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전에도 몇번 포스팅으로 이 문제에 대한 내용을 다루었었습니다. 국내 1위 포털인 네이버가 몇년전부터 언론사에게 기사 노출에 대한 권한을 주겠다며 새롭게 시도한 정책인 "네이버 뉴스캐스트"에 관련된 이야기입니다. 이미 이전부터 선정적이거나 자극적인 내용과 관련없는 제목을 앞세워 사람을 자신들의 언론사 홈페이지로 그 내용에 관련된 기사를 보고싶어하는 네티즌들을 낚은 뒤 전혀 딴판인 내용의 기사를 보여주거나 고의적으로 선정적인 기사를 노출시켜 유입효과를 얻는등 큰 문제가 되어왔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에 대한 여론의 압박이 심해지자 지난 4월에서야 NHN측에서는 "선정적인 기사를 올리는 언론사에게 그로인한 유입보다 더 쓴 댓가를 치르게 하겠다"면서 그러한 기사를 올린 언론사의 기사를 3시간동안 블라인드처리를 시키는 단속에 나서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두달이 지난 후 그렇게 규제되는 사례는 단 두건... 정말 좋은 취지였지만 이미 언론사들은 구렁텅이를 빠져나가기 시작했습니다.[각주:1]

그리고 아무리 몇번을 강조한다고 하더라도 자극적인 내용의 제목으로 네티즌을 낚아채는 행위는 지금까지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네이버 뉴스캐스트 무려 톱뉴스라는 분류에 "北주부들 마약 집단흡입 환각상태서..."라는 기사제목을 달고있는 국내 3大 일간지라고 불리는 중앙일보의 기사가 떠있습니다. 사실 북한 관련 이야기는 가만보면 조선일보 기사가 대부분이지만 간혹 동아일보나 중앙일보의 기사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간혹가다가 거대한 중앙일간지 조중동이 아닌 그들마저 좌편향되어있다고 주장하며 자극적인 기사를 담는 뉴라이트계열의 인터넷언론인 뉴데일리에서도 북한 관련 기사가 올라오기도 합니다.

개인적으로 북한에도 관심이 많고.. 약간은 기사의 내용이 다를것같이 예상되어 클릭해보았습니다.

 
 "마약, 북한군 장악하다... 실탄지급못하고 허위보고까지"

우리가 보고왔던 네이버 뉴스캐스트의 그 제목과는 엄청난 차이가 있습니다. 전형적인 보수언론의 북한관련 기사들과 큰 차이가 없는 기사로 연결되어왔습니다.

내용을 쭉 읽어보아하니 북한 군인들의 마약중독으로인해 기강이 무너지고 있으며 주민들까지도 동요되고 심지어 중고생들의 생일선물로도 인기리에 이용되고 있다는 내용이였습니다. 그리고.. 주부들이 단체로 마약을 흡입한 뒤 어떻게 되었다는 내용은 어디에 나올까요?


기사 내용 중간에 약 한문장정도만 뉴스캐스트에 뜬 제목과 관련된 내용이 나옵니다.

RFA에 따르면 최근에는 가정주부가 집단으로 마약을 흡입하다 환각상태에서 아파트에서 뛰어내려 숨지는 사건도 벌어졌다.

 분명히 뉴스캐스트에는 
"北주부들 마약 집단흡입 환각상태서..." 라는 제목이였지만 문장을 보니 집단이 동반자살을 했다는 의미보다도 주부 여럿이 마약을 흡입하고 있었는데 그중 한명이 자살을 한것이라는 의미가 더욱 강해보입니다. 

 
어떤분이신지.. 이분의 댓글에 충분히 공감하는 바입니다. 거의 대부분의 내용을 북한군의 마약과 관련된 내용이였고 아래에 작게나마 일반인들의 마약중독에 관련된 내용이였긴 하지만 사실상 북한군의 마약투여와 관련된 기사임에 더 가깝습니다.

특히나 주부가 마약을 한다는 내용은 단 한줄밖에 나오지 않았고.. 그마저도 집단이 했다는것인지 혼자서 했다는것인지 불분명하다고 생각합니다.

이렇게 네티즌들을 자극적인 제목으로 낚아오셔서 살림살이는 좀 나아지셨습니까? 이제는 대표적 중앙일간지들마저도 이렇게 사람들을 낚아와야 하는건지.. 자극적인 글에만 반응하는 우리들도 문제이긴 하지만 굉장히 씁쓸하기만 합니다..

"이 글을 잘 보셨다면 손가락버튼을 눌러주세요. 로그인 없이도 가능합니다." 
  1. http://news.etomato.com/Home/ReadNews.aspx?no=166478 [본문으로]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필자는 지난 월요일 자부심을 가지고 아끼던 델(DELL)에서 나온 스마트폰인 베뉴(Venue)를 결국 대리점에 A/S 접수를 해놓고 대여폰으로 KT Tech 의 "컬러쉐이크"폰을 받아왔습니다. 그리고 오늘 늦은 저녁에 견적에 관련된 전화가 왔습니다. 정확한것은 아니지만 예상견적은 정말 충격 그자체였습니다.
 


오후 6시 35분쯤에 대전 지역번호로 한통의 전화가 걸려왔습니다. 그리고 저를 찾더군요..


그리고 자신이 수리기사임을 밝힌 그분은 저에게 가장 먼저 "어떻게 떨어뜨리셨나요?"라는 질문을 하셨습니다. 그래서 제 자초지종을..[각주:1] 설명드리니 그분께서 굉장히 심각하신 말투로 저에게 다시 물어보시더군요.

"이거 굉장히 심각한데... 액정 유리뿐만이 아니라 메인보드도 휘어있어요!"

그랬습니다. 강한 충격에 이미 외적인 부분 뿐만 아니라 메인보드 자체가 휘어있던 상황이였습니다. 당장 케이스만 바꿔서 새것처럼 쓰려고 했던 제 계획은 모두 무산됨과 동시에 만일 계속 썼더라면 메인보드가 또 어떤 이상을 일으켜서 저를 놀라게했을지 안봐도 뻔한 이야기였죠.

그리고 엄청난 수리비에 대해서도 말씀하십니다. 사실상 자잘한 부품들까지 거의 모든것을 교체해야하며 그러기에는 무려 60만원이라는 거금이 들어간다는군요.
(사실상 8월 KT 폰 출고가를 보면 베뉴는 53만원이였습니다. 배보다 배꼽이 더 큰...)



보험도 실속형이나 저가형같은것 들어두었다가는 큰일날뻔 했습니다.(참고로 가장 보장한도가 높은 고급형이 70만원.) 천만 다행으로 고급형을 가입해둔게 그나마 다 살릴 수 있던 방법이였죠.

그렇게 어쩌고 저쩌고 얘기를 하다가 아예 전손처리를 해버리고 다른종류의 기기 혹은 새 베뉴를 받는것은 또 어떤지에 대해서 문의를 해보았는데, 차라리 이것보다는 자잘한 부품들까지 다 새걸로 갈은게 이득이라는 답변이 돌아와서 결국 그렇게 하게 되었습니다. 어짜피 앞으로 29개월이라는 앞이 안보일정도로 남은 약정기간동안 잘 보살펴서 쓰던지 해야 할 판이죠.

그리고 외산 스마트폰이다보니 자잘한 부품들은 수급에도 꽤 걸린답니다. 양쪽 크롬과 잃어버린 카메라버튼등 플라스틱 재질의 부품가격은 매우 저렴한편이지만 구하기가 힘들다는 단점이라는것이 있답니다;; 그래서 결국은 2주정도 넓게 기다려야 한다고 하더군요. 이제 앞으로 빠르면 다음주까지 정말 늦는다면 2주 후까지 피쳐폰 인생을 계속 살아가야 할 상황입니다.

 

70만원이라는 한도 내에서 60만원정도로 모든 부품을 다 교체하게 되면 보상한도액의 대부분을 써버림으로써 이번과 같은 엄청난 상해속에서 보험도 거의 무용지물 수준입니다. 그때쯤 가서 보험과의 작별인사를 하던지 아니면 남은 몇만원을 위해 남겨둘지는 잘 생각해봐야죠. 

그래도 가장 중요한것은 내 스마트폰을 잘 챙기는것입니다. 이렇게 한번에 훅가는 경우도 있으니 말이죠. 보험이라는 방패가 있어서 한번의 재앙은 어느정도 충격을 완화할 수 있었지만 더이상 제 구실을 하는 방패없이 쓸쓸히 지켜나갈일만 남았습니다. 아.... 베뉴....

"이 글을 잘 보셨다면 손가락버튼을 눌러주세요. 로그인 없이도 가능합니다." 
  1. 자전거를 타고 가다가 요철을 밟아 떨어지게 됨. [본문으로]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