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차량은 아닙니다만..

오늘의 주인공은 홍성에서 목격한 94년 3월 등록 초기형 무쏘입니다.

 

무쏘스포츠한테 보복운전도 당했었고 정체의 원인이자 많은 무쏘 운전자들이 자신이 정체의 원인인 줄 모르고 마이웨이로 다니기에 좋아하지 않습니다. 물론 무쏘 차주가 다 그렇다는 건 아니지만, 호감이 가는 차량은 아닙니다. 그렇지만 올드카 목격담 카테고리에 부합하는 차량임에도 그동안 다루지 않았었고 초기형 무쏘는 꽤 보기 힘들어진지라 다뤄보기로 합니다.

 

무쏘는 쌍용자동차에서 1993년 8월에 출시하여 2006년 1월 까지 생산했던 SUV입니다. 이전부터 SUV의 명가로 이름을 날렸던 쌍용자동차가 90년대 초반 현대정공의 갤로퍼, 아시아자동차의 록스타 등 경쟁사 SUV의 등장으로 자사의 간판 차량이던 코란도 훼미리 판매량에 큰 타격을 입자 벤츠와의 기술제휴를 통해 출시했던 당대 고급 SUV였습니다. 고급스러운 내외관과 함께 벤츠의 파워트레인이 적용되었음을 강조하는 고급화 전략으로 다시 SUV 명가 쌍용의 위엄을 보여주곤 했습니다.

 

비록 상용엔진이지만 벤츠에서 얻어온 OM601,602 엔진과 4단 자동변속기를 탑재하였고 아직까지도 무쏘와 코란도를 고집하는 충성고객인 일명 쌍빠들을 많이 만들어냈습니다. 물론 화려했던 과거는 30여년 전 이야기고, 지금은 그저 부족한 출력으로 도로 위 정체를 유발하는 차량들이지만 수입차도 지금처럼 쉽게 볼 수 없던 그 시기에 2020년대의 GV80 그 이상의 취급을 받았습니다.

 

그렇게 잘 팔리던 무쏘는 대우자동차의 쌍용차 인수 이후 부품의 국산화를 이룩했고, 2001년에는 픽업트럭 모델도 탄생했습니다. 13년을 판매했으니 당연히 신형이고 구형이고 흔히 보였지만 노후경유차 조기폐차 사업을 통해 꽤 많이 사라졌고, 이젠 적폐 취급까지 당하니 근 1~2년 사이에 꽤 많이 사라진 느낌입니다. 그럼에도 아직도 간간히 무쏘의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1994 SSANGYONG MUSSO 602EL

'충남 1 오' 지역번호판과 등화관제등까지 온전히 살아있는 무쏘의 모습입니다.

 

예산군에서 발급된 번호판입니다. 물론 이 차를 몇년 전 보긴 봤었습니다. 스파크를 타던 시절 그리 기분이 좋지 않던 상황이었는데 저 무쏘가 왕복 2차선 도로에서 저를 추월하려 하더군요. 무쏘 따위한테는 따이기 싫어서 3단으로 풀악셀을 쳤던 기억이 있습니다. 여튼 홍성에서 볼일을 보고 가시는 모습으로 보이네요.

 

대부분의 시골 무쏘가 시골에서 막타는 차 취급으로 그리 상태가 좋지 못하지만, 이 차량은 꽤나 준수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습니다. 매연도 나오지 않더군요. 10년 뒤에 나온 렉스턴도 매연을 뿜는 차량들이 다수인데 관리도 그럭저럭 잘 된다는 얘기겠지요.

 

1994 SSANGYONG MUSSO 602EL

오토매틱용 데칼은 색이 좀 다른지라 602EL 수동변속기 모델로 보입니다.

 

이 차량이 출고되었던 94년 당시 기준으로 무쏘는 2.3리터 4기통 OM601 디젤엔진이 적용된 601 수동과, 2.9리터 OM602 디젤엔진이 적용된 602EL 수동, 거기에 자동변속기까지 추가한 602EL 오토까지 총 세 개의 트림으로 판매되었습니다. 이후 프레스티지와 체어맨에 적용되던 3.2리터급 가솔린 엔진이 추가되며 라인업을 늘렸고 두 디젤엔진에 터보차저를 장착하며 트림명이 변경되었습니다.

 

당시 기준으로 602EL에 50만원짜리 팩키지 옵션만 추가한 차량으로 보입니다. 가격은 1740만원. 이 차량이 30년 전 출시되었다는 사실을 생각하면 지금 기준으로 4천만 원이 넘어가는 차량입니다. 당시 평균적인 소득 수준을 봐도 지금보다 훨씬 낮았으니 체감상의 가격은 그 이상으로 느껴지겠죠.

 

구할 수 없는 몰딩도 데칼도 다 제치로 온전히 살아있습니다. 휠만 흔히 연탄휠이라 부르는 15인치 머드락 휠로 교체했지 전반적인 순정상태를 유지하고 있었습니다. 외장부품을 구하는 게 사실상 드래곤볼 모으기 수준인 구형 쌍용차인지라, 큰 사고 없이 27년 가까운 세월을 버텼다고 보면 되겠습니다.

 

1994 SSANGYONG MUSSO 602EL

그렇게 무쏘를 뒤로하고 먼저 갈 길을 향해 나아갑니다.

 

외장부품 구하기 참 어려운 구형 쌍용차입니다. 경쟁차량이던 갤로퍼가 빈티지룩 튜닝카를 만드는 관종들이 주도하던 리스토어 열풍 속에서 중고값이 천정부지로 치솟던 마당에, 부품값도 비싸고 더군다나 외장부품의 수급도 어려운 쌍용차 무쏘는 갤로퍼에 비하면 형편없는 가격에 거래되곤 했었지요. 중국몽 정권 들어 노후 경유차 자체를 적폐로 몰아버려 갤로퍼 중고값도 어느 정도 주춤하긴 했지만, 무쏘는 조기폐차를 보내버리지 매물 자체도 거의 올라오지 않는 실정입니다.

 

27년 가까운 세월을 보내온 무쏘의 앞날 역시 밝지만은 않습니다. 매연도 나오지 않고 그럭저럭 관리가 잘 된 차량인지라 종합검사도 충분히 합격하리라 생각됩니다만, 이젠 아예 노후경유차를 넘어 저감장치가 장착된 최신형 경유차까지 탄압의 대상인지라 결국 규제 속에서 소리 소문 없이 사라지지 않을까 싶습니다.

 

언제가 될지 모르지만 마지막 그날까지 지금과 같은 모습으로 오래오래 버텨줬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홍성 외곽의 한 자동차 부품점에서 사용중이던 그레이스의 이야기입니다.

 

지난해 11월 대전에서 꽤나 준수한 상태로 주행중이던 같은 사양의 청색 차량을 짧게나마 목격했던지라 익숙하게 느끼시겠죠. 이번에 본 그레이스는 상태는 그리 좋지 않았습니다만, 그래도 현역으로 사용중이라는 부분에 큰 의의를 두고 앞으로 점점 귀해지는 차량이니 기록으로 남겨두려 합니다.

 

2020/11/16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올드카 목격담] - [목격] 1993 현대 그레이스 그랜드살롱 (1993 HYUNDAI GRACE GRAND SALOON)

 

[목격] 1993 현대 그레이스 그랜드살롱 (1993 HYUNDAI GRACE GRAND SALOON)

오늘 대전의 한 골목길에서 목격한 차량입니다. 골목길을 돌아 대로를 타고 대전IC에 진입하려 하는데, 구형 지역번호판을 부착한 그레이스가 보이네요. 곧 신호가 바뀌고 재빨리 우회전 하여

www.tisdory.com

11월 대전에서 목격했던 차량은 12월에 등록되었지만, 홍성에서 목격한 은색 9인승 그랜드살롱은 5월에 최초로 등록되었습니다. 다만 번호판은 초기 한자리수 지역번호판이 아닌 96년 이후 발급된 두자리수 지역번호판이더군요.

 

1993 HYUNDAI GRACE Grand Saloon

브레이크 라이닝을 비롯한 자동차 부품을 취급하는 작은 부품점의 차량입니다.

 

쥐색 투톤이네요. 당시 최고사양인 그랜드살롱에만 적용되던 바람개비 모양의 알루미늄 휠과 3색 데칼이 그랜드살롱임을 알리고 있습니다. 트렁크가 열려있고, 슬라이딩 도어도 살짝 열려있네요. 번호판은 '충남76 가'로 시작하는걸로 보아 홍성군에서 96~97년 즈음 지금의 번호판을 교부받지 않았나 싶습니다.

 

다만 상태가 매우 좋지 않습니다. 썩지 않았고 멀쩡한 부분을 찾기 함들었고, 부식으로 조수석 발판은 떨어져 있으며, 슬라이딩 도어의 고무 몰딩은 떨어져 나와 있습니다.

 

1993 HYUNDAI GRACE Grand Saloon

반대편은 부식 상태가 더욱 심각해 보이네요.

여튼 굴러 갑니다. 움직입니다.

 

로드뷰를 보면 주차된 위치가 미묘하게 바뀌는 모습을 확인 가능합니다. 그 흔하디 흔하던 그레이스도 모두 폐차장의 이슬로 사라졌습니다. 대부분은 수출길에 올라 타국에서 제2의 차생을 살고 있겠지만 미세먼지의 전적인 원인을 노후경유차로 몰아 적폐로 규정하는 탓에 가파른 속도로 설 자리를 잃어가고 있습니다.

 

상태로 보아 그리 오래 버티지는 못할 느낌이고 회생조차 힘들 상황입니다만, 생명을 다 하는 그날까지 유용한 발이 되어주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