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물론 개꿀탁송도 나름대로 성업중이고 고정적인 거래선도 많이 생겼지만 변화를 필요로 했습니다.


근래부터 전업에서 부업으로의 변화가 필요함을 느꼈던지라 괜찮은 시간선택제 혹은 5일제 일자리가 있다면 겸업을 하기 위해 워크넷에 이력서만 올려놓곤 했는데 노동청에서 연락이 왔습니다. 일본에 가 있었던 마지막 날에 연락이 와서 대수롭지 않게 넘겼지만 다음날 다시 연락을 해 보니 지금 살고 있는 지역에서 한 건설회사 사장님의 기사가 필요하다는 구인공고가 올라와서 주선을 해준다는 이야기였더군요.


조건은 주 5일에 최저임금을 받는 조건인데, 사장님을 모시는 운전 이외의 업무가 없다는 점. 그러니까 실질적인 업무시간은 상당히 적다는 부분이 매력적으로 다가왔습니다. 틈틈히 비는 시간에 그동안 굳은 머리 좀 살려보고자 책도 좀 읽고 자격증 공부도 해 볼 심산이였거든요. 일단 오늘부터 가볍게 약 600여장정도 되는 근현대 단편소설 모음집을 가지고 나와 틈틈히 읽고 있습니다. 업무에 적응도 하고 가벼운 책을 읽는 것으로 시작 할 겸 말이죠. 


지사업무야 콜센터가 수발 다 해주고 제가 다른일을 겸하고 있더라도 크게 문제가 될 일은 없구요. 일찍 일을 끝내는 날이나 금요일 혹은 주말에 필드로 나가는 탁송기사가 되어도 문제 될 일은 저언혀 없으니 말이죠. 지사수익과 필드에서 기사로 버는 돈으로 생활하고 월급을 받는 돈은 모을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월요일부터 출근을 하려 했지만 미리 할머니 병원 예약을 월요일에 잡아두었던 터라 화요일 즉 오늘부터 출근을 하게 되었습니다.


 

배정받은 차량은 렌터카 번호판의 하얀색 그랜져 IG.


뭐.. 수십년 전에야 그랜져라 하면 완벽한 부의 상징으로 통했지만 지금의 그랜져의 위상은 과하지도 않고, 중산층을 대표하는 적당한 수준의 자동차입니다. 깡통옵션의 까스차라지만 운전자도 탑승자도 나쁘지 않고요. 사장님도 꽤 젊으시고 그리 권위적이지 않으신 좋은 분이라 일 하는데엔 큰 문제는 없으리라 생각됩니다.



미리 연락이 된 렌터카 사무실에 방문하여 차량을 직접 인수하여 왔습니다. 


이제 갓 2년 된 하얀색 그랜져인데, 주행거리는 겨우 2만 6천km 수준입니다. 엔진오일을 교체하고 약 3km를 타고 왔다 하니 3만 6천km정도 타고 정비를 위해 다시 렌터카 사무실을 찾으면 되겠습니다. 물론 사장님께서는 사정상 운전대를 잡지 않으실 예정이라 줄 곧 제가 운행을 하게 될 예정입니다.



제 삼각떼를 타고 렌터카 사무실에 가서 그랜져를 가져오고, 다시 렌터카 사무실에서 삼각떼를 끌고왔습니다.


하얀 그랜져는 업무시에만 운행하고 사장님 댁에 세워놓기로 합니다. 출근이야 킥보드를 타던지 제 삼각떼를 타고 다니던지 하면 될 일이니 하얀 그랜져를 타고 지인분들을 뵐 일은 없을 듯 합니다. 뭐 여튼 당분간은 월급쟁이와 전국구 탁송기사를 병행 할 예정입니다. 모처럼만에 느끼는 새로운 시작입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약 2시간의 지연. 도합 세시간을 손해보고 도착한 후쿠오카 국제공항.



비행기에서 내린 뒤 버스를 타고 공항 건물로 이동해야만 합니다.


물론 저상버스가 항공기와 공항 건물까지 승객을 안전히 태워다 줍니다. 일본 전국을 놓고 봐도 꽤 큰 규모를 자랑하는 니시테츠(Nishitetsu) 그룹 소유의 닛산디젤 - 스페이스 러너 저상버스가 움직입니다.



버스를 타지 못한 승객들은 꼼짝없이 대기합니다.


아 물론 버스 한대가 떠나더라도 뒤에 바로 버스가 대기하고 있어 큰 불편은 없습니다.



우리의 닛산디젤 스페이스 러너는 후쿠오카 국제공항을 활보합니다.


물론 잘 밟아야 30~40km/h 수준의 속도이지만, 초 저 RPM으로 4단까지 마지막에는 5단가지 변속했습니다.



말 타는 수준보다는 조금 높은 수준으로 매우 정숙하게 주행합니다.


그렇게 버스기사 아저씨와 작별을 고하고 입국수속을 밟으러 공항 건물로 들어갑니다.



Welcome to FUKUOKA


약 4년만에 다시 찾은 후쿠오카 국제공항입니다. 물론 공항 코드가 'FUK'이라 욕설을 연상한다고 하지만, 대마도를 제외하곤 우리나라 땅에서 가장 가까운 일본을 구성하는 4대 섬 중 하나입니다. 제주도 가는 수준이니 말이죠.



입국수속을 마치고 짐을 찾으러 갑니다.


이미 약 세시간의 손해를 본 에어서울 여객기 탑승객들은 불같이 내려와 자신의 짐을 찾고 있습니다. 아시아나항공 계열의 LCC 에어서울도 곧 주인이 바뀌겠지요. 여러모로 금호고 아시아나고 뭐고 나발이고간에 각성해야만 합니다.



항공기에서 들고 온 면세품과 함께 가방을 찾습니다.


들고 다니기 귀찮으니 가방 안에 면세담배를 넣어놓습니다.



후쿠오카 국제공항의 도착층인 1층으로 나가니 이미 사람들로 인산인해입니다.


하얀 마스크를 끼고 있는 사람들은 죄다 스시녀. 중국발 미세먼지가 일본에까지 영향을 미친다 합니다만, 그래도 4일 내내 매우 클린한 대기 환경 속에서 여행을 할 수 있었습니다.



늦었지만 빨리 렌터카를 빌리러 가야죠.


1층 구석에 있는 타임즈렌터카의 창구로 달려갑니다. 이미 다른 렌터카 직원들은 퇴근을 했지만, 마지막 손님인 저희가 오지 않아 사무실에서 계속 대기하셨습니다. 간단한 예약 정보를 확인한 뒤 셔틀버스를 타는 3층 출국장 끝편 파출소 앞으로 가라고 하더군요. 3층으로 이동합니다.



이미 해는 지고 있습니다.


제 시간에만 도착했더라면 지금쯤 후쿠오카 시내에서 어디 한군데를 둘러보고도 남았을 시간인데 말이죠. 본래 계획은 후쿠오카성과 마이즈루 공원을 둘러 볼 계획이였지만 쫑났습니다.ㅠㅠㅠ



후쿠오카 국제공항 3층 출국동 앞 도로.


출국을 위해 택시를 타고 와서 짐을 내리는 사람들도 보입니다만, 이제 입국하여 렌터카를 빌리러 온 사람은 전혀 보이지 않습니다. 예정보다 한참 늦어진 우리 말곤요.



곧 노란색으로 랩핑을 한 하이에이스 승합차가 도착했습니다.


하이에이스를 타고 오신 젊은 스시남 아저씨와 함께 아까 1층에서 우리를 안내 해 주었던 아주머니도 탑승합니다. 사실상 오늘 만날 손님을 모두 만났으니 퇴근이겠죠.



나름 고급스러운 하이에이스의 직물시트.


뭐 스타렉스나 그레이스보다는 조금 높고 폭도 넓습니다만, 시에나같은 미니밴 말고 하이에이스같은 원박스형 승합차를 한국에도 수입해 온다면 나름 중박은 치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약 15년 20년 가까이 된 원박스카가 아직도 천만원 가까운 중고거래가를 형성하는 모습을 보면 말이죠.



약 5분정도 달려 타임즈렌터카 후쿠오카공항점 영업장에 도착합니다.



국내에서도 볼 수 있는 타임즈 로고와 함께 '타임즈 카 렌탈(Times Car RENTAL)'이라 영문으로 적혀있습니다.


렌터카 사무실에 들어가 예약 서류를 보여주고 차량 대여 절차를 진행합니다. 물론 한국인 직원도 있고, 중국인 직원도 있다고 합니다만 이미 다 퇴근을 한 시간이였습니다. 반납시에는 한국인 직원분이 담당하셔서 비교적 수월히 반납을 할 수 있었습니다.



본래 대여하려 했던 차량은 바로 이 차. 마쯔다 데미오2


2종소형 빼곤 모두 도장이 찍혀있는 국제면허증 자랑 좀 하려 했는데 그냥 표지만 복사하고 주더군요. 나가사키 여행 당시에는 렌터카 스시녀한테 면허증 자랑도 했었는데 말입니다. 마쯔다 데미오2를 염두해두고 왔고, 사무실에 들어가기 전 이리저리 살피곤 했습니다만 좀 더 크고 비싼차로 바꿔주겠다고 합니다. 오히려 좋은 기회죠.



보험과 관련된 설명을 듣고 '큐슈 익스프레스웨이 패스(Kyushu Expressway Pass)'도 가입합니다.


말 그대로 고속도로 무제한 이용권입니다. 1일 3,500엔으로 시작하여 하루에 1,000엔씩 올라갑니다. 물론 일부 요금을 받는 도시고속도로와 큐슈 외 지역에서는 별도의 요금이 청구됩니다. 


현지인도 아니고 일개 관광객들이 어떤 도시고속도로가 추가 과금이 있는지 하나하나 따져가며 고속도로에 올라타지는 않으니 실효성이 없다 느끼실지 모르겠습니다만, 나름 광역적인 여행 계획을 하고 오셨다면 상상을 초월하는 일본의 고속도로 요금을 생각하시고 일단 가입하신 뒤 타시는게 좋습니다. 그게 아니면 걍 국도 타시구요.



우리나라 기준으로 하이패스 카드. ETC카드 역시 약 300엔 수준의 일 대여료가 존재합니다.


그럼에도 일단 장거리로 큐슈 곳곳을 누비실 예정이라면 봉 빼고도 남습니다.



이번에도 복강 번호판을 달고 있는 은색의 혼다 피트(FIT) 렌터카입니다.

복강(福岡)503 와(わ) 47-91


지난번 나가사키 여행 당시 빌렸던 렌터카 역시 후쿠오카(복강) 번호판을 달고 있었지요. 물론 그 당시 번호가 외우기도 수월했었습니다. 이번 번호는 그냥 외우기 힘든 막번호 차량이네요. 지난번 여행 당시 빌렸던 스즈키의 경차인 왜건R보다 훨씬 넓은 레그룸과 트렁크를 자랑합니다. 




나름 국내에도 이삿짐 혹은 병행수입으로 꽤 많이 볼 수 있는 차량 중 하나입니다.


2013년부터 생산중인 3세대 혼다 피트(HONDA FIT)입니다. 크게 우핸들 버젼인 일본 내수용 차량과 좌핸들 버젼의 북미형 차량으로 나뉩니다. 국내에서도 이삿짐과 병행수입으로 들어 온 차량이 은근 있어 생각보단 쉽게 볼 수 있는 일본차지요. 여러모로 기스는 많았지만, 크게 문제 될 부분은 없었습니다.



깡통모델이라 핸들리모콘도 없구요. 안개등도 없습니다.


그럼에도 나름 풀터치 풀오토 에어컨이 존재합니다. 올인원 내비게이션은 미쓰비시전자의 제품입니다.



숙소의 주소를 입력합니다.


내비게이션 사용법까지 직원분이 친절히 안내해줍니다. 밖은 이미 어두컴컴해지고 시간은 7시가 넘어갔네요.


인수 당시 주행거리는 약 103,607km.


일본 렌터카들은 과연 얼마나 굴리고 대차를 하는지 모르겠지만, 약 10만km를 주행한 차량입니다. 트립 역시 초기화가 된 상태이니 4일동안 얼마나 타고 반납하는지는 트립을 초기화 하지 않고 보면 됩니다.



여러모로 대한민국이라면 극심한 정체에 시달릴 시간이지만, 생각보단 차량 통행이 수월합니다.


후쿠오카 시내 중심지인 텐진과 하카타를 출근시간과 퇴근시간 모두 달려보아도 그냥 차 좀 많은 수준이지 이렇다 할 정체는 없다는 사실 자체가 신기하더군요. 대한민국 광역시 수준의 동네인데 말입니다.



여튼 그렇게 숙소 근처의 주차장에 도착했습니다.


처음부터 끝까지. 반납 하는 그 순간까지 제가 핸들을 잡았습니다. 그래도 일본에서의 운전이 처음은 아닌지라 예전처럼 툭하면 와이퍼를 돌리고 깜빡 역주행을 하게 되는 그런 실수는 하진 않았습니다. 4일동안 방향지시등 대신 와이퍼를 작동시킨게 손에 꼽으니 말이죠.



주간에는 40분에 100엔의 주차요금을 받고, 야간에는 최대 400엔의 주차요금을 받는다고 합니다.


밤새 세워두어도 우리돈 약 4,000원만 내면 됩니다. 물론 이보다 더 저렴한 최대 300엔짜리 주차장이 있어 그곳에 주로 주차를 했고, 8시 전에 빨리 나와 차를 빼곤 했습니다. 일단은 가까운 이 주차장에 주차를 한 뒤 숙소에 짐을 풀고 다시 나오기로 합니다. 숙소 이야기는 3부에서 계속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