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r'에 해당되는 글 130건

반응형

2003년 이차가 중국시장에서 시판되고부터 논쟁은 시작되었으니.. 한 7~8년에서 5~6년전쯤까지..(벌써 이렇게 되었나..?) 어느정도 뜨거운 감자로 사람들의 입에 올랐던 차량이다.. 지금은 이미 식어버린 감자가 되어버린지 오래인데다가 이제 웬만한 사람들은 볼 만큼 다 봤고 존재감도 알고 있으니 크게 관심조차 주는 사람이 없지만, 한때 이 차는 GM코리아컴퍼니의 마티즈2를 표절했다면서 표절논란의 중심에 서있던 차량이다. 

10년이 다 되어가는 당시로서 국내 인터넷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대놓고 배낀 짝퉁차라며 뜨겁게 달궜으니 인터넷을 좀 했다면 대부분이 한번쯤은 이 차에 대한 이야기나 사진을 봤을테고, 법정분쟁까지도 갔었던 대표주자였는데.. 현재는 원만히 잘 해결되었다고는 하지만, 2005년 11월에 대우와 GM측에서 중국에 중화사상에 밀려서인지 혹은 정말로 잘 해결되어서 그런건지 강경 대응을 하겠다던 그들이 소송을 취하했고, 2006년부터는 짝퉁분쟁으로 유명했던 이 모델의 신형 QQ6이 나오게 되어, 이 사태는 수많은 미스테리를 남겨놓고서 결국 일단락되었다.(그래놓고 몇년을 더 커뮤니티에 논쟁거리로 돌아다녔지만..;;)

그런 말로만 들었던 체리차의 QQ를 실제로 보게 되었는데.. 그 넓은 대륙에 몇대 없을거라고 생각했던 개체수보다 굉장히 많았다. 3박 4일 북경시를 돌아다니면서, 어디를 가도 꼭 한대씩은 있는 체리 QQ.. 굳이 체리 QQ 뿐만 아니라, 본 모델인 시보레 스파크(마티즈) 역시도 존재하긴 하나.. 스파크는 딱 한번뿐 보지 못했다..
PS. 짝퉁모델인 체리 QQ는 400만원에서 700만원정도 하는 가격대에 판매했었지만, 합법적으로 판매되는 스파크는 600만원에서 800만원정도의 가격대였으니.. 비슷하게 생긴 두 차가 가격차이가 나버리니 당연히 QQ가 스파크보다 판매량에서 앞섰다..

출시 당시로서는 합법적으로 기술제휴를 통해서 들어왔던 차량도 아닌데, 어디로 기술이 새어나간건지 혹은 체리사의 주장대로 우연의 일치였는지 차량의 전체적인 제원과 구조 그리고 내부 인테리어등 거의 모든 측면에서 그냥 마티즈를 빼다박았다.. 마티즈는 GM으로 넘어가기 전 김우중의 대우그룹 시절 옛 대우자동차가 티코의 후속모델을 찾고있던 중, 피아트사에 제안을 했던 디자인이였으나 채택되지 못했고 대우에게 제안을 해서 대우가 디자인을 구입한거였으니 당연히 그에 대한 권리는 당시 GM대우에 있는것인데 말이다.(뭐 당장 지금으로 말하자면, GM코리아지만...;;) 


일단 한때 논쟁이 되었던 두 회사간의 합의가 원만히 해결되었으니, 딱히 측면의 디자인은 뭐.. 그냥 마티즈를 빼다막았다.. 그냥 앞을 본다면, 동글동글한 헤드라이트가 마티즈를 연상시킨다는 느낌이 나고 냄새가 났지만, 뭐 옆으로 가면 그냥 약간은 다른 방법으로 생산된 마티즈라고 보면 되겠다.(뭐 실제 제조사만 다르고 디자인만 약간 다른차이긴 하지만, 한국의 부품들도 다 맞는단다.)

그래서 난 예전부터 종종 이러한 생각들을 해왔었다..

"마티즈를 한대 중고로 뽑아서 앞은QQ 뒤는 마티즈인척 하고다니면 어떨까.."

뭐 이건 내가생각해도 잉여스럽고 다른사람이 생각해도 그저 뻘스러운 생각인데 말이다.
(그래서 지금은 그런 잉여스러운 상상은 역시나 상상으로 끝냈다. 어찌본다면 실현할 수도 있는걸텐데 말이다.)


뭐 뒤로가도 마티즈랑 별반 다를게 없다...

한때 우리나라를 비롯해서 전 세계의 지적재산권을 위협했었던 중국의 토종 브랜드들은 날이 가면 갈수록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고 있다. 요즘에는 이전처럼 짝퉁차 전문 생산국이라는 오명을 벗고 자체개발한 전기차모델을 비롯해서 탈 짝퉁화에 가속도를 보이고 있는 추세이다.. 

그리고, 약간은 옆으로 세어버린 글이지만 조만간 마티즈의 신화를 일궈냈던 대우라는 브랜드로 나오는 승용차는 더이상 볼 수 없게 되었다. 찬반논쟁에 서있던 쉐보레(시보레가 더 편하긴 하지만..)브랜드가 스즈끼 차체로 20년을 한결같이 우려먹는[각주:1] 국내 유일의 경상용차 다마스와 라보 그리고 뷰익의 라크로스를 직접 들여온 알페온을 제외하고는 결국 다른 차종들에 모두 달리게 되었다. 역시나 옛 대우의 자회사 우즈벡 대우도 우즈벡 시보레로 명칭을 변경했고, 아직까지 대우 모델로 수출되고있는 차량들에 대해서는 단종될때까지 대우 브랜드를 유지한다고 하지만.. 또 인도의 삼성격인 타타그룹에서 인수한 타타대우상용차와 우리나라의 영안모자가 인수한 대우버스가 이땅에서 대우의 브랜드를 어느정도 이어가기는 할테지만 그들의 뿌리가 되었던 옛 대우그룹의 대우자동차는 역사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다.. 사명도 GM대우 오토 앤 테크놀리지에서 GM코리아컴퍼니로 바뀌면서 토종 브랜드인 대우를 GM의 하청업체로 만드는듯한 느낌이 어느정도 들지만 말이다.. 대우라는 브랜드를 대우의 인지도가 높은 러시아 주변 독립국가연합이나 동유럽쪽에서 계속 브랜드파워를 키워나갔더라면 오펠과 홀덴 그리고 시보레와같은 GM의 대표브랜드로 자리잡을수도 있었는데... 매우 아쉽게 여겨지는 바이다.
  1. 참고로 시보레 엠블럼을 달고 중남미쪽에 다마스와 라보가 가 있기는 하단다. 그래도 안전을 위해서라도 다마스와 라보는 완전한 풀체인지모델이 필요하다고 생각함. [본문으로]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Goodbye Ddong com!! He is in the Hyundai Porter 

2003년 8월 2일에 당시로서는 정말 획기적인 초고사양 조립컴을 받아서 지난 2010년 12월 보름정도까지 업그레이드등을 통해서 나름 본인이 이리저리 고쳐가면서 써왔다. 

그리고.. 그 어느날... 컴퓨터님께서 다른것은 다 부팅이 잘 되는데 하드만 부팅이 안되고 하드를 아무래도 교체해야 될 것같아 결국 수리를 맏겨 본 결과 하드뿐만아니라 메인보드까지 손을 대야한단다... 차라리 그돈이면 새로 하나 사고말지 하는 마음에 수리를 포기하고 굉장한 금컴현상을 경험하면서 컴퓨터를 끊어버릴 수 있었지만.. 나는 블로그에 목이 말라있던지라 학교에서 다 쓰고 사양이 떨어지다보니 갖다 버리는 컴퓨터를 겨우겨우 허락맏고 하나 주어왔다.

그저 뭐 이리저리 블로그 교육 웹서핑용 정도로 이용하는 경우에다가, 뭐 게임을 돌린다해도 그렇게 무거운게임을 돌리겠다는것도 아니겠다.. 간혹 돌려봐야 10년전 나온 게임 하나 돌리는데 그리 고사양도 필요치 않았고 했기에 이전의 오랫동안 사용해오던 컴퓨터님에서 쓸만한 부품들을 모두 이식시켜버리고, CPU만 귀찮아서 갈지 않고있다가 결국 방금 집에 들어오면서, 고장난 전자제품을 사간다는 파란 포터를 만나 결국 그 아저씨에게 본체를 보내버리게 되었다. 

(고장 당시의 글.)

램도 다 빼서 이식했고, CD-R과 RW도 주어온 컴퓨터에 달린것들이 그닥 성능이 좋은것같지만은 않아서 다 갈아버렸다..[각주:1] 뭐 주어온 똥컴도 나름 쓸만한 사양대까지는 만들어 두었는데...(CPU랑 하드 그래픽 빼고[각주:2]) 이렇게 잘 쓰고 있다.

지금 잘 쓰고있는 입양이라기보다 주어온 중고컴. 얘는 2004년 7월 제조되었으며 수명은 2010년 폐기처분으로 끝났어야 했지만, 내가 살려줬고 장기이식도 해줬다.

내용을 예기하자면, 집앞에서 만나게 된 그 아저씨한테 얘기를 하고, 같이 엘리베이터를 타고 와서, 구석진곳에 놓아두었던 본체를 꺼내왔다.

이미 다 떼놓은 부품들에.. 아저씨 曰

"아.. 이거 한참된거네... 5000원밖에 못주겠는데?"

"좀만 더 주세요! 이거 그래픽카드도 정상작동되고..어쩌고 저쩌고......."

결국 이렇게 저렇게 실랑이를 벌이다 이건 재활용도 안되고 금빼내는데에 써야된다면서 얼마 남지도 않는다는 아저씨의 거짓말인지 진실인지 모를 말에 결국 5000원을 받았다.

조립할때는 백만원돈을 호가하던 컴퓨터가, 결국 마지막에는 수백만원이였던 때를 뒤로하고 5000원의 헐값에 팔려나갔다. 아무리 램은 떼어놓았지만 말이다..

지금 쓰고있는 이 컴퓨터도 나중에는 똑같은 혹은 비슷한 길을 걸을 것이다. 수많은 전자제품들이 세상의 모든것들이 다 비슷한 과정으로 돌고 돌아왔었으니 말이다. 

컴퓨터의 순환과정을 보면서 느끼건데.. 인생은 이렇게 허망한걸까??

  1. 본래 달려있던 CD-R도 개판인것같아서 갈아버렸고, 본체를 주어오면서 DVD-RW를 버리던게 있기에 주어왔더니만.. 이것또한 제대로 CD를 읽지 않았다. 결국 고장나서 버린거였었던것이다. [본문으로]
  2. 그렇다. 메인보드 자체의 내장그래픽이다. AGP나 PCI로 따로 그래픽카드를 추가할 수 없다. [본문으로]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