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결론부터 말하자면 오늘 우편으로 자격증이 왔습니다. 뭐 여튼 그렇구요...



생활무전(CB)이나 기지국을 통하는 TRS등의 장비가 아닌 HAM이라고 하는 아마추어 무선설비를 운용하려면 자격증이 필요합니다. 별거 아닌 것 같아도 전문적인 지식을 요한다는 이야기지요. 


동호인들의 취미활동 정도에 국한되어있기는 하지만 통신용어를 알고 있고 무전기를 다룰 줄 안다는건 어디다 써먹어도 좋은 스펙중 하나입니다. 그리고 명색이 국가기술자격증입니다.


기존의 아마추어무선기사 1급부터 3급까지의 자격을 취득하려면 시험을 보거나 교육을 통해 몇과목의 시험만 면제를 시켜주었는데, 10w급 소형 설비를 운용할 수 있는 4급 아마추어무선기사 자격증이 올해 신설되었습니다.


4급 아마추어 무선기사의 특징은 일단 교육만 받으면 됩니다. 교육 후에 시험을 보기는 하는데 점수와 상관없이 이수만 하면 자격증이 수여됩니다. 이후 이쪽에 관심이 있다면 3급 2급등의 자격을 추가로 이수할 수 있습니다.


물론 4급 아마추어 무선기사가 교육만 받으면 자격증을 발급받을 수 있지만, 올해 6월에 신설되었고 잘 알려지지 않은데다가 어디까지나 교육이 각 지역별로 비정기적으로 열리고 있으며 쉽게 확인할 수 없다보니 자신이 발품을 팔아가며 교육 일정을 찾아야만 합니다. 그렇다보니 얼마 안되는 사람들이 모일 줄 알았는데 생각보다 많이 찾아왔더군요..


충남에서 처음으로 열린 교육이 마침 가까운 예산문화원에서 있어서 그곳으로 가게 되었습니다.



조금 늦게가서 늦었으면 어쩌려나 했는데 다행히도 문화원 직원이 늦게 출근해서 문이 열리지 않아 다들 밖에서 대기를 하고 있던 상황이였습니다. 대부분 수렵활동을 다니며 핸디CB를 불법으로 사용하시던 아저씨들이 강의를 들으러 온 청강생들이였습니다.


초등학생이나 중학생정도 되어보이는 학생도 있었고 저처럼 젊은사람도 몇명 보이긴 했습니다.

근데 대부분은 무쏘 렉스턴 갤로퍼 이런차 타고 사냥다니시던 아저씨들입니다.



가져온 반명함판 사진 두개와 함께 접수원서를 작성해서 제출합니다.


미리 접수비를 내고 온 사람들 먼저 접수를 시작했고, 현장접수와 함께 접수비를 내는 사람들은 이후에 접수가 진행되었습니다. 물론 접수서류는 이름과 주민번호등의 신상정보 직장등을 적어 내면 됩니다.



대부분이 수렵활동에 쓰이는 차량들입니다. 

가끔 저처럼 CB를 달고 다니는 사람들도 보이곤 합니다.



문화원 문이 열리지 않아서 접수를 포니픽업 트럭에서 하게 되었습니다. 


사람들이 몰려있는 구역이 접수하는곳입니다. 주변지역이나 멀리서 버스를 대절해서 온 경우도 있었습니다. 대부분이 무리로 왔고 저처럼 혼자온 사람들은 얼마 되지 않았습니다.



접수를 하면 강의교재와 함께 몇몇 서류들을 줍니다.


아마추어무선기사 강습교재와 함께 개인정보 활용동의서 영수증 그리고 아마추어무선연맹 잡지입니다. 4급 무선기사 신설과 함께 방통위와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에서 이런 교육업무를 진행하려 했지만 아마추어무선연맹층의 요청으로 무선연맹에서 강의를 진행중입니다.



강습시간은 8시간. 얄짤 없이 제시간 다 채웁니다. 교육비는 좀 비쌉니다


한국아마추어무선연맹 예산군지부에서 주관하다보니 계좌도 그렇고 자격증 우편발송업무까지 예산지부장님께서 관리하시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그리고 이상한 숫자와 영어가 조합되어있는 문자는 콜사인입니다. 무선국 개설 승인고 개국을 해야 부여가 되는 하나의 부호죠..



그리고 무선연맹의 여름 잡지입니다. 읽어볼만 합니다.


고등학교에 HAM 동아리가 있는 경우도 있고, 대학교에도 이러한 동아리가 있는 학교가 여럿 되는걸로 알고있습니다. 제가 다니던 학교에는 없었지만, 작은 무전기 하나만으로도 전 세계의 수많은 사람들과 송신이 가능하다는게 참 신기합니다.



강의 시작전 강사님 소개를 하는 시간이였습니다.


이날 강사로는 아마추어무선연맹 충남지부 전임 회장님께서 서주셨습니다. 책 한권을 하루만에 핵심만으로 마스터를 시켜주셨던 분이십니다. '전파법' '통신보안' '무선기기 취급방법'등 세 분류로 나뉘어진 위에서 봤던 녹색 책이 강의교제였습니다.



밥먹으러 나오면서 찍은 사진입니다.. 근처에 예산 시장이 있다보니 밥먹을곳은 많았습니다.



오랜 세월 굴러다니는 포니픽업입니다. 깔끔하게 올도색도 했고, 일단 번호판도 구형 지역번호판입니다. 저 번호판 하나만으로도 큰 가치를 가진 차량입니다..



그렇게 교육은 점심시간 한시간을 제외하고 6시까지 진행되었습니다. 


교육이 다 끝난 뒤에는 테스트가 진행되었고 부담없이 테스트를 마친 뒤 각자 집에 가기만 하면 됬지요. 여튼 자격증도 왔으니 핸디 하나 알아봐서 곧 개국신청을 해야겠습니다. 아마추어 무전에 관심이 있으시다면 여러분도 한번 도전해보십시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비스토를 상트로로 만들어봐야겠다는 생각에 상트로 차대번호를 뒤져서 찾아 낸 뒤 WPC에 집어넣어보니 조회가 되기는 됩니다. 한글로 아주 잘 나옵니다. 참고로 상트로는 현대차 인도공장에서 생산되는 인도 국민차의 이름입니다. 인도에서 현대차가 입지를 굳히는데 큰 역활을 한 차량이지요..


초기 아토스부터 시작해서, 비스토 디자인 그대로 나오다가 2004년 이후 클릭 라비타와 비슷하게 생긴 차량이 지금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물론 i10도 출시되고 EON도 출시되어 지금 현대차 인도공장은 다양한 차종을 생산하고 있지만, 상트로 한대만 생산하던 시절도 있었지요...


이러한 상트로는 인도에서 만들어집니다. 국내에서는 노조탓에 판매가 불가능한 차종이지요.

아토스-비스토-상트로-모닝(SA)-이온(EON)까지 그 계보가 이어집니다. 


EON은 최근 출시된 현대차 인도법인의 800cc급 엔트리 모델입니다. i10 모닝보다 더 작은 차량이지요.. 물론 상트로는 아직 인도에서 좋은 평가를 받고 잘 판매가 되고 있지만, 이러한 상트로를 베이스로 하여 모닝보다도 작은 차를 만들어낸게 이온입니다.(아토스 비스토와 휠베이스도 같고 사실상 껍데기만 다른 차로 계보가 이어져옵니다.)



최근 판매중인 상트로입니다. 퀴퀴한 회색 내장재를 탈피하고 초콜릿색 투톤으로 다시 태어났습니다.


개인적으로 핸들이 마음에 들어서 핸들 품번을 따 두었고, 국내 모비스 부품점과 본사에 문의해 본 결과 해외에서 생산되고 내수로 전혀 들어오지 않는 부품의 재고는 파악이 되지 않는다고 하더군요. 결국 인도 구매대행 업체에 문의를 하게 되었지만 생전 처음 다루어보는 물건들이라 좀 조사를 해 봐야 한다고 합니다. 과연 상트로 부품들을 구해올 수 있을지 궁굼하네요..



상트로 부품은 아주 잘 WPC에 뜹니다. 그것도 한글로요....


인도에서 생산되는 상트로 차량의 스펙까지도 아주 자세하게 뜹니다. 물론 대다수의 부품들이 가격이 뜨지 않는데 가끔 쉽게 구할 수 있는 볼트나 국내 아토스 비스토에 호환이 되어서 국내에서 생산하는 부품들은 부품과 같은 사양의 부품이 들어가는 경우 가격까지도 뜨고 구할 수 있다는 표시가 나옵니다..


과연 상트로 부품들... 들여 올 수 있을까요? 상트로 부품 구하기 프로젝트는 계속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