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10 전구'에 해당되는 글 4건

반응형

 

칼로스V(해치백)부터 사실상 마이너체인지 모델인 젠트라X까지 동일하게 적용되던 보조제동등.

전구가 다 나가서 사실상 있으나 마나 한 상태더군요.

 

칼로스 젠트라용 순정 보조제동등

물론 이것도 1.2L 모델에는 존재하지 않고, 1.6L 모델에만 기본사양으로 넣어줬습니다.

 

그런고로 1.2L 모델을 타는 오너들의 필수 DIY 품목이기도 했는데 지금은 뭐 차 자체가 오래되어 이전만큼 자료가 활발하게 올라오지는 않습니다. 물론 제 젠트라 3도어는 1.6L 모델이기에 당연히 기본사양으로 적용된 부품인데, 전구가 다 나갔더군요. 예~~전에 칼로스가 있던 시절에는 많이 타던 차가 아니라 그랬는지 보조제동등 전구가 나갔던 일은 없었는데, 이 젠트라 3도어는 하나 빼고 불이 들어오지 않았습니다.

 

빼는건 쉽습니다. 트렁크 도어 위에 달린 보조제동등 브라켓을 눌러주면 쑥 빠져나오고 커넥터는 그냥 뽑아주면 됩니다. 물론 거기까지는 쉽고 젠트라 동호회를 찾아보면 전구나 LED를 교체했다는 글은 많습니다만, 이 다음 과정부터 별다른 안내가 없었습니다.

 

그렇다고 질문글을 남겨도 마땅한 답변이 없어 그냥 뜯어보기로 합니다.

 

그냥 부셔버릴 각오 하고 잘 재껴버리면 된다.

그냥 일자드라이버를 틈에 넣고 빨간 플라스틱 커버를 재껴줍니다.

 

부셔지면 새로 살 각오 하고 재껴주면 빠집니다. 그렇게 양쪽 모서리를 같은 방식으로 재껴주면 생각보다 쉽게 빠집니다. 쉽게 깨지지 않을 굵기입니다. 그냥 상관말고 재껴주면 됩니다.

 

빨간 커버가 빠진다.

네 커버가 빠지고 반사판과 전구의 모습이 보입니다.

 

전구의 규격은 T10. 흔히 판매하는 번호판용 LED를 사용해도 되고, 요즘차 실내등에 주로 쓰이는 규격이다보니 일반 전구 역시 그리 어렵지 않게 구할 수 있습니다. 물론 빨간 커버만 뜯어버리고 전구를 뺄 수 있습니다만, 생각처럼 잘 빠지지는 않습니다. 그런고로 반사판과 전구를 검은 플라스틱 커버에서 완전히 분리해내기로 합니다.

 

커넥터 자리에 일자드라이버로 재껴주면 빠진다.

상단 커넥터 자리에 드라이버를 넣고 재껴주면 쉽게 빠집니다.

 

물론 전구는 반사판째로 들고 직접 손으로 잡아서 빼야 합니다. 생각만큼 쉽게 빠지지 않습니다. 사실상 커버를 뜯는 과정보다 전구를 빼는 과정이 더 힘들게 느껴지더군요.

 

기존 전구와 새 전구

기존 전구를 모두 탈거했습니다.

 

검게 그을린 전구가 대략 13년을 버텨왔던 전구고, 우측에 보이는 투명한 전구가 새로 장착하게 될 전구입니다. 물론 T10 규격의 LED를 끼워놓아도 상관없습니다만, 당장 LED가 없기도 하고 아반떼를 뒤지다 보니 실내등과 번호판등을 바꾸며 빼놓은 사실상 신품과 다름 없는 T10 전구가 나오더군요. 그대로 껴주기로 합니다.

 

알이 작은 전구는 번호판등에 사용되던 T10 규격의 전구고, 알이 큰 전구는 실내등 전구입니다.

 

그렇게 번호판등 두개와 실내등 전구 하나를 찾았습니다. 새 전구는 세개. 굴러다니던 T10 규격의 LED는 너무 커서 커버를 닫을 수 없습니다. 그런고로 투싼의 실내등을 교체하며 실내등용 T10 전구 두개를 가져다 끼웠습니다. 분해는 조립의 역순이라고 새 전구를 잘 끼워주고 다시 조립해주면 됩니다.

 

아 또 하나가 접촉불량이네..

다 신품 전구인데 하나가 제대로 끼워지지 않았는지 접촉불량이네요.

일단 불은 잘 들어오고 귀찮으니 장착하고 나중에 만져보기로 합시다.

 

총 다섯구의 소켓에서 1,3,5번 소켓에는 아반떼와 투싼에서 추출해낸 실내등 전구를, 2번 4번 소켓에는 아반떼에서 번호판등으로 사용되던 전구를 끼웠습니다. 4번 전구. 번호판등 전구 하나가 제대로 끼워지지 않았다는 얘기네요. 일단 다시 뜯기 귀찮은지라 그냥 이 상태로 장착해뒀습니다.

 

나중에 시간 날 때 뜯어 4번 전구를 뺐다가 다시 끼워줘야겠네요.

돈 한푼 쓰지 않고 신차에서 탈거한 실내등과 번호판등을 활용하여 젠트라의 보조제동등을 살렸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사다 바꾼지 얼마나 지났다고... 또 중복투자를 하게 되었습니다.



2월이 다 되어 바꿨던 삼각떼의 번호판등 한쪽이 5월 초부터 접촉불량인지 들어오지 않더군요. 


가격대비 그리 밝지도 않았던 물건인데 T10 규격의 LED를 번호판등과 함께 실내등용으로도 사용하고자 여러개 구입했습니다만, 맵등에 암만 꽂아도 들어오지도 않고. 그렇다고 바꿔 끼우고 새걸 뜯어다 끼웠습니다만 죄다 도로아미타불이였습니다. 


반대로 순정 전구를 다시 꼽으면 멀쩡히 들어오고요. 급기야 멀쩡한 후미등의 미등까지 들어오지 않더랍니다.



멀쩡한 후미등의 미등까지 나가버렸습니다.


여분으로 많이 구입해둬서 겸사겸사 선물로도 줬었는데, 선물로 보낸건 저보다 더 늦게 장착했음에도 소켓 안의 저항이 다 타서 끊어져 있었다고 하더군요. 결국 저항을 새로 사다 뗌질을 하려다가 새 제품을 구입했다고 합니다. 


여튼 선물로 주고도 준것만 못한 상황이 벌어졌었는데, 제게도 시기의 차이만 있었지 똑같은 상황이 벌어집니다.



일단 우측 번호판등만 탈거합니다.


일부러 LED칩이 많이 박히고 비싼 제품을 구입했는데 밝기도 5년 전 구입했던 제품들 대비 밝지 않고 싸구려만도 못한 내구성에 개탄을 금치 못합니다. 그동안 여러개의 LED 전구를 구매하며 장착했었지만 이렇게 불량률이 높은 제품은 처음이네요.


아반떼 동호회에 질문글들을 검색해보니 물론 저처럼 LED 전구를 구입했다가 불량이 나 한해에도 몇번씩 교체를 하는 사람들은 있는듯 합니다. 그런고로 같은 제품은 일단 거르고 주변에서도 추천하는 오래 쓸 수 있다는 신뢰의 반디의 제품으로 선택하기로 합니다.



실내등용 두개와 번호판용 두개를 구입했습니다.


트윈벌브라는 제품은 칩이 세개가 달린 제품이고, 파워라는 제품은 다섯개와 방열판이 달린 제품입니다. 뭐 쓰는 사람들은 5년을 달고있고 10년을 달고 있어도 단 한번도 속을 썩이진 않았다고 하는데, 일단 두고 봐야겠지요. 


만원돈이긴 합니다만 순간의 선택을 잘못하여 결국 중복투자를 하게 된 안타까운 이야기입니다 ㅠㅠ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