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늘은 간단히 목격했던 차량 두대를 다뤄볼까 합니다.

 

먼저 97년 5월 등록된 쌍용의 SY트럭입니다. 다른 메이커에서 일본 메이커들과 기술제휴를 이루며 일본제 트럭을 생산하던 시절에 쌍용은 벤츠와 기술제휴를 이루며 SK트럭을 기반으로 한 SY트럭을 생산하게 됩니다. 지난해에도 그간 목격했던 SY트럭의 사진을 모아 포스팅을 했었네요.

 

 

최근 목격한 쌍용 SY트럭들 (SY60t,SY18t)

판매기간이 가장 길었던 흔히 91A라 부르는 현대트럭을 제외하곤 8~90년대 트럭들 중 가장 많이 보이는 차량을 꼽자면 쌍용 SY트럭이 아닐까 싶습니다. 93년부터 98년까지 상당히 짧은 기간 동안 판

www.tisdory.com

 

30년 가까운 세월을 일선에서 달려왔고, 노후경유차를 적폐로 몰아 청산하는 칼바람 속에서도 일부 살아남아 노익장을 과시하고 있습니다. 오늘 다룰 차량은 중반기에 추가되었던 순정 25t 중축 카고 모델입니다.

 

1997 SsangYong SY25t 10x4 CARGO

 

순정 중축 카고네요. SY25t 레터링이 붙어있습니다.

 

상태는 그럭저럭이지만 노후경유차를 미세먼지의 주범이자 적폐로 규정한 2020년대에도 DPF를 장착하여여 면죄부를 받은 상태로 달리고 있었습니다. 녹은 좀 보여도 레터링도 그대로 살아있고 주행에도 큰 문제가 없어보이네요. 번호판 옆으로 안개등을 두개 더 달아놓은 흔적도 보입니다.

 

지금 기준으로는 구닥다리인 340마력의 출력을 내는 OM442A 엔진이지만, 벤츠 설계 엔진의 내구성은 당대 그 어떤 일본제 엔진보다도 월등했기에 오랜 세월이 지난 지금까지도 문제 없이 달릴 수 있지 않나 생각됩니다. 제 차와 같은 평카고로 보이는데, 목적지가 어디였을까요. 부디 앞으로도 오랜 세월 주인 아저씨와 함께 국토를 누비며 천수를 누리기를 소망합니다.

 

 

다음은 2000년 8월 등록된 EF쏘나타입니다. 

 

98년 3월 출시된 4세대 쏘나타는 이전세대 모델 대비 상당한 진보가 있었던 차량이었습니다. 둥글둥글한 디자인에 자체 개발 플랫폼과 독자개발 V6 2.5 엔진을 적용하는 등 기술적으로도 진보했고, 승차감과 편의사양에 있어서도 더블 위시본 서스펜션의 채택과 다이너스티에 적용되던 AVN이 적용되었고 아이보리색 내장재가 사용되는등 이전 세대 차량들과 비교하면 천지개벽 수준의 변화가 있었습니다.

 

다만 출시와 함께 IMF의 직격타를 맞기도 했었지만 이후 인수된 기아자동차의 중형 세단 모델로 이 차량의 부분변경 모델격인 옵티마가 출시되었고, 2001년 대대적인 부분변경을 거친 뉴 EF 쏘나타가 세계 시장에서 인정받기 시작했었습니다. 오늘의 주인공은 2000년 8월 등록된 LPG 모델입니다.

 

2000 HYUNDAI EF SONATA 2.0 LPG GV

 

2000년 8월 등록. 충남 31 지역번호판을 달고 있었습니다.

부분변경 모델은 요즘도 그럭저럭 보입니다만, 구형 모델은 정말 오랜만에 보는 느낌입니다.

 

충남 30과 31은 천안시에서 발급된 번호판으로 이 차량 역시 천안시에서 20년 넘는 세월을 지금의 주인과 함께 하고 있습니다. 레터링의 'T'가 떨어져 있고, GV에 14인치 알루미늄휠이 적용된 차량이네요. 수출도 나갔고 부식 문제로 폐차장의 이슬로 사라졌습니다만, 상대적으로 깔끔한 상태를 유지중이었습니다. 다만 휠하우스 근처에 부식이 올라오는 모습이 보여 이 차량도 부식으로부터 완벽히 자유롭지는 않아 보였습니다.

 

불과 10여년 전 만 하더라도 도로 위에서 그럭저럭 보이던 차량이었는데, 이젠 이 EF쏘나타마저 언제 봤었는지 기억조차 잘 나지 않는 차가 되어있네요. 앞으로의 세월도 지금의 주인과 함께 잘 달렸으면 좋겠고, EF 쏘나타도 다음에 자세히 다룰 기회가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지난번 누수 이후 본격적인 보수 작업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CB 배선과 안테나를 새로 사다 달았고, 오늘은 아침 오더가 파토난 겸 해서 사업소에 가서 몇가지 부품을 사왔네요. 그 중 하나. 트렁크 고무라고들 익히 알려진 웨더스트립 고무를 구매해 왔습니다. 


트렁크 누수가 있다면 제일 먼저 갈아보는 부품 중 하나죠.



P95087790 - 웨더스트립, 리프트 게이트(트렁크)


가격은 생각보다 저렴합니다. 약 1만 1천원 정도 하네요. 한 3년 전에 등기소 직원분이 타던 EF쏘나타의 트렁크 웨더스트립을 교체한다고 구매했던 일이 있었는데, EF쏘나타용을 2만 4천원 가까운 돈을 주고 샀었던지라 뭐 이것도 대충 2만원돈 하겠지 생각하고 있었습니다만 그보다 훨씬 저렴하네요.


뭐 여튼 대우부품치고 몇 안되는 저렴한 부품입니다. 생각보다 많이들 찾으리라 생각했습니다만, 이 부품이 홍성서비스센터에 2016년 2월 26일부터 박혀있었다고 스티커가 붙어있네요. 생각 외로 웨더스트립이 헐어버려서 물이 새는 차령까진 아니다보니 찾는 이가 그리 많지는 않았나 봅니다.



부피는 조금 큽니다. 뭐 커다란 웨더스트립이 동그랗게 감겨있는 형상을 하고 있네요.


비닐을 뜯으면 모양이 잡히지 않은 그저 동글동글한 웨더스트립에 불과합니다.



기존 웨더스트립 고무.


뭐 물도 새기도 했고, 찢어지기까지 했습니다. 그냥 쭉 잡아당겨서 다 떼주면 됩니다.



웨더스트립 고무를 탈거한 모습.


뭐 그저 그렇습니다. 자세히 보지 않는 이상 찾아보기도 힘들어요 사실. 새 웨더스트립을 꾹꾹 눌러주고 또 눌러줍니다. 확실히 기존 고품보다는 쫀득쫀득한 탄력이 훨씬 더 잘 느껴집니다. 



새 고무라 날이 서 있네요. 트렁크를 닫아도 뭔가 착 감기게 잘 닫힙니다.


앞으로 타면서 누가 뒷빵을 때리지 않는 이상 딱히 교체할 일은 없겠죠. 또 물이 샌다면 모를까요. 부디 뒷빵 사고로 교체할 일이 없기를 간절히 기원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