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번호판'에 해당되는 글 37건

반응형

티스도리닷컴 새 콘텐츠 초딩일기는...


초등학교 재학 당시 작성했었던 일기장을 펼쳐 당시 있었던 일을 회상하고 여러분께 공유하자는 취지에서 공개하는 콘텐츠입니다. 좋은일도, 그렇지 않았던 일도 있었겠지만 한 시대를 살아가던 평범한 어린이의 일기장을 본다는 마음으로 재미나게 봐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일기장은 무작위로 공개됩니다. 


초딩일기라 쓰고 유딩일기를 가져왔습니다.


1999년 12월 12일 일요일에 있었던 일 입니다. 제목은 따로 없지만 그 당시 작성했던 일기 중 가장 많은 분량으로 무려 한장 하고 반. 세쪽을 가득 채웠습니다. 현재는 서해안고속도로를 타고 한시간정도면 서울에 입성합니다만, 약 20여년 전만 하더라도 이 고속도로가 완전히 개통되지 않아 국도를 타고 다녔습니다.


물론 내비게이션의 대중화 역시 2000년대 중후반에 와서 이루어졌으니, 세기말에는 지도책과 이정표. 그리고 신규로 발급되지 않은지 15년이나 지난 지역번호판의 지역을 보고 따라다녔죠.


지금이라면 상상하기 어려운 그런 이야기의 다수가 일기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일기 내용에 오타가 너무 많아 일일히 수정하여 작성합니다.



오늘은 서울에 가면서 예식장에 갈 때 엄마가 운전했다.


삽교천을 많이 봤다.


아빠가 맨날 가는 군포와 둔포가 나왔다. 그리고 먹을 빵을 먹었다.


가는데 아반떼 다음에 또 아반떼가 계속 많이 나왔다.


예식에서 오토바이가 차를 때리고 갔다. 거기에서 너무 더웠다. 


그리고 밥을 먹고 가면서 4:00에 차 불을 켰다. 그리고 밥 고기를 먹고 가는데 소동이 벌어졌다.


이 소동이였다. 아빠가 길을 몰라가지고 경기차들만 따라갔다.


가는데 7시 30분에 충청도에 왔다. 과속카메라가 많았다.


가면서 옆으로 갔다. 아까는 경기차였는데 강원차와 충남차가 달렸다. 


갑자기 비가 왔다. 비가 그쳤다. 우리 차가 남아서 갔다.


일어난 시간은 6시 40분. 대략 집에 들어온 시간은 8시 넘어로 추정됩니다.


누구의 결혼식을 정확히 서울 어디로 갔는지는 명확한 기억도 없고 기록도 없어 알 수 없지만, 서해안고속도로 개통 전 서울행은 지금만큼 쉽게 생각 할 그런 일이 아닌듯 합니다.


지금은 고속도로만 올리면 서울까지 쭉 갈 수 있는데, 이 당시만 하더라도 삽교천을 건너 일일히 국도를 거쳐 올라갔습니다. 지명으로 아산시 둔포면과 경기도 군포시가 나오는것으로 보아 둔포와 팽성 평택을 거쳐 올라가다가 어느정도 서쪽으로 이동을 하지 않았을까 추정만 할 뿐이죠.


당시 아반떼라 하면 구아방이나 린번(올뉴아반떼)일텐데, 약 20년 뒤 아반떼를 타고 있을지 어찌 알았겠습니까. 그렇게 아침 대신 빵을 먹어가며 도착한 예식장은 너무 더웠고, 근처에서 오토바이와 자동차의 경미한 사고가 있었던 것 같습니다.


겨울에 흐린 날씨였던지라 해가 빨리 떨어져 4시쯤 전조등을 켰고, 저녁 역시 내려가며 먹었지만 길을 헤메어 경기도 번호판을 달은 차를 따라갔고, 그렇게 7시 30분에 행정구역상 충청남도에 들어왔답니다.


경기도 차를 따라 달렸고 주변에도 경기도 번호판을 달은 차량들만 있었는데, 충청도 땅에 들어오니 충남 번호판과 강원도 번호판을 달은 차가 함께 달리고 있었답니다. 그렇게 잠시 비가 내리고 그친 뒤 다른 차들은 어디론가 사라지고 우리차만 남아 집에 왔다는 이야기네요.


요약 없이 정말 그 날 있었던 일 전부를 일기라고 적어놓지 않았나 싶습니다. 


고속도로가 없어 국도로 헤메이며 서울에 다녀오는데 하루종일 걸리는 것. 그리고 지역번호판을 보고 그 차를 따라간다는 이야기는 아무래도 일기장 속에 기록된 옛날 이야기가 되었습니다. 


그리 오래된 이야기는 아닌듯 합니다만, 20년동안 세상은 참 많이 변화했습니다. 앞으로 20년 뒤 과연 어떤 모습으로 오늘날을 추억하고 있을까요. 40년 전 이야기를 회상하는 20년 전 저를 보는 미래의 저는 무슨 생각을 하고 있을지 궁굼하기만 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1998년 4월에 출고된 대우자동차의 경승합차 다마스입니다.


1991년 당시 대우국민차가 일본 스즈키社의 2세대 에브리를 라이센스 생산하기 시작하여 지금까지도 판매중인 아주 익숙한 차량이지요. 출시 이후 외관의 자잘한 변경은 두어번. 엔진도 직분사로 바뀌었고요. 


여러모로 자잘한 개선을 거쳐 현재까지 판매중인 차량인데, 지금 판매되는 다마스처럼 외관이 변경된게 2003년 7월 'GM대우' 시절이니 약 16년 전이고.. 원체 약하고 내구성이 떨어지는 차량인지라 오래 굴리지 않고 수출 혹은 폐차를 시키니 구형 모델은 쉽사리 보기 어렵습니다.


그러던 오늘. 홍성의 광천역 근처에서 중기형 다마스를 보았습니다.



동그란 원형 라이트와 영문 'DAEWOO'로고가 적용되었던 완전 구형 모델에서 부분변경을 거친 차량입니다.


1995년부터 2003년까지 판매되었던 디자인입니다. 경기도 지역번호판을 부착하고 있네요. 물론 경형 트럭인 라보는 이 시절 디자인 그대로 현재까지 판매중인 상황입니다. 현재 판매중인 라보와 비교하자면 외관상으로는 안개등정도만 사라졌습니다.



당시 대우자동차 창원공장에서 생산되었던 차량들의 고질병인 천장 클리어 까짐현상 역시 없습니다.


티코도 그렇고 마티즈도 그렇고. 다마스 역시 천장 칠이 까진 차량들을 쉽게 볼 수 있었지요. 특히 빨간색과 파란색 차량에서 유독 칠이 날라간 차량들이 많았습니다만, 이 다마스는 20년 넘는 세월을 견뎌왔음에도 칠이 까지기는 커녕 깔끔하게 광까지 살아있습니다.



실내는 오늘날 생산되어 판매되는 다마스와 별반 다를게 없습니다.


달라진 부분이라면 생선 가자미처럼 생긴 핸들에 대우 로고가 사라졌고, 비상등의 위치와 시트의 패턴. 그리고 계기판까지 전자식으로 변경되었고, 당시 대우차들에 호환되다가 M300 스파크를 마지막으로 승용차에서는 사용하지 않게 된 멀티펑션스위치가 비교적 최근인 2016년에 적용되었습니다.



밴은 아니고 5인승 모델입니다.


시트는 떼어놓은 상태이고, 잡동사니가 가득 담겨있습니다.



대우차 특유의 OK 스티커.


물론 같은 공장에서 생산해내는 쉐보레 차량에도 같은 스티커가 붙어 나옵니다만, 자칭 쉐슬람들도 한국GM도 대한민국 쉐보레차의 뿌리는 대우라는 사실을 극구 부정하고 있습니다. 물론 지금은 대우의 잔재가 많이 사라지긴 했습니다만, 같은 공장에서 같은 직원이 만들어내는 자동차인데 어느순간 엠블렘 바꿔 달고 다닌다고 다른차가 되는건 아니죠.



지금의 스파크 역시 비슷한 바코드가 붙습니다.


DAMAS 5 LIBIG. 리빅(LIBIG)은 당시 5인승 다마스에 붙던 부기명이였지만, 현재는 다마스 5인승 차량에 사용되는 트림 명칭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지금은 단산되어 구할 수 없는 바람개비 휠커버.


함께 생산되었던 티코 그리고 라보에도 이 휠커버가 적용됩니다. 현대처럼 꾸준히 오래된 부품을 생산할 여력이 있는 회사도 아니거니와 그나마 남아있던 재고도 사재기로 인해 자취를 감춰버리고 말았습니다.



데칼도 순정 제치입니다.


가격표를 뒤져보니 슈퍼(Super)에 투톤컬러팩을 추가한 차량입니다. 슈퍼티코라 불리던 컬러팩이 적용된 바디킷이 붙었던 티코처럼 은색과 바디컬러가 어우러진 투톤 모델입니다.



뒤에는 3분할 엠블렘 대신 영문 'DAEWOO' 스티커가 부착됩니다.


리어와이퍼에는 거미줄이.. 범퍼 역시 이리저리 긁힌 부분들이 보이고 후미등 역시 깨져있지만 전반적으로 준수한 관리상태를 보이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조금 바뀐 모델이 생산중이지만, 그래도 자취를 감춰버린 귀한 차량입니다.



그렇게 지역번호판이 부착된 다마스를 뒤로하고 제 갈길을 갑니다.


잔존차량이 거의 보이지 않는 휘발유 모델이라면 훨씬 더 귀하게 여겨졌겠지만, LPG 모델입니다. LPG 출시 이후로는 LPG 모델 위주로 판매되었으니 말이죠. 부디 오랜 세월 수출길에 오르지 않고 주인에게 사랑받으며 도로를 누벼주었으면 좋겠습니다.


P.S 지난해 공주에서 목숨을 걸고 탔었던 2000년 11월식 파란색 다마스가 생각난다. 이 차와 같은 5인승에 투톤컬러팩이 적용된 차량이였는데 잘 가다가 속도가 그냥 죽어버리는 운행이 불가한 상태라 정비소에 던져놓고 왔는데.. 그 차는 결국 폐차장으로 갔을지, 캐리어를 타고 수출단지로 갔을지 모르겠지만 말이다.


▽ 참고

2018/11/12 - [티스도리의 업무일지] - [업무일지] 2000년식 대우 다마스. 주행 중 출력저하 및 시동꺼짐.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