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국에서는 아무리 이타샤가 늘었다고 해도 바닥이 꽤나 좁아 소속이 다르거나 딱히 교류가 없어도 누가 누군지 어지간하면 다 아니까 그렇다 쳐도, 타국의 이타샤 차주들과 SNS 팔로우를 맺거나 직접 만나는 등의 교류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저 역시 태국과 일본에서 이타샤를 타는 분들과 팔로우가 된 상태입니다. 얼마 전 일본에서 토요타 86에 미사카 미코토 이타샤를 타고 계신 분이 자신이 제작한 스티커를 보내주신다고 하시더군요. 그런고로 스티커를 받을 주소를 알려드렸고, 국제통상우편물로 발송했다고 대략 한달정도 걸린다고 말씀하시더랍니다.


물론 최대 소요기간이 한달이지 가까운 나라인지라 항공편이 아닌 선편으로 보낸다 한들 보름정도면 도착 하는 모양이더군요. 코로나19의 여파로 조금 더 느려질 줄 알았지만 요 근래 일본에서 받은 국제우편물의 도달시간을 보면 오히려 더 빨리 받았던 느낌이였습니다. 발송했다는 연락을 받은 뒤 대략 일주일정도 지난 즈음부터 우체통을 매일같이 확인하니 지난 7월 2일에 우체통에 국제우편물 하나가 도착해 있더랍니다.



SMALL PACKET. 소형포장물. 즉 국제소포입니다.


국제소포인지라 품목표 역시 적혀있었고, 항공우편 스티커도 붙어있네요. 제가 보내드린 주소는 직접 작성하기보다는 그대로 캡쳐하여 스티커로 출력하여 붙여주셨습니다. 편의상 한자와 영어주소를 함께 적어드렸는데, 그래도 별 문제 없이 아파트 우편함까지 도달했네요.



도쿄도 하치오지시의 한 우체국에서 접수되었네요.


도쿄도 외곽에 자리잡은 인구 50만 수준의 위성도시입니다. 팔왕자(八王子)가 더 익숙해서 저는 팔왕자라고 읽네요. 은근 일본 자동차 리뷰에서도 시나가와(품천,品川)만큼은 아니지만 자주 보이는 번호판이고, 그냥 팔왕자라고 부르는게 입에 훨씬 더 잘 붙습니다.


뒷면에는 보내신 주소가 적혀있었네요. 어짜피 저도 출력해둔 스티커를 보내드려야 하니 주소를 알아야 합니다만, 주소 역시 따로 보내주셨네요. 여튼 먼저 이런것도 보내주시고 감사한 마음에 새로 출력하는 스티커들과 함께 작은 선물이라도 넣어드리려 하네요. 뭐가 좋을지는 모르겠지만 말이죠.



일본에서는 오타쿠 씰(オタクシール)이라고 한답니다.


그림이 그려진 스티커들 뿐만 아니라 그냥 다이어리에 붙이는 다이어리 스티커 같은 종류 역시 오타쿠씰이라는 명칭으로 부르는 듯 하더군요. 한국의 이타샤 오너들도 비슷한 스티커를 출력합니다만, 자신의 닉네임과 차량 혹은 캐릭터가 담긴 명함과 비슷한 의미를 가진 '이타샤 명함' 형태의 스티커가 대부분입니다.


물론 저도 그렇지만 가끔 저런류의 스티커도 출력하여 다른 차주들이나 지인들을 비롯하여 여기저기 나눠줍니다만, 특별히 무엇이라 부르는 명칭은 없습니다. 그동안 일본에서 물건을 사서 국제우편을 받아 본 일은 있었지만, 이렇게 개인적인 선물을 받아보기는 처음이네요.


추후 세차를 마치고 자리를 잘 잡아서 붙여주고 준비중인 새 스티커들도 출력하여 보내드려야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티스도리닷컴 새 콘텐츠 초딩일기는...


초등학교 재학 당시 작성했었던 일기장을 펼쳐 당시 있었던 일을 회상하고 여러분께 공유하자는 취지에서 공개하는 콘텐츠입니다. 좋은일도, 그렇지 않았던 일도 있었겠지만 한 시대를 살아가던 평범한 어린이의 일기장을 본다는 마음으로 재미나게 봐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일기장은 무작위로 공개됩니다.


정말 오랜만에 초딩일기를 다루는 느낌입니다. 


한동안 잊고 지내다가 생각이 난 김에 일기장을 펼쳐 스캔을 했습니다. 어떤 가수라 적어놨는데, 가수 김종환의 콘서트에 다녀왔던 일을 남겨놓은 일기입니다. 물론 김종환이라는 가수를 부모님이 좋아하셔서 알게되었지만 지금도 가끔 그 시절 히트곡인 '사랑을 위하여'나 '존재의 이유'같은 곡들을 듣고 2010년대 발표된 곡인 '험한 세상에 너의 다리가 되어'라는 곡도 좋아합니다.


아마 지금까지 공개된 초딩일기 중 김종환의 노래를 배워본다는 내용의 일기를 공개했던 일이 있지 않았나 싶습니다. 이미 알고 있던 노래를 구색맞추려고 썼던 일기인데 그게 7월이고 콘서트에 갔던게 4월에 있던 일이네요.





제목 : 콘서트


나는 오늘 (어디?) 어떤(김종환) 가수의 콘서트에 갔다.

그 곳에는 사람들이 많고, 무대가 꾸며져 있었다. 

나는 위에서 보았는데 다른 가수도 나왔다. 

기타도 치고, 노래도 부르고 사람들이 재밌어 하였다.

내가 좋아하는 노래가 나와서 따라 불렀다.

노래가 거의 다 끝나고 꽃을 주는 사람도 있었다. 

나는 가수처럼 노래를 잘 불러야겠다.


뭐 내용만 놓고 보면 짧고 간단한 일기입니다만, 당시 담임선생님이 일기를 잘 쓰면 일기장에 그려주던 스마일 마크도 그려져 있습니다. 며칠 쓰다보니 선생님이 원하시던 방향의 일기를 쓰게 되었는데, 마지막에 느낀점을 쓰게 되면 거의 스마일마크를 그려줬습니다.


지금같으면 이런 공연의 경우 고대면에 소재한 당진실내체육관에서 개최되었을텐데, 당진실내체육관이 개관하기 전에 있었던 일이라 당진군민회관에서 공연이 열렸다고 합니다. 지역 언론인 당진시대에서 주최한 공연이라 당진시대 홈페이지만 잘 찾아도 자세한 정보와 사진이 나오는군요.


http://www.djtime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071


지금의 당진2동 주민센터 옆. 당시 당진읍사무소 옆에 있었던 당진군민회관은 시승격 이후 건물 노후화로 철거되었고 현재는 당진2동 주민센터 주차장으로 활용중입니다. 먼저 김종환 이전에 나와서 분위기를 띄우던 가수의 공연이 있었고, 이후 김종환의 공연이 있었습니다. 기사 내용에 꽃다발을 전해주던 팬의 이야기도 나오더군요. 아마 제가 따라불렀던 노래는 '존재의 이유'가 아닐까 싶습니다.


가수처럼 노래를 잘 부르는 어른으로 자라고 싶었지만, 노래를 파괴하는 어른으로 자랐습니다.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 아닐까 싶습니다. 저도 노래를 잘 부르고 싶은데 말이죠...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