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4월에 최종적으로 준공까지 끝났습니다. 슬슬 입주하는 세대들이 보이기 시작하더군요.


이사를 갈지 세를 놓을진 아직 모릅니다. 저라도 혼자 가서 살고싶지만 여튼 그럴 여건이 안되는군요. 거리도 거리고 다락방을 포함한다 쳐도 면적이 썩 넓은 편이 아니기에 당장에 이사를 할 건 아니지만 준공 후 처음으로 아파트를 방문하게 되었답니다. 


전용면적 22평형의 좁은 아파트입니다만, 다락방 면적을 약 5~6평정도 잡고 생각한다면 그냥저냥 좁지만은 않은 공간입니다. 구조가 어떤지 구경이나 하고 가시라고 올려봅니다.



발코니 확장이 기본으로 적용된 아파트지만 그래도 비좁은 거실


쇼파같은걸 두기엔 상당히 부담이 가는 면적입니다. 지금 사는 집도 전에 살던 집에 비한다면 상당히 좁다고 느껴지는데 확실히 평수 차이가 느껴지긴 합니다. 



안방 내 드레스룸과 안방 화장실.


집도 좁은데 드레스룸 대신 주방 공간을 더 내주던지 했으면 어떨까 싶네요. 안방 화장실에는 비데까지 기본적으로 달려있습니다.



거실에서 바라본 전경


방에서 바라본 현관.


기본적으로 붙박이장은 아니지만 옷장이 하나씩 있습니다.



원목으로 이루어진 계단입니다.


여느 아파트나 마찬가지로 계단이 협소하고 가파른 편이기에 냉장고같은 큰 물건을 들고 올라가기엔 불가능한 구조입니다. 뭐 그런 물건을 놓을만한 공간도 없구요. 참고로 옥탑방 바닥엔 전기판넬이 깔려있습니다.



옥상에서 바라본 전경.


사실상 다락+옥상의 사용이 가능한 부분입니다. 고기를 구워먹어도 좋고, 화분을 놔두는 등 충분히 써먹어도 꽤 남아도는 공간이 아닐까 싶네요.


다락방의 작은 발코니.


이 방은 프로젝터 하나 설치해두고 영화관으로 만들면 제격입니다.

 

주방. 좁긴 하지만 ㄷ자형으로 갖출건 다 갖췄습니다.



옥상에서 바라본 전경. 멀리 LH 아파트까지 보입니다.


높아서 전망은 좋습니다. 앞으로 5년 후, 그리고 10년 후의 사진과 오늘날의 사진을 비교해 본다 하면 무언가 달라진게 눈에 띄겠죠. 내포신도시의 무궁한 발전을 기원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용산 전자상가에 잠시 따라갔다가 졸지에 핸드폰을 바꾸고 왔습니다. 


기존에 사용하던 노트3 네오가 발적화로 인해 여러 오류가 일어나는 현상이 잦았고, 바꾸면서 알게 된 사실이지만 카메라 모듈도 맛이 갔다고 합니다. 이래저래 나진상가를 지나가던 도중 핸드폰 가게에 호객에 이끌려 영업점에 들어갔고 결국은 혹해서 핸드폰을 바꾸게 되었답니다.


G5 것도 핑크로 가져왔습니다.

배터리 일체형 핸드폰처럼 보이지만, 배터리가 안에서 쏙 빠져나오고 쏙 들어갑니다.



구성은 참 단순합니다.


조그마한 핸드폰 박스 하나에 기기 본체. 나름 LG의 플래그쉽 기기임에도 기본 구성엔 배터리도 하나 들어있지 않습니다. 초기 구매자들을 위한 프로모션 이벤트로 배터리팩과 카메라 모듈을 지원해 줄 뿐이지 그 이후 구매자들한텐 일절 없다는 이야기겠죠.


그동안 뻘짓하던 헬쥐가 모처럼만에 역작을 만들어 갓쥐로 칭송받기에 힘좀 실어주고자 구매를 했답니다. 삼성폰이 질렸고 예전만치 특성이 없는데다 비싸기만 한 것도 이유라면 이유가 아닐까 싶구요.



요즘도 광고를 열심히 때립니다만.. 이벤트도 다시 하고 LG가 힘든가 봅니다.


자동차가 나오는 영화에선 꼭 볼 수 있는 익숙한 영화배우 제이슨 스테이섬이 1인 다역으로 출연하고 배경음악으로 파돌리기송이 깔려나옵니다. 사실 파돌리기송이 아니라 그걸 또 리믹스한 'Everybody move'라는 곡이 수록되었답니다.



구성이래봐야 뭐 별거 없습니다. 


퀵 가이드라 불리는 간단한 설명서.

충전기와 USB 케이블과 웬지 B&O 이어폰 팔아먹으려고 저렴한걸 넣은 듯 보이는 번들 이어폰.

USB 3.1이라 불리는 C타입의 단자가 채택된 만큼 변환젠더와

아이폰처럼 유심칩이 들어가는 카드트레이를 뺄 수 있는 핀까지도 함께 들어있답니다.


삼성의 역작 갤럭시S7은 기존의 마이크로5핀을 채택했지만, 앞으로는 C-Type이 대세가 될거라 하니 헬쥐라 불리던 엘지가 삼성의 플래그쉽 기기에 비해 앞서는 부분도 이래저래 보입니다.


마치 2인자 체어맨이 eq900보다 나은 편의사양이 있다는 이야기 같은건데 넘사벽이라 비유대상이 아니구나


모듈에서 배터리 빼기 참 힘드네요.


배터리 교환이 용이한 노트3 네오도 그냥 배터리 하나만 가지고 쓰면서 이벤트로 받은 보조배터리는 사용도 하지 않고 얼마전에 팔아먹었는데.. 아마 이것도 그리 쓸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배터리에 달린 갈고리로 모듈에 끼는 형태기에 혹여나 모듈이 부러질까 싶어 배터리 빼기가 웬지모르게 무섭더군요.


기본 모듈은 그냥 단순함 그 자체입니다.


모듈이래봐야 사실상 배터리 커버나 다름없는 물건이기에 딱히 구조가 특이하다거나 그래보이는건 없더군요. G5 프랜즈라 하는 다른 모듈들은 어떨지 봐야 압니다.


배터리 탈부착도 의외로 재미나더군요.


특이점이라면 기기의 일련번호가 뒷면에 그냥 보란듯이 붙어있습니다. 무상으로 증정해준 젤리케이스를 끼고 다니면 그냥저냥 바로 노출이 되겠지요. 그래도 16년 5월에 제조된 따끈따끈한 제품에 일련번호가 15만번대에 찍혀있으니 아무대로 기분은 좋습니다.


P.S KT모델만 15만대가 나갔다는 건데.. 의외로 많이 팔리진 않은 듯..



그럼 잘 써봐야죠.


보급형 기기와 함께한 2년은 정말 힘들었습니다. 암만 썩어도 준치라고 회사에서 사활을 걸고 만든 플래그쉽 기종과 이래저래 저렴한 가격에 풀어버리는 보급형 기종은 작은것도 분명한 차이가 있겠죠. 그런고로 아무리 오래되도 비싼 핸드폰은 그 값을 한답니다. 갤럭시S2를 3년 넘게 써오면서도 느꼈으니 말이죠. 오래오래 잘 써보고 앞으로 당분간은 핸드폰 바꿀 일 없이 조용히 짜져서 살아야겠습니다.


미러링크 기능도 지원하니 네비게이션 역시 올인원 오디오와 연동해서 사용 할 수 있고 말입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