,700km.



엔진오일 교환 이후 약 6,600km 주행. 시기상으로는 두달이 조금 넘지 않았습니다. 대략 이정도에서 오일을 내려주고 이후로는 약 8천~1만km 정도 주행한 뒤 교체를 생각하고 있네요. 보증기간 내에 현대기아 전산에 엔진오일 교환이력이 떠있지 않으면 엔진 수리를 거부한다는 이야기가 돌곤 하는데 사실은 아니라 합니다.


그럼에도 당분간은 보증이 아직 한참 많이 남아있곤 하니 사리고 다니면서 블루핸즈 전산에 이력을 남기기로 합시다.


아니 그 전에.. 며칠전부터 계기판에 공기압이 부족하다는 경고가 자꾸 들어오더군요.



지난 토요일에 세차를 하러 갈 때 부터 뜨던 경고등입니다.


육안상으론 특별히 타이어가 주저앉거나 한 모습이 보이지도 않고요. 다시 공기압을 보충하면 약 25psi 수준에서부터 공기가 들어가기 시작합니다. 그렇게 40까지 채워놓고 한 이틀 지나면 또 반절이 빠져있고요.. 육안상으론 별 문제가 없어보이지만 실펑크가 났음을 짐작합니다.


긴급출동을 부를까 하다가 짜피 오일 갈러 갈 겸 가서 수리를 받기로 하네요.



현대자동차 블루핸즈 신평점


친구가 가는 단골 블루핸즈입니다. 차도 수리를 위해 보낼 겸 같이 가기로 했습니다. 애초에 원체 현대차가 많이 팔려 블루핸즈 간판을 달은 정비소들에 손님이 많은편이긴 하다만 국도변에 위치하여 여러모로 차가 끊이질 않고, 제 차가 리프트에 올라간 순간에도 다른 차가 와서 오일교체를 위해 대기하더군요. 여튼 장사가 잘 되는 그런 블루핸즈입니다.




오일을 드레인방식으로 배출합니다.


약 7,000km 가까이 탄 엔진오일을 배출합니다. 검게 그을린 엔진오일이 쏟아져 나옵니다. 생각보다 꽤 오래 흘러나오더군요. 스파크 대비 약 2리터정도 더 들어가긴 하는데, 흘러나오는 시간은 2리터가 내려오는 시간보다 더 길어진듯 합니다. 뭐 여튼 펑크수리도 해야하니 한참 코크를 열어두었습니다.



다행히 쉽게 보이는 곳에 살짝 박혀있더군요.


그 드릴에 끼워 사용하는 십자피스가 하나 비스듬히 박혀있었습니다. 크게 박힌것도 아녀서 공기압이 한번에 크게 빠져나가는 대신 살살 새어나가지 않았나 싶네요. 당연히 안쪽으로 박혀있으니 육안상 찾기도 힘들었고요. 펑크 수리비는 7,500원이 잡히더랍니다. 


웬만한 타이어집이나 카센터를 가도 만원정도 받는 간단한 수리인데, 지난해 기준으로 사실상 지렁이값 수준인 5천원만 받는 쉐보레가 훨씬 싸지 않나 싶네요.



새 오일을 주입합니다. 

별다른 선택의 여지도 없이 630으로 넣을까요? 에코프리미엄으로 넣을까요 하다가 결정된 오일.


모비스 순정오일의 끝판왕이라 할까요. 타사 차량들도 가져다 넣을정도로 명성이 자자한 가솔린 터보차량용 '메가 터보 씬'이 있다면 디젤에는 저점도 승용디젤엔진오일이라는 이름이 붙은 '에코 프리미엄 디젤 0W30 (ECO PREMIUM DISEL ENGINE OIL 0W30)' 엔진오일이 있습니다.


가격은 블루핸즈 소매가 기준 4만 4천원에 여타 공임 포함 9만원. 품번은 05200-00640


VHVI 기유를 기반으로 점도지수가 상당히 높은 엔진오일인데 조금 비싼지라 같은 가격대에서 선택할 타 브랜드 엔진오일들이 없진 않습니다만, 일단 블루포인트도 10만점 이상 있고 보증기간 내내 사리고 다녀야 할테니 넣어 봅니다.



오일캡을 열고 신유를 주입합니다.


메이커에서도 기존 오일 대비 0.6%의 연비향상을 이룩한 저점도 오일이라는 설명과 함께 구체적인 스펙을 정비일선에 배부했는데 전반적인 평가는 나쁘지 않다고 합니다. 여튼 엔진오일이라는 영역은 운전자의 성향이나 차량에 따라 정답이 없는 부분이니 딱히 왈가왈부 할 필요 없이 내 차에 맞는 규격만 잘 확인하여 넣어주고 제 때 갈아주면 됩니다.


일단 바로 오는 반응은 점도가 낮아지니 훨씬 부드럽고 가벼운 주행이 가능해지네요. 차를 바꾸고는 밟아 조지는 주행을 일절 하지 않고 연비주행을 하고 다니니 점도가 낮다고 크게 문제 될 부분은 없어보입니다. 겨우 몇키로 타고 연비가 좋아졌다 소음과 진동이 줄었다고는 논할 수 없겠지만, 일단 주입 후 첫 반응은 나쁘지 않습니다.


지금 새 오일을 주입했으니 시기상으로 대략 늦은 봄이나 초여름쯤 오일을 내리겠네요. 다음 오일 교환때 구체적인 후기와 함께 다시 찾아뵙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지난 주말 비스토동호회 모임이 배곧에서 있었습니다.


물론 코스는 이전과 동일. 배곧신도시 서울대학교 부지 앞 배곧생명공원에서 모여서 차 한대로 몰아서 대부도 방향으로 들어가기. 항상 모임을 올려도 오는사람은 뻔한 모임이 된지 오래인지라 차 사진도 안찍고 그냥 제 차로 몰아서 시화방조제를 건너 대부도까지 들어갔다 나왔네요.



지난 11월 모임 글과 사실상 코스가 동일합니다.



재앙수준의 미세먼지와 안개로 시야가 그리 좋진 못합니다.


그래도 조금이나마 푸른 하늘이 보이기에 사진으로 남겨놓네요.



종전에는 방조제와 휴게소 그리고 전망대까지 쉽게 볼 수 있었으나 미세먼지의 영향으로 잘 보이지 않습니다.


이게 나라인지 싶습니다. 쪽바리한테 하는 지랄 짱깨한테 반만 하는 모습이라도 보여주던지요. 황해 근처에 발전소와 소각장 공장을 밀집시켜서 피해를 주는 중국 눈치나 보면서 중국몽에 동참한다는 개소리나 하고 정작 할 소리 하나 못하는 주제에, 효과도 없는 애꿎은 서민들 생계형 경유차나 잡아도 아직 지지하는 사람이 많은 모습이 정말 신기합니다. 


전 정권에서는 고등어구이와 삼겹살 탓을 하더니만 현 정부도 자신들의 낙하산으로 장악한 어용 언론들을 이용하여 국내요인으로 돌리고 있습니다. 아니 왜 그러면 대도시 서울보다도 백령도의 미세먼지 수치가 높은지. 국내 총 미세먼지 발생량의 13%를 차지하는 포스코가 소재한 포항은 왜 쾌적한 대기질을 보이는지...


여튼 푸르고 쾌적한 파란 하늘을 보고싶습니다. 



선착장 옆 횟집으로 들어옵니다.


오늘은 대부2호로 들어왔네요. 지난번에 갔던 대부1호는 문이 잠겨있습니다. 서비스로 석화와 피조개가 나오는 이 업소가 서비스는 종전에 갔었던 집보다 훨씬 낫지 않나 싶습니다. 여튼 초등학생 하나와 성인 셋이 광어 1kg에 칼국수 3인분을 주문하여 먹고 왔습니다.





공복이라 조금 부족하게 느껴지긴 했습니다만, 칼국수까지 먹으니 배가 차네요.


여튼 가던 길에 티라이트에서 커피도 한잔 마시고 다시 배곧으로 넘어왔습니다. 사람은 항상 머리를 맞대고 대화를 나눠야 뭔가 성과가 나오곤 합니다. 백날 타자로 두들기고 논의해봐야 확실한 답이 나온 적이 없었네요. 


그동안 머릿속에 구상하고 있었던 내용들을 꺼내고, 그것을 정리하여 완벽한 결과물로 만드는 것. 단톡에서 논의해서는 힘들 결과가 바로 나오는 모습을 보니 속이 다 시원하더군요. 여튼 자주 뵙기로 하고 배곧 주차장으로 돌아와 해산했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