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짧막하게 보고 지나가 사진이 몇장 없는 차량 두대를 모아봤습니다.


당진의 한 아파트 지하주차장에서 목격했던 97년식 뉴그랜저 2.0과 홍성 광천읍에서 목격했던 구형 코란도 9인승 모델입니다. 물론 둘 다 년식만 놓고 보면 끝물 모델에 해당하는 차량입니다. 이전 올드카 목격담에서도 다뤘던 적이 있었던 차량들이고요. 여튼 간단히 보고 가기로 합시다.



97년에 등록된 뉴그랜저 2.0입니다. 당진에서 발급된 지역번호판이 그대로 부착되어 있네요.


대략 23년의 세월을 버텨왔지만, 그동안 준수한 관리가 이루어져 도장면의 클리어가 벗겨지거나 여기저기 긁힌 흔적은 찾기 어려웠습니다. 현대의 2세대 그랜저이자 미쓰비시의 3세대 데보니어로 현대와 미쓰비시가 공동으로 개발했습니다. 물론 각그랜저에 이어 뉴그랜저도 한국시장에서는 대박을 쳤지만, 미쓰비시의 데보니어는 판매부진의 쓴맛을 보게 되었답니다.



지난 7월에 93년식 뉴그랜저를 목격했던 포스팅을 보고 오시면 이해가 빠르시리라 생각됩니다.



마치 태양을 연상시키는 2.0 전용 15인치 알루미늄휠입니다.


롯데제과의 옛 햇님 로고도 연상됩니다. 지금은 아반떼도 하위모델에나 15인치 휠이 적용되는데, 이 시절만 하더라도 15인치 휠은 큰 축에 속했습니다. 여러모로 크고 길은 차체 대비 마치 수레바퀴처럼 상대적으로 작은 느낌이 듭니다. 지금 기준이라면 형편없는 사양이지만, 당시 기준으로는 고급 휠에 속했습니다.



연비스티커도 살아있네요. 공인연비가 9km/l정도 나오네요.


연비측정기준이 여러번 변경되었던지라 지금 기준으로 따지면 안됩니다. 지금의 측정기준으로 따지자면 6~7km/l대가 나오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여튼 에너지소비효율등급은 4등급이네요.



디럭스(Deluxe) 옆에 3000을 붙여놓았네요.


2세대 그랜저 말년에는 사실상 엔트리 모델인 2.0이 판매량의 대다수를 차지했습니다만, 도로 위에서는 쉽게 볼 수 없었습니다. 레터링을 2.5 혹은 3.0을 붙여놓으니 휠이나 그릴을 보지 않는 이상 다 2.0이 아녔죠. 여튼 이 차는 디럭스는 남겨놓고 3000을 붙여놓았습니다만, 대부분은 디럭스를 떼어내고 2500 3000 3500을 붙이고 다녔습니다.


지하주차장에서 온전히 관리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이 모습 그대로 유지하기를 기원합니다.



그리고 홍성군 광천읍 일대를 지나다 목격한 코란도 롱바디입니다.


후기형인 94년 11월 등록 차량입니다. 뭐 숏바디는 간간히 보이고 지금도 잘 관리된 개체의 모습을 상대적으로 흔히 볼 수 있는데, 롱바디 모델은 상당히 귀합니다. 물론 가끔 보입니다만 복원이라 쓰고 빈티지 튜닝이라 읽는 행위로 인해 보존가치를 상실해버린 경우가 대다수입니다. 상태는 그럭저럭이였지만, 녹색 전국번호판에 순정 상태 그대로를 유지하고 있어 가는 길은 달랐지만 사진으로 남겨놓았습니다.



92년식 소프트탑 모델과 비슷한 시기 출고된 94년식 숏바디 모델 관련 포스팅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요즘 주말마다 시간이 나면 차고를 정리하고 있습니다. 


이 차고로 말하자면 대략 지어진지 50년이 넘었고 사실상 제 잡동사니 창고로 활용하고 있는 공간입니다. 지금은 할머니도 이곳에 살고 계시지 않다보니 그냥저냥 제가 주말에 가서 관리나 하고 자고 오는 수준인데, 근래들어 차고를 정리해야겠다는 욕구가 솟아 지난주부터 차근차근 차고정리에 열을 올리고 있습니다.



처음 상황은 이랬습니다. 차량 정비까지 가능한 도크까지 갖췄는데 창고로 쓰고 있네요.


지난번에 집에서 옮겨왔던 굿즈와 부품들은 안쓰는 방으로 옮겨놓고 이 차고 역시 하나씩 뒤져가면서 놔둬야 하는 물건이나 부품들은 따로 챙겨놓고 폐기할 물건들만 따로 폐기하려고 합니다. 막상 치우다 보니 답이 없더군요. 일단 도크 속에 잔뜩 들어가 있는 목재부터 트럭을 빌려와 치웠습니다.



회사에서 썩다리 트럭을 빌려와 텃밭의 잡초와 목재를 가져다 버렸습니다.


목재는 화목보일러를 태우는 집에 가져다 주니 좋아하더군요. 고철류가 남아있지만 나중에 다른 트럭을 빌려와 치우기로 하고 일단 트럭은 다시 있던 자리에 가져다 놓고 왔습니다. 여튼 지난 주말에 목재를 치웠다면 이번주말에는 잡동사니들을 하나씩 확인해가며 버릴건 버리고 놔둘건 따로 챙겨 방에 가져다 두기로 합니다.



막상 잡동사니를 치우다 보니 이게 나오네요. 쟞지멘토데스노는 영원합니다.


대략 6년 전. 첫 이타샤 데칼 시공 이후 약 보름만에 사고가 나 상대방 대물보험으로 재시공을 하러 비비데칼에 갔을 때 사장님께서 사이즈를 잘못 출력하였다며 가져가라고 주셨던 물건으로 알고 있습니다. 대략 이 당시 시공했던 데칼을 붙이고 2년 가까이 다니다가 사고가 나고 갈라지기 시작하여 당시 검정색 풀랩핑으로 갔었는데, 이거 참 오랜만에 보는 느낌입니다.



벌써 만 6년이나 지난 얘기네요. 이 당시 태어난 어린아이가 올해 우리나이로 일곱살입니다. 참 세월 빠르네요. 창고가 마치 타임캡슐과도 같은 느낌입니다. 물론 예전에도 언급했지만, 이보다 더 오래된 80년대 자동차 부품도 나오고 제가 학교다니던 시절 타고다녔던 자전거의 부품도 대거 나오더군요.



뭐 보존상태가 좋지 않아 부착면에 먼지가 묻어있고 우글거립니다만....


일단 라인까지 살릴수는 없으니 캐릭터만 살려보기로 합니다. 그냥저냥 접착력은 살아있으니 붙이면 붙겠죠.



그래도 날이 아직까지는 따뜻한 편이라 붙기는 잘 붙네요.

다만 차고 문짝 철판이 고르지 못하고 데칼 상태 역시 고르지 못해 가까이에서 보면 그닥입니다.


제대로 붙지 않는 끝부분은 3M 엣지실러를 사용하여 부착합니다. 이거 역시 비비데칼에서 얻어온 물건입니다. 데칼이 뜨거나 갈라지는 문제에 민감하여 오래 보존 할 수 있는 방법을 찾다가 사장님께서 거의 다 썼다고 이거정도면 충분히 쓸거라고 주셨던건데 제 차에도 사용하긴 했지만 그동안 다른차들 데칼이 살짝 벗겨지려고 하는 경우에 이걸로 다시 접착을 해줬던 기억이 납니다.


제가 새걸로 하나 구입하겠다고 하니 사장님도 저 한통을 6개월 사용했다고 그냥 저거 가져다 쓰라고 하시더랍니다. 그래서 가져왔었는데 여기서 유용하게 사용하네요.



애초에 보존 상태가 좋지 않은것도 있지만 막 붙여서 중간에 기포도 생겨버렸네요.


가까이에서 보면 상대적으로 험한 몰골입니다. 그렇지만 6년이 넘는 세월을 창고에 박혀있다가 빛을 보는 기분일테니 좋을겁니다. 뭐 양쪽 면으로 두개가 있어 대칭된 이미지가 하나 더 있는데 그건 다른곳에 붙이던지 아니면 좀 더 놔뒀다가 이 친구가 수명을 다 하면 반대편으로 붙여줄지 고민해보기로 합시다.



씹덕차와 씹덕차고. 조만간 깔끔히 치워서 다시 창고가 아닌 차고로 사용 할 수 있기를 빌어봅니다.


주변으로 벽화까지 그려서 하나의 볼거리를 만들어 볼까 생각했는데 그림 그리는 재주가 없어 그건 금방 포기했습니다. 나중에 페인트나 쭉 칠해주고 말아야죠.



멀리서 보면 그럴싸합니다.


원래 문이 대칭이 맞지 않기도 하지만, 대칭으로 미사카 미코토를 하나 더 뽑아서 붙여줘야할지 고민이네요. 어디까지나 멀리서 봐야 그럴듯하게 보입니다. 가까이에서 보고싶진 않네요.



오늘 차고에서 나온 폐기물들.

플라스틱은 플라스틱대로 마대자루에 담아뒀고 폐기물은 마대 쓰레기봉투에 담았습니다.


자잘한 잡동사니를 하나씩 보고 처리해야하니 시간이 꽤 오래 걸립니다. 그 과정에서 이렇게 데칼도 발견해내고 사놓고 잊고있었던 비스토 부품도 발견해냈습니다. 그래도 이 과정만 지나면 나머지는 트럭을 빌려와 고물상에 가져다 주거나 물청소만 싹 하면 될 건이니 금방 끝나겠지요. 차고를 치우다가 의도치 않게 스티커를 붙였습니다만, 날이 추워지기 전 꼭 창고정리를 마무리 지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