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프로젝트 방치차 티코에 전면 그리고 측후면 썬팅작업이 진행되었답니다.


썬팅집에서 추천해주는 그대로 진행되었다고 합니다. 측후면은 쉐보레 공식 썬팅필름인 V-TECH의 Premium I-COOL 15%. 전면은 존슨 프리미엄 NM15 30%로 진행되었습니다.



체어맨에 비하면 뭐 그냥 장난감 수준인 티코.


근 20년동안 붙어있으면서 사실상 색이 다 바래버린 기존의 썬팅필름이 약품으로도 스팀으로도 떨어지지 않아서 칼로 다 긁어냈다고 합니다. 그런고로 열선은 포기 할 수 밖에 없다고 합니다.



브이텍 로고는 거의 다 지워져있고, 전면유리에 존슨썬팅 로고가 선명하게 박혀있네요.


존슨 하이테크 MN121178300820


NM이 마라톤의 약자라고 합니다. 고급차들도 꽤나 시공하는 티코따위엔 과분하게 느껴질법한 필름이네요. 그래서 그런지 시안성도 꽤나 좋아보입니다. 어짜피 여럿이서 세워둘 목적으로 업어온 차량이라 큰 상관은 없지만요 ㅠㅠ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다시 돌아온 폐교탐방 시리즈.


부실경영 혹은 이사장의 횡령등으로 문을 닫은 대학교를 전문적으로 탐방하는 블로거는 아마 저 말곤 없으리라 생각됩니다. 물론 지금까지도 회자되는 고전짤을 돌고 돌게 만들어주신 그 분들도 계시긴 하다만, 비교적 최근에 이러한 폐교들을 돌아다니는 사람은 저 혼자라 자부 할 수 있습니다.


뭐 제가 올렸던 글에서 같은 시기에 학교 앞 같은 원룸에 사셨던 이웃분들이 댓글로 조우하던 경우도 있었고 여기저기서 폐교들의 근황이라며 불펌되고 있습니다만 가져가셔서 꼭 출처정도는 표기를 해주셨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이 외에도 명신대학교와 성화대학은 수년 전에 직접 방문했었지만, 남은 사진이 없네요. 


여튼 오늘 이야기의 주인공은 논산시 연산면에 소재한 '한민학교'입니다. 한민대학교라고도 잘 알려진 이 학교는 사실 정식 대학이 아니라 4년제 학력인정 학교였습니다. 정식 4년제 대학처럼 홍보를 하다가 시정명령을 받았던 전력이 있고, 여타 다른 폐교들처럼 사학비리로 망해버린 학교라지요.


뭐 다른 폐교들의 경우 주변 대학에서 편입학이라도 잘 받아줬지만, 한민학교의 경우 정식 4년제 대학도 아니던지라 편입학에도 큰 어려움이 따랐다고 하더군요.



논산 초입(논산대교)에서 딱 15km


논산에서 계룡,대전방향으로 1번국도를 타고 가다가 연산면 소재지로 들어오면 한민학교를 알리는 이정표가 보입니다. 2013년 8월 31일자로 폐교된 학교입니다만, 폐교 이후로 약 3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학교의 소재를 알리는 이정표는 굳건히 서 있습니다. 딱히 찾아서 갈 사람도 없는데 말이죠.



평화로운 연산면 소재지 끝자락. 한민학교에 다니던 학생들은 매일같이 드나들던 시내겠지요.


물론 사소한 먹을거리를 사러 나가더라도, 장을 보러 나가더라도 학생들은 버스 아니면 기본요금 이상 나오는 택시비를 지불하고 나갔으리라 생각됩니다. 애초에 정원이 그리 많지도 않던 학교였고 암만 기숙사가 있고 학생들이 있다 한들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했으리라 여겨집니다.



지방도를 타고 양촌면 방향으로 가다 보면 우측에 학교를 알리는 돌간판이 보입니다.


석재 가격이 한두푼도 아니고, 사실상 잘게 부수어 골재로 사용하지 않는 한 재활용도 불가한 품목인데.. 폐교된 학교 치고는 너무나도 깔끔하고 아름다운 돌간판이 입구를 알려주고 있습니다. 간판이 가르키는 방향으로 방향을 선회하면 정문이 떡하니 보이더군요.



"한민족을 안고 세계로"


학교법인 한민족학원이 세운 개신교계열의 학교입니다. 황산벌 캠핑장 홍보용 현수막에 가려져 있습니다만, 하나님이 주인이신 대학이라는 문구도 함게 적혀있다고 하는군요. 보통 폐교된 대학들을 보자면 역사와 전통이 짧고 돈벌이를 위해 남발한 대학들이 대부분입니다만, 한민학교의 경우 대학치고는 나름대로 꽤 오랜 전통을 자랑하는 학교였습니다.


1959년 미국의 선교사가 세운 대전신학교가 모태가 되어 한성신학교라는 이름으로 83년에 4년제 학력이 인정되는 학교로 자리잡은 뒤, 1989년 대전 시내에서 현 위치로 학교를 옮겨왔다고 합니다. 나름 신학과 말고도 다른 학과들이 존재하는 한민학교라는 이름은 2000년부터 사용하기 시작했다고 하는군요.


P.S 차라리 대전에 계속 있었더라면, 학교가 망하더라도 부동산 처분이 용이했을테고 정식 4년제 대학으로 신분상승 또한 가능하지 않았을까..



한민족학원의 동판은 잘 살아있습니다만, 한민학교 부분은 무언가로 가려두었습니다.


옛 아시아대학교처럼 정문만 요 앞에 내려와 있을 뿐, 마을의 진입로로도 활용되는 그런 도로입니다.



그래도 시골 부락이 소재해 있고, 대학이 존재하니 버스가 다니긴 합니다. 


논산시의 316번 시내버스가 이 노선을 운행하는데, 종점인 한민대까지 가지 않고 바로 아래 신양1리 정류장을 사실상 종점으로 보고 휴차합니다. 한민대 언덕배기까지 올라가봐야 아까운 연료와 기사아저씨의 노동력만 손실되고 탈 사람도 귀신 말고는 없는데 말이죠. 가뜩이나 을씨년스러운 분위기의 음산한 학교 앞에서 누가 쉬고싶겠습니까.



학교로 올라가는 길목. 평화로운 들판과 농촌마을이 존재합니다.


어느정도 가다보면 민가와 전답도 죄다 사라지고, 관리가 되지 않아 개판인 산을 구불구불 올라가네요.



열심히 올라왔습니다.


버스정류장은 왜이리 깔끔하게 지어둔걸까요. 사람의 발길이 닿지 않아 이미 덩쿨에 점령된지 오래입니다. 버스를 탈 사람이 있어야지요. 귀신말고 누가 버려진 학교 하나 있는 저 산중턱에서 버스를 타겠습니까.



버스정류장에서 학교까지의 거리도 꽤나 멉니다.


약 300m 이상 내려와야 존재하는 버스정류장. 그 버스마저도 하루에 여섯번 왕복하는게 전부입니다. 막차가 5시인지라, 다섯시가 넘어가면 그냥 뭐 무서운 산길을 걸어내려가던지 택시를 타야했겠지요.



오토캠핑장이 학교 부지 전체를 사용하는 줄 알았습니다만, 입구 근처 일부 부지에 존재합니다.


2010년 로드뷰를 확인해보니 본래는 학교 부지 앞 보도블럭이 깔린 공원이였습니다. 뭐 학교도 사실상 버려지고 누군가에 의해서 캠핑장으로 재탄생되었더군요. 일요일 오후임에도 오토캠핑을 즐기는 사람들이 좀 있었습니다.



캠핑장을 뒤로하고 길을 따라 쭉 올라가 봅니다.


한반도 모양의 돌간판과 관리가 되지 않아 수풀이 무성한 길을 따라 들어갑니다. 사진상으로는 그저 그렇습니다만, 혼자 들어가려 하니 등골이 오싹합니다. 무섭습니다. 카와이한 처자라도 데려왔으면 무서워도 손이나 잡고 들어갈 수 있어 좋으련만 그러지 못하니 혼자 들어가야 합니다.



이게 길인지.. 싶습니다. 보도블럭이고 나무고 잡초고 이미 경계를 잃은지 오래.


계속 이어집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