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배터리가 나갔습니다. 며칠 추웠을 때 시동을 걸어주긴 했는데, 연말에 걸어주려고 보니 세루만 돌고 시동은 걸리지 않더군요. 점프선을 사다 전기차로 점프를 대려 했습니다만, 전기차의 시동배터리는 일반 내연기관 차량들처럼 항시 발전기가 돌아가며 충전되는 방식이 아니기에 점프를 댈 수 없었습니다. 두 선을 어스해도 스파크조차 튀기지 않아 점프선만 괜히 하나 더 사 왔네요.

 

그래서 결국 배터리를 교체하기로 합니다.

 

오래된 배터리 교체해 두면 한 해에 1,000~2,000km 내외를 주행하고 가끔 시동을 걸더라도 몇 년은 버틸 겁니다. 그렇게 많이 타는 차가 아닌 티코가 지금 그렇게 4년 이상 버티고 있으니 말이죠.

 

점프 실패

 

미국산 대우 전기차로 일본차를 라이선스 생산한 토착왜구 자동차에 점프를 대주려 했지만 개같이 실패..

 

결국 점프를 포기합니다. 이럴 줄 알았으면 마침 시동을 걸고 나가시던 앞집 아줌마 모닝이라도 잠깐 점프 대 달라고 할 걸 그랬나 싶은데, 어차피 점프를 대도 오래 못 갈 거 같으니 그냥 배터리를 교체하기로 합니다. 인터넷 가격이 7만 원대 초반. 오프라인 가격은 이보다 더 비쌉니다. 출장배터리집에 물어보니 9.5만 원에 부가세 별도라고 하네요. 조금 비싸지만 택배로 주고받아 직접 교체하는 번거로움이 없고 당장 급하니 불렀습니다.

 

 

송악 IC 근처에서 와서 시간이 조금 걸리긴 했습니다.

 

배터리차 도착

 

금방 스타리아가 도착합니다.

출장비 교체비까지 포함된 가격이라 생각하면 그리 비싸진 않다 봅니다.

 

스타리아의 전동트렁크가 열리고 안에서 새 배터리 박스를 뜯네요. 한국아트라스비엑스. 한국타이어 계열사입니다. 지금은 한국타이어의 지주회사인 한국앤컴퍼니로 합병되었다네요. 여튼 새 배터리가 준비되었으니 기존 배터리를 탈거합니다.

 

배터리 탈거

 

기존 배터리의 탈거가 진행됩니다.

 

브라켓을 뜯어내고 배터리 단자를 탈착 합니다. 언제 장착했던 배터리인지는 모르겠지만, 세방전지의 로케트 배터리는 수명을 다하고 그 자리에서 퇴역합니다.

 

탈거완료

 

배터리의 탈거가 금방 끝났습니다.

 

새 배터리를 가져와 트레이에 잘 안착해 줍니다. 요즘차들은 배터리 브라켓에 홈이 있어 잘 맞춰 넣어야 하는데 만 31년 가까운 세월을 버틴 구닥다리 자동차는 걍 잘 맞춰 넣어주기만 하면 됩니다.

 

새 배터리

 

2023년 9월 제조된 제품이고 보증기간은 24개월이네요.

 

갤로퍼의 배터리 규격은 90R입니다. 딱히 옛날차라 전자장비도 없고 블랙박스도 주행 중에만 켜지도록 설정해 뒀으니 큰 상관은 없을 겁니다. 앞으로 최소 5년은 더 버티겠지요. 배터리를 교체하고 정상전압이 표시되는 것까지 확인한 뒤 차량을 옮겨두기로 합니다. 갤로퍼의 검사가 임박했습니다. 좀 타줘야 합니다.

 

주행

 

2024년 첫 주행을 성공적으로 마칩니다.

 

93년 1월에 등록된 차량이 2024년에 움직이리라 생각이나 했을까요. 세월은 30년 이상 흘렀어도 정말 잘 달립니다. 앞으로의 30년 40년도 거뜬히 버텨주길 소망합니다.

 

주차 위치 변경

 

지난 10월에 두 차량의 주차 위치를 바꿔놓았었는데, 다시 바꿔줍니다.

 

검사를 받으려면 좀 타고 가야 합니다. 가만히 세워두고 후까시만 줘도 된다 하지만 그래도 고속에서 좀 달려주고 가는 게 낫겠지요. DOC가 달려있어 적폐는 아니지만 질소산화물과 미세먼지의 저감효과는 크지 않아 매연은 나오긴 나옵니다.

 

티코 역시 2024년 첫 운행을 마치고 주차 위치를 변경해 줍니다.

 

변경 완료

 

시간여유가 좀 더 있었더라면 두대 다 세차까지 해서 넣어놓았을 텐데.. 세차는 패스합니다.

 

두 대 모두 2024년에도 변함없이 그 모습 그대로 잘 간직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쉐슬람들만 미제 고급차라고 물고 빠는 대우차 쉐보레의 신형 스마트키 배터리 교체 방법입니다.

 

지난 7월 출고한 2년 묵은 미국산 대우 전기차의 스마트키가 이상합니다. 분명 리모콘도 잘 되는 느낌인데 차에 타면 키를 인식하지 못합니다. 그래서 키가 차 안에 들어있음에도 인식하지 못해 문이 잠겨버리는 참사가 벌어지기도 했습니다. 키 하나가 그래서 예비키를 들고 나왔더니 예비키도 얼마 못가 같은 증상을 보이더군요. 그래서 일단 배터리를 교체해보고 그래도 답이 없으면 센터에 들어가자 싶어 배터리를 교체했는데, 다행히 그 증상이 사라졌네요.

 

그래서 오늘은 쉐보레 차량의 스마트키 배터리 교체 방법이나 자세히 써 보려 합니다.

 

스마트키

 

본질은 대우차이지만 그 회사와 맹목적인 추종자들만 미제 고급차라 생각하는 쉐보레.

신형 스마트키라고 쓰긴 했지만, 대략 7~8년 전 출시 차량들부터 사용하던 스마트키입니다.

 

미국에서나 9세대지 한국에서는 겨우 2세대 팔고 단종된 대우의 고오급 중형세단 올 뉴 말리부(V400)나 대우를 부정하지만 대우시절부터 이어져 내려오는 유구한 전통을 가진 경차라고 홍보했던 더 넥스트 스파크(M400)를 시작으로 그 이후 출시된 차량들은 죄다 이런 모양의 스마트키가 적용되었습니다. 지금 판매하는 트레일블레이저나 트랙스 크로스오버도 마찬가지고요.

 

버튼 갯수의 차이만 있을 뿐

 

버튼 갯수의 차이만 있을 뿐 구조는 동일합니다.

 

마치 조약돌 느낌의 스마트키. 3V짜리 동그란 건전지. 흔히 수은전지 단추전지 동전형 건전지라 부르는 그 건전지가 들어갑니다. 똑같이 생긴 건전지여도 높이에 따라 규격이 다릅니다. 그래서 잘 보고 사야하는데, 쉐보레 스마트키에 적용되는 배터리의 규격은 CR2032 입니다.

 

CR2032 배터리

 

동네 슈퍼나 문구점 전파상 등 어디를 가도 쉽게 구할 수 있는 배터리입니다.

 

똑같이 생긴 배터리라도 잘 보고 사야합니다. 물론 지름은 같기에 문제 없이 작동할 확률도 있겠지만 굵기가 미묘하게 다릅니다. 가급적이면 같은 배터리를 교체하시기 바랍니다.

 

키 분해

 

스마트키를 분해합니다.

 

키 좌측 하단의 버튼을 눌러 예비용 금속키를 분리해줍니다.

 

닭다리키로 벌려준다.

 

탈거한 키가 나왔던 자리에 홈이 보일겁니다.

 

그 홈까지만 키를 살짝 넣고 세로로 돌려 틈을 벌려서 손으로 잡아당겨주면 별다른 도구 없이도 스마트키 리모콘이 분해됩니다.

 

분해된 키
키로 배터리 들어올리기

 

좌측은 버튼이 붙은 기판이, 우측은 텅 빈 케이스에 배터리만 있습니다.

 

배터리를 꺼내봅니다. 아까 스마트키를 분해했던 금속 키로 틈새를 공략하거나 손톱을 이용하여 공략하면 쉽게 빠집니다.

 

CR2032

 

기존 배터리 제거

 

기존 배터리를 제거합니다. 인도네시아에서 생산한 파나소닉 배터리가 들어있었네요. 그 자리에 동일한 방향으로 새 배터리를 끼워주기만 하면 됩니다.

 

새 배터리 장착

 

새 배터리를 장착하고 다시 분리된 스마트키를 하나로 합쳐줍니다.

 

조립은 분해의 역순. 초등학교 저학년생도 가능한 수준의 난이도를 자랑합니다.

 

버튼 주의

 

조립시 아까 키를 분해하며 눌렀던 버튼에 주의하며 잘 끼워주면 됩니다.

 

같은 방법으로 키 두개 모두 배터리를 교체하니 문제 없이 작동하네요. 여러분도 쉽게 하실 수 있을겁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