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랫만에 합덕 사진들좀 풀어보려 합니다. 뭐 합덕이라는 동네 자체가 그닥 활기 있고 번화한 동네가 아니라 조금씩 침체되어가는 그런 동네이다보니 참 조용하고 또 조용합니다. 


시끄럽다면 합덕역 주변으로 온갖 기획부동산에 투기꾼들이 나서서 별 말도 안되는 개소리로 역세권에 투자하라며 광고하는것 말고는 딱히 시끄러울 일도 없는 참 조용한 동네입니다. 물론 역이 들어온다고 하더라도 그 주변이 시내로까지 발전하기는 하루 이틀 일도 아니고 희박한 가능성과 함께 배후 주거단지를 비롯하여 시내의 중심이 옮겨올 확률 또한 매우 적으며, 그런 사탕발림에 혹하는 분들은 없으리라 생각됩니다.


작년 이맘때로 기억하는데 합덕역 관련해서 뜬구름 잡는 사람들한테 좀 쓴소리좀 해주니 뭐라뭐라 인격모독까지 하던데, 장문의 댓글로 헛구름좀 조금 치워주곤 했네요.



흔히 행정리상 신촌이라 부르는 곳에 위치한 삼거리입니다.


정확한 법정동으론 합덕읍 대전리이기는 하지만, 신촌초등학교 근교의 신촌이라 부르는 그곳입니다. 

뜬금없는 서울이 왜 써있는지는 모르겠습니다. 서울까지 100km는 가야 나오는데 말이죠..


그렇게 합덕방죽 부근으로 나와봅니다. 이쪽은 최근들어 공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합덕방죽 복원공사라고 시작했던 시기가 2008년. 2008년생이 초등학교에 입학하는 2015년...


기존 방죽의 절반 이하 수준으로 그저 그런 저수지를 만들어 두고, 그 주변으로 주차공간을 확보한다는 계획을 어디선가 본 것 같습니다. 뭐 볼게 있어야 사람들이 구경을 오고 그럴텐데 주차장만 넓적하니 만들어 두면 화물차 주차장이나 주변 학생들 탈선의 장소 말고는 뭐가 되련지요..


평범한 논바닥과 구불구불하게 이어진 농로가 인상적이였던 이곳도 가정집 두채가 사라지고, 논을 매꾸어 탄탄한 대지가 되어버렸습니다. 그리고 저 멀리 보이는 서야의 새 체육관..


P.S 저 체육관 이름이 무엇이였는지 기억은 나지 않습니다. 졸업 한 다음에 준공된 건물이니깐요. 다만 저 체육관 개관과 관련하여 권력을 가지셨던 분들의 분투가 있었다고...



뭐 방죽에 연잎도 다 떨어졌고.. 지나는 사람 없이 휑합니다. 이런곳에 얼마나 많이들 찾아올까요.


이번엔 오랫만에 소들공원에 가 봅니다. 합덕이라는 동네에 공원이 생긴지도 어언 20년 가까이 흘렀네요. 생긴지 얼마 되지 않았을 적엔 소들공원에서 미술학원 그림 전시회도 했었고, 컬쳐쇼크급 놀이기구도 많이 있어서 자주 놀러갔었는데 말이죠.. 그렇게 초등학교를 졸업하고 중 고등학교를 넘어 성인이 되어있습니다.



소들공원 팔각정입니다. 2층으로 올라가면 합덕 시내를 한눈에 볼 수 있지요.


어릴적엔 계단 올라가기도 힘들었는데, 크고 나니 그닥 높지도 않아보입니다. 초등학교 1학년때로 기억하는데 정확히 어떤 이유에서인진 몰라도 소들공원 팔각정 위에 올라와서 단체로 쉬었던 경험이 있었습니다. 갑자기 그때가 생각나네요. 벌써 15년은 지난 이야기입니다.



초등학생때는 집으로 가는 루트에 이곳이 포함되어 있었기에 자주 지나다녔습니다.


이사를 가고, 이쪽으로 거의 올 일이 없어져서 거의 온 적이 없었지요. 그래도 예전보다는 시설도 많이 나아졌고 운동기구도 많아졌습니다. 합덕 시내에 별 변화가 없어보이지만, 미세먼지는 둘째치고 나뭇가지가 많이 자라 시야를 방해할 정도로 나무도 많이 자랐습니다.



한때 차가 올라오지 못하게 막아두기도 했었는데.. 


차가 올라가지 못하게 막아두었던 돌을 어느 누군가가 차량으로 박아서 부순 뒤로는 차들도 자유로이 올라갔었습니다만, 아예 공사를 새로하면서 차량도 올라갈 수 있게 열어두었습니다.


저 언덕에서 썰매를 탔던 기억도 납니다.



앞으로는 나름 시내가 펼쳐져 있는데, 뒤로는 그냥 평범한 시골마을입니다.


사방팔방 다 볼 수 있는 명당자리임에는 분명합니다. 운동기구들도 보이고 살짝 게이트볼장 지붕도 보이네요. 소들공원이 위치한 산 이름은 '갈매기산'입니다. 


역시나 초등학교 1학년 때, 코넷으로 인터넷에 접속하여 라이코스에 합덕초등학교를 검색해보고 '합덕초등학교 뒷산은 갈매기산이다'라는 제목의 웹문서를 접하곤 처음 알았습니다. 이후 나중에 가서 배우게 된 학교 교가에도 '갈매기 산 허리에 새싹이 튼다'라는 구절이 있더군요.


산이 3자를 엎어놓은 갈매기 모양으로 생겼고, 오래전 이 산과 합덕읍 운산리 일원에 소나무로 가득했었는데 그시절 갈매기를 비롯한 온갖 새들이 둥지를 틀고 살았었다고 합니다. (링크)



가까이 보이는 소들공원 화장실과 저 멀리의 합덕초등학교.


오래전 일제는 이 갈매기산에 신사를 세웠다고 합니다. 아직 당진의 남산에는 '당진신명신사' 명의로 남아서 정리가 되지 않은 토지가 있지만, 서류상의 토지 정리도 다 되어 있고 그시절 흔적은 찾을 수 없는 공원이 세워져 있습니다. 


1920~30년대에 합덕읍 운산리 일대의 토지를 대거 소유했던 일본인 타카하시 쇼이치로(고교정일)도 과연 이런 합덕을 상상했을까요. 한 때 전성기를 지나 지금은 조용하지만, 제 2의 부흥을 꿈 꾸는 합덕에는 투기꾼들을 제외한다면 각자 자신의 맡은 바 성실히 임하며 평화롭게 살아가고 있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29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티스도리닷컴(tisdory.com)이라는 도메인을 사용한지도 벌써 5년이 되었습니다. 


1년 혹은 2년 단위로 한번씩 도메인 사용기간을 연장해주곤 했는데, 올해도 어김없이 도메인 사용계약을 연장해줘야 하는 시기가 찾아왔더군요. 평소같으면 도메인 사용기간이 한참 남았을 적에 연장신청을 해 두곤 했는데, 올해는 조금 늦었습니다.


기존 티스토리나 포털사이트에서 제공해주는 1차 도메인 대신에 블로그에 2차 도메인이라고 하는 자신만의 도메인을 사용하시는 블로거분들이 많으리라 생각됩니다. 가장 유명한 웹 호스팅 및 도메인 등록 대행업체인 가비아도 있고 아사달이나 후이즈 등을 이용하는 분들도 많이 계시지요. 저는 5년째 호스팅케이알(hosting.kr)이라는 사이트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호스팅kr의 메인 페이지(http://hosting.kr/index_new.jsp)


한 때 신규 도메인 등록비가 최저라고 광고를 많이 하던 곳인데, 기존 도메인 연장하는 비용은 할인이 되거나 하는 경우는 없더군요. 그래도 기관이전을 하게 된다면 과정이 복잡하니 그냥저냥 남아있습니다.


그동안은 크게 관심있게 보질 않았는데 인터넷 좀 하는 사람이라면 한번쯤 이름을 들어봤을법한 운동화 및 스포츠용품 쇼핑몰에서 시작한 벤쳐기업인 '메가존(주)'에서 운영중인 서비스더군요..




티스토리 블로그를 시작한게 2009년 12월 19일

그리고 티스도리닷컴 도메인을 구매한게 2010년 1월 19일입니다.


딱 한달만에 큰맘먹고 도메인을 질러서 1년씩 2년씩 연장을 해 온 결과 오늘날까지 오게 되었다는게 어찌보면 신기하기도 하고 생각보다 별건 없지만 오랫동안 롱 런 하고 있다는 사실이 자랑스럽기도 합니다. 뭐 도메인에 대해서 명의가 바뀌는것도 아니고 하니 그냥 결제만 해 주면 됩니다.



2년에 21,560원, 1년에 만원꼴로 도메인에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사실상 포인트는 모여봐야 몇년에 한번 결제하는 수준이라 크게 도움이 되거나 활용을 해 본 적은 없다만.. 언젠가는 포인트를 사용하여 도메인 비용을 조금이나마 줄일 수 있는 순간이 오겠죠.


그냥 결제만 해 주면 됩니다. 요즘 도메인 구매 및 연장이 상당히 쉬워졌습니다. 다만, 결제를 위해서 익스플로러로 갈아탑니다. 말이 액티브-X 없앤다고 할 뿐이지 도로아미타불로 다른 보안프로그램 설치하라고 하는 거지같은 대한민국 인터넷 환경을 규탄합니다.



카드 결제를 하는 와중에 익스플로러가 튕기는군요..


그래도 인내심을 가지고 기다려서 결제를 마쳤습니다. 사실상 결제만 된다면야 즉시 연장이 되어버리니.. 딱히 기다리거나 할 필요도 없습니다. 그냥 도메인 정보만 한번 검색해보면 되지요.




expiration date가 19-jan-2017 


즉, 2017년 1월 19일까지로 도메인의 사용기간이 2년 연장되었습니다. 앞으로 2년동안은 딱히 도메인에 신경 쓸 일 없겠군요. 2년 후에는 과연 어떤 일을 하고 있을지... 궁굼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29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