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올드카 목격담에 들어가기는 애매하지만, 이 조합은 상당히 보기 힘듭니다.


출시 이후 대략 보름동안 부착된 뒤 번호판 규격이 변경되어 보기 귀한 녹색 전국번호판 베라크루즈가 이 분야에서는 아무래도 가장 귀한 챠량이겠습니다만, 그에 버금가게 보기 힘든 조합의 번호판과 차량을 꼽자면 지역번호판을 부착한 쎄라토가 아닐까 싶습니다.


녹색 번호판의 베라크루즈는 그래도 여러번 보았던 기억은 있습니다만, 지역번호판을 부착한 쎄라토는 딱 세번째로 목격하게 되는 상황이네요. 기아자동차의 쎄라토는 2003년 11월에 출시되었고 2004년 1월부터 흔히 바보번호판. 칠판번호판이라 하는 녹색 전국번호판이 발급되기 시작하였으니 말이죠.


연말을 앞둔 시점에 출시되었고, 거기다가 번호판 규격이 바뀌는지라 2003년 12월 중순 이후 쎄라토를 출고한 차주들은 졸지에 구형 티가 나는 모습을 보고싶지 않을테니 대다수가 2004년에 등록하여 전국번호판을 받았으리라 생각됩니다. 거기에 전국번호판과 달리 차주가 이사를 가거나, 다른 지역에 사는 사람에게 양도되는 경우 전국번호판으로 교체가 되어 2003년에 출고되었어도 전국번호판을 달고 있는 경우도 많겠죠.


여튼 녹색번호판이 부착되었어도 지역 및 소유주의 변경시 번호판을 바꿔야 하는 의무가 없는 녹색 번호판의 베라크루즈보다 훨씬 더 적은 수의 개체가 살아있다고 여겨지는 지역번호판이 부착된 쎄라토를 보았습니다.



2004년형 2003년 등록. 초기형 쎄라토입니다.


뭔가 녹색 전국번호판으로 흔히 보이던 차량인지라, 지역번호판이 부착된 모습은 낮설게 느껴지기만 합니다. 물론 신차 출고 이후 주인이 단 한번도 바뀌지 않았거나, 주인이 바뀌었다 한들 같은 경기도 지역 내에서 변경되었고 번호판을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가 아닐까 싶습니다. 


여튼 매우 보기 귀한 케이스로, 경기 36. 안양시 지역에서 발급되었던 번호판입니다. 안양시에서 먼저 부여된 경기 35로 시작하는 번호판은 지금도 종종 보입니다만, 경기 36은 2003년에만 잠시 풀렸던 번호대역인지라 쉽게 볼 수 없는 숫자입니다.


뒤 휀다 부분에 약간의 부식은 있었지만, 전반적으로 깔끔한 상태의 흰색 쎄라토였습니다. 현대자동차의 기아자동차 인수 이후 XD 플랫폼으로 처음 개발된 차량이 바로 쎄라토였습니다. 물론 이 당시만 하더라도 기아차는 같은 성능을 지녔지만 편의사양이나 디자인에서 한단계 떨어지는 현대의 아류 느낌이 강하게 느껴지던 시기였습니다. 


물론 이와 같은 의도적인 핸디캡 탓에 판매량도 그리 좋지 못했던게 2000년대 초중반의 기아차였고, 2008년 디자이너 피터 슈라이어를 영입해온 뒤 날렵하고 독창적인 디자인으로 승부수를 띄워 현대의 아류작 취급이였던 기아차가 본격적으로 특색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지금은 동급의 경쟁 차량들과 마찬가지로 중고차 수출 효자품목으로 여겨져 어지간해서는 수출길에 오르고 있습니다. 이는 2003년 출시된 초기형, 2005년 일부 부분변경을 거친 중기형, 2006년부터 포르테 출시 직전까지 판매되었던 싸이가 광고를 촬영했던 후기형 모두 공통적으로 해당되는 부분입니다.


벌써 17년차에 접어드는 노후차량인지라 2020년대를 모두 보내지 못하고 사라지겠지만, 부디 오랜 세월 지역번호판을 부착한 흔치 않은 모습 그대로 잘 달려주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올드카 목격담 범주에 들어가기는 조금 애매하지만, 정말 귀한 차량을 보았습니다. 


1996년 씨에로와 르망의 통합 후속모델로 등장했던 '라노스(T100)'. 새천년을 앞두고 현대에서는 베르나라는 새 모델이 등장했고, 기아에서는 리오가 등장하여  대우는 부분변경 모델인 '라노스2(T150)'를 출시합니다.


부분변경 이후 생기게 된 의미있는 변화는 파워윈도우 스위치가 도어트림으로 이동했고, 센터페시아 커버 판넬이 은색으로 도색되어 나온다는 부분을 제외하면 사실상 전무하다 봐도 좋습니다. 말이 부분변경이지 해치백 모델은 스포츠 범퍼를 적용하는것으로 끝났고, 오늘 목격한 세단 모델은 해치백용 스포츠 앞범퍼와 함께 후미등의 디자인이 무슨 편육 눌러놓은듯한 형상으로 변화했습니다. 


'2'라는 거창한 부기명이 붙었지만 정작 변화했다고 보기 어려운 부분변경은 경쟁력을 갖추지 못했고, 2002년 4월 바닥수준의 판매량을 자랑하며 단종되고 맙니다.



지난 2월에는 해치백 모델을 직접 타고 폐차장에 가지고 갔습니다만, 큰 변화가 없던 해치백 모델이 아니고 어쩌다 하나 보기 힘든 4도어 세단 라노스2를. 그것도 지역번호판이 달린 차를 보았습니다.



마티즈같은 진한 황금색이 아닌, 갈대색 아니 모래색 비슷한 황금색.

마치 편육처럼 눌려있는 노티나는 후미등과 팔자주름을 연상시키는 라인.


그렇습니다. 어쩌다 하나 보기 힘든 라노스2입니다. 육안상으로 보이는 부식도 없었고, 사제휠이 장착되어있는 부분을 제외하면 순정 그대로의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습니다. 2000년 8월에 최초등록된 차량으로, 라노스2 출시 후 얼마 지나지 않은 시점에서 구매한 차량으로 보입니다.



계속 따라갑니다.


생각보다 잘 달려줍니다. 어지간한 충남 및 경기도 지역번호판의 번호만 봐도 발급지역을 단번에 말 할 수 있는 수준이긴 하지만 '경기60'이라는 지역번호판은 그리 많이 접해보지 않아 생소하게 느껴지더군요.


그런고로 어느 지역에서 발급되었는지 알아보니 경기도 연천군에서 발급된 번호판입니다. 경기도 최북단에서 멀리 충청도까지 여행을 온 뒤 다시 돌아가는 길이 아닐까 싶습니다.



고속도로에서도 잘 달립니다.


중고차 수출의 경우 한때 불티나게 나가던 차량이였지만, 현재는 거래 자체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상황입니다. 가끔 수출딜러들이 상태 좋은 차량 위주로 매입을 하지만, 부품용으로 나가거나 팔리지 않아 손해를 보고 폐차장으로 보내는 모습을 보기도 했습니다.


물론 국내에서는 단종된지 18년 가까운 세월이 지났지만, 우즈벡의 ZAZ와 쉐보레 이집트공장에서는 2020년형 모델도 출시되었고 오늘날까지 라노스2를 절찬리에 생산 및 판매중입니다. 일부 편의사양이 추가된 채 이집트와 우즈벡에서는 신차로도 만날 수 있는 차량이지만, 본고장에서는 쉽사리 볼 수 없는 자동차가 취급을 받고 있습니다.


부디 오랜세월 차주분과 함께 잘 달려주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