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삼각떼 이야기입니다.

 

타이어를 교체했습니다. 눈이 내리기 전 앞 두짝을 필히 교체해야하던 상황인데 마침 주변의 지인분께서 차를 팔면서 8월 말에 교체했던 타이어를 내린다고 합니다. 약 두달하고 조금 더 탔던 타이어를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에 업어왔습니다. 항상 저렴한 제품만 찾던 거지인 저에게는 조금 과분한 넥센 엔페라 슈프림(NEXEN N'FERA Supreme)입니다.

 

엔페라 슈프림은 최근 출시된 넥센의 플래그쉽 4계절용 타이어라고 하네요. 여튼 저는 중국제 타이어와 저렴한 OE타이어로 버티던 사람이지만,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에 나왔기에 큰 맘 먹고 비싼 타이어를 끼워보기로 합니다. 이번에 교체하면 아마 앞으로 2년은 탈 수 있겠죠.

 

차량 입고

지정된 타이어가게에 차량을 입고합니다.

 

아반떼 두대를 올려 각자 휠에 끼워진 타이어를 맞교환하는 작업입니다. 두대를 동시에 올려 도리까이를 해야하는 작업인지라 손이 갈 곳은 많은데 막상 새 타이어를 끼우는 일은 아니니 그닥 돈이 되는 작업은 아닙니다. 일단 차를 올려서 휠타이어를 탈거합니다.

 

작년? 아마 중국산 타이어를 끼우고 얼마 지나지 않아 펑크가 나서 수리를 받았던 자리의 휠너트를 규정토크 이상으로 조여놓아 잘 풀리지 않더군요. 그래도 손상없이 겨우 풀었습니다.

 

2020.11.08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201108 더뉴아반떼 긴급출동 타이어 펑크수리

 

201108 더뉴아반떼 긴급출동 타이어 펑크수리

무슨 X발 한해에 펑크만 두어번씩 나는 느낌입니다. 스파크를 타고 다니던 시절에는 어쩌다 한두번 펑크가 나 긴급출동을 불렀던 기억 말곤 없는데, 타이어 면적이 훨씬 더 커지니 펑크가 더 많

www.tisdory.com

 

중국산 타이어도 많이 닳았다.

1년 조금 넘게 끼우고 다녔던 중국산 타이어도 꽤 많이 닳았습니다.

 

중국산 타이어로 중국몽을 함께 하고 다녔습니다만, 예상치 못하게 같이 교체됩니다. 트레드가 꽤 깊었는데 위치교환 없이 5만km를 타니 타이어 마일리지가 어느정도 소진된 모습이 보이긴 보이네요. 다 좋은데 노면소음이 너무 심했습니다. 처음에는 엄청 컸고 조금 타다보니 노면소음이 많이 줄어들긴 했지만 그래도 엄청 시끄러웠던 타이어입니다.

 

넥센타이어 보증서

막상 중고타이어를 구입하니 보증서를 같이 주시네요.

 

불의의 사고로 타이어의 사용이 불가능한 상황에 이 보증서를 제시하면 신품으로 교체해준다고 합니다. 쓸 일이 없어야 마땅하겠지만, 두달 탄 새타이어나 다름없는 상태에 보증서까지 받았으니 사실상 새타이어 끼웠다고 봐도 무방하겠습니다.

 

교체를 마친 타이어

교체를 마친 타이어입니다.

넥센 엔페라 슈프림. 225/45R17 사이즈입니다.

 

인터넷 최저가 기준 장착포함 신품이 10만원. 두달 탄 중고를 장착비에 기타 잡비까지 생각하면 7.5만원에 구했습니다. 살다살다 제 돈으로 플래그쉽에 준하는 타이어도 끼워보네요. 확실히 그동안 수없이 끼웠던 중저가형 타이어와 때깔부터 다릅니다.

 

NFERA Supereme

공기를 주입한 뒤 밸런스를 보고 장착됩니다.

 

편마모도 없고 육안상으로는 일절 문제가 없는 타이어인지라 믿고 장착합니다.

 

21년 22주 생산 타이어

21년 22주에 생산된 타이어네요.

 

2021년 22주차가 언제인가 찾아보니 5월 31일부터 6월 6일까지입니다. 6월 초에 생산되어 8월 말에 최초로 장착되었고 11월 초에 제가 옮겨서 장착한 상황입니다. 물론 경제적인 여유가 있는 사람이라면 넥센이 뭡니까 신품 기준 15만원대의 한국타이어 벤투스 노블같은 최고급 타이어를 끼우겠죠.

 

거지의 삶에서 중고임을 감안해도 이렇게 비싼 타이어는 처음 끼워봅니다.

 

휠얼라인먼트

타이어 교체 후 휠 얼라인먼트 작업을 진행합니다.

 

신차 출고 이후 단 한번도 하지 않았는데, 드디어 14만km를 넘기고 처음으로 확인합니다. 올해 초에 앞 타이어를 교체하며 했어야 했지만, 일체형 쇼바를 달겠다고 그냥 놔뒀더니 어영부영 세월이 흘렀습니다. 그렇게 또 편마모를 먹었고 근래 편마모를 먹으며 지렁이를 박았던 자리가 닳아 다시 지렁이를 박는 불상사가 있기도 했었죠.

 

생각보다 많이 틀어져 있었다고 합니다. 핸들도 똑바로 돌아왔네요.

 

작업완료. 주행거리기록.

작업을 모두 마쳤습니다.

 

140,466km에 타이어를 교체했으니 아마 위치교환을 거쳐 알뜰하게 타면 20만km 즈음에서 교체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확실히 조향성도 좋아졌고 정숙해졌습니다. 차가 이렇게 조용했었는지 몰랐네요. 중국산 타이어의 노면소음이 꽤나 시끄러웠음을 다시금 느낄 수 있었습니다.

 

완전 새타이어는 아니지만 새로 교체한 타이어와 함게 앞으로도 무탈히 달릴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영업용 차량을 계속 임시번호판만 달고 다닐 수 없는 노릇이니 지난 화요일에 차량을 등록했습니다.

 

2월에 신차를 등록하고 약 9개월만에 다시 신차등록으로 찾아왔네요. 일반적인 자가용 승용차와는 달리 지입차량으로 들어가는지라 절차가 조금 복잡했습니다. 보험 대신 화물공제에 가입하여 분담금을 납부했고요. 대폐차 관련 서류를 받는 시간이 있어 약 두시간정도 소요되었습니다. 물론 신차 등록과 동시에 출장으로 틴팅과 블랙박스를 달아주러 온다고 그러더군요.

 

아직 언급은 없었지만 본격적으로 일을 시작한지는 약 3일정도 지났습니다. 그간 머리아프고 신경쓸게 많아 언급이 없었지만 슬슬 풀어보기로 합시다.

 

 

210209 투싼(NX4) 신차 등록 + 두자리 번호판 부착

투싼의 임시번호판 기간은 2월 2일부터 2월 11일까지입니다. 연휴 중간에라도 걸쳤으면 연휴까지 임시번호판으로 버티다가 2월 15일에 번호판을 부착해도 되겠지만, 연휴 첫날 끝나버리니 참 애

www.tisdory.com

 

지난 2월 투싼의 신차 등록 이야기를 참고하고 오시면 좋습니다.

 

임시번호판 탈거

직접 차를 끌고 당진시청으로 가도 상관은 없습니다만, 임시번호판만 떼어갑니다.

 

썬팅하고 블랙박스를 달러 온다고 하기도 하고 막상 큰차 끌고 가기도 뭐하니 말이죠. 군산에서 발급되었던 임시번호판과의 작별을 앞두고 있습니다. 며칠 그래도 새차 느낌 내면서 잘 탔는데, 이제 아무도 이게 새차인지 작년에 출고한 차량인지 관심도 가지지 않을겁니다.

 

지입사 사장님과 만났다.

당진시청 민원실에서 지입회사 사장님과 만났습니다.

개별 혹은 개인화물용 번호판의 시세는 고공행진중입니다.

 

중고차를 샀다면 번호판도 같이 샀을지 모르겠지만 예정에도 없던 신차를 계약했고 결국 신차 계약과 동시에 영업사원을 통해 지입회사를 소개받아 들어가기로 합니다. 세상이 많이 좋아져서 관행이지만 사실상 명의대여행위로 불법이던 지입제가 지금은 양성화되었다고 봐도 무방한 수준까지 왔습니다.

 

국토부에서 표준 위수탁계약서를 마련한지 벌써 5년이 넘었고, 이전처럼 누가봐도 차주가 불리한 계약을 진행하거나 운송회사가 차주의 동의 없이 서류상 자사 차량으로 취급되는 출자한 차량을 임의로 처분하는 등 피해를 보는 일은 거의 사라졌다고 봐야죠.

 

여튼 저는 임시운행허가증과 운행기록계 장착과 관련된 서류를 가져왔고, 지입회사에서는 캐피탈 회사에서 저당을 잡을 서류와 공제 가입과 신규등록 서류를 가지고 왔습니다.

 

공제조합 분담금

화물공제 100% 분담금(보험료)입니다.

사고가 있다면 금액이나 상해급수에 따라 할증됩니다.

 

이전에는 사고가 있는 차량의 경우 운송회사의 남은 다른 번호판으로 대차하면 다시 원점에서 시작하곤 했다는데 지금은 그 제도가 폐지되었다고 하네요. 책임보험료만 먼저 납부하고 나머지 금액은 6개월까지 분납합니다. 약 40만원 수준인 적재물 보험 역시 가입해야 등록이 가능합니다.

 

공제 가입증명서까지 팩스로 받았고, 본격적으로 등록절차를 진행합니다.

 

취득세와 등록세

취득세와 등록세를 납부합니다.

다 해서 650만원 가까운 돈을 썼습니다.

 

과세표준액이 161,181,818원. 영업용이라 4%의 세율을 적용하여 같은 가격대의 자가용 차량 대비 상대적으로 저렴한 취등록세를 자랑합니다. 취득세가 운송회사와 지입차주에게 각각 2%의 세율로 두장이 발급되는데, 둘 다 내면 됩니다. 그리고 등록원부상의 특기사항 기록을 위한 등록세 1만 5천원을 납부합니다.

 

자동차등록증

비용을 모두 납부하면 자동차등록증이 발급됩니다.

운송회사나 차주 둘 다 임의로 처분이 불가능한 내 차도 회사차도 아닌 그런 차량이 등록되었습니다.

 

주로 일하게 되는 지역이 당진인지라 당진번호판을 알아봤었고 당진시 소재의 운송회사인지라 '충남94바'로 시작하는 번호를 부여받았습니다. 새로 부여된 번호가 아니라 운송회사에서 보유하고 있던 번호판을 발급받았던지라 번호는 미리 알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번호판을 현장에서 찍어주지 않는 당진시 차량등록의 특성상 전날 미리 휘장사에 전화하여 번호판을 주문해뒀습니다.

 

새 번호판

앞범퍼에 레이더가 있어 대형 번호판 대신 혼합형 번호판이 발급되었습니다.

 

승용차와 같은 규격의 번호판이 앞에 부착되며, 대형차 규격의 대형번호판은 뒤에 봉인과 함께 부착됩니다. 승용차용 유럽형 번호판 플레이트는 이미 여러개 가지고 있는지라 대형 번호판용 하나만 구입했습니다. 모든 절차를 마치고 시청을 빠져나와 다시 차량이 세워진 차고지로 향했습니다.

 

장착완료

번호판 부착은 어렵지 않습니다.

 

비천공으로 받아올걸 그랬나 생각도 들긴 합니다만, 큰 위화감 없이 잘 맞습니다.

 

플레이트는 현대꺼.

번호판 플레이트는 현대 로고가 찍혀있는 물건입니다.

 

DAEWOO차에 HYUNDAI 보조대가 부착된 아이러니한 상황을 연출하고 있습니다.

 

뒤 역시 장착 완료

승용차는 대부분 봉인용 볼트가 박혀있는데, 화물차는 없더군요.

 

그래서 봉인에 있던 볼트와 너트 핀을 모두 사용하여 부착했습니다. 번호판을 한참 달고있단 와중에 블랙박스와 틴팅작업이 모두 끝났다고 작업자가 가버리네요. 번호판도 다 달았으니 구경해보기로 합니다.

 

개판 5분전.

필름이 어느회사 제품이냐 물어보니 국산인데 중소기업 제품이라 합니다.

그래도 반사필름이고 열차단률은 꽤 높다고 말하네요.

 

전면유리까지 전체시공은 아무리 저렴한 필름이라 하더라도 꽤 비싼편인데 영업사원 서비스니까 그러려니 합니다만, 필름에 미세한 기포가 그대로 남아있습니다. 먼지가 들어간것도 아니고 그냥 기포가 남아있네요. 작업과정을 지켜보고 확인했더라면 여기 한번 더 밀어달라고 부탁이라도 했을텐데 말입니다.

 

혹시 나중에 다른 작업을 할지도 모르니 명함이라도 달라고 했더니 문자 보낸거 있지 않느냐고 그거 보고 전화하라며 그냥 슝 가버리더군요. 뭐 그때 조금 냄새가 났는데 앞유리에 묻은 물자국도 그대로고 작업 참 개판으로 해놓고 갔습니다.

 

블랙박스

씨텍?(C-TECH)이라는 회사의 MT350이라는 제품이네요.

 

처음보는 회사입니다. 찾아보니 올해 3월 설립되었고 엠비즈원이라는 회사와 법인만 다를 뿐 같은 건물에 소재하여 같은 제품을 생산하여 판매하는 사실상 동일한 회사라고 하더군요. 주로 지게차나 중장비용 후방카메라를 만들던 업체이고 이전부터 꾸준히 화물차용 블랙박스를 생산했다고 합니다.

 

제품 자체는 올해 9월 출시된 최신형이고, 스펙만 놓고 봐도 전방 FHD 30fps, 측면 HD 30fps급의 뛰어나지는 않더라도 쓰는데 큰 문제는 없는 제품입니다. 시간이 큰 의미가 없다고 쳐도 그래도 맞춰주고는 가야지 저게 뭡니까... 결국 제가 따로 맞춰놨습니다.

 

여튼 그렇게 하나 둘 준비를 마쳤고, 본격적으로 실전에 투입될 일만 남았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