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에 해당되는 글 488건

반응형


인구 5만명 수준의 작은 중소도시 울진.


1963년 강원도에서 경상북도로 편입된 이후 현재에 이르고 있습니다. 동해안을 끼고 조성된 여러 관광지와 함께 원전이 있는 동네입니다. 7번국도와 동떨어진 타지역에서 접근하기에는 경북 오지 BYC가 훨씬 더 접근성이 좋은 수준입니다. 여튼 삼척이나 포항으로 가는 7번국도의 확장공사가 모두 끝나 태백산맥을 건너지 않고 동해안으로 이동하기에는 비교적 수월합니다. 다만, 태백산맥 반대편에서 접근하기에는 아직 국도 제 36호선의 직선화 공사가 끝나지 않아 매우 불편하지요.


여튼 불영계곡의 구불구불한 고갯길을 건너 힘겹게 울진에 들렸다가 울진을 빠져나가기 위해 터미널에 들렸습니다.



지상 2층 규모의 70년대 분위기가 물씬 풍겨오는 건물입니다.


종합버스터미널이라는 이름에 걸맞게 시외버스와 농어촌버스가 동시에 정차합니다.



서울행 부산행 울산행 태백행 버스 시간표입니다.


시외버스임에도 온갖 면소재지는 다 경유하는 완행이 있고, 준무정차라 불리우는 버스가 존재합니다. 서울행 버스도 영동고속도로를 타는 노선과 중앙고속도로를 타는 노선이 존재하는데 동서울행과 고속터미널행이 하루에 각 1회씩 완전무정차로 운행됩니다. 그 외에는 자잘한 면소재지를 경유하여 봉화나 영주같은 주변 도시를 거쳐갑니다.


부산행과 울산행 버스는 모두 포항을 경유하여 부산과 울산으로 향합니다. 거기에 특이하게도 태백행 버스가 일 6회 운행되고 있네요. 자잘한 면소재지 경유 없이 태백으로 향하는 차량 중 일부는 태백을 거쳐 하이원리조트가 소재한 고한까지 가기도 합니다.




포항~대구 준무정차 차량과 삼척 동해 강릉행 준무정차 차량 시간표입니다.


위에서 보았던 포항 직통차량도 포함된 시간표입니다. 평해 후포 영해 영덕 강구를 모두 혹은 일부 경유하여 포항으로 향한 뒤 포항에서 대구 부산 울산으로 향합니다. 인구 5만명 수준의 작은 도시 치고는 영남권 주요 대도시로 가는 버스노선이 완비되어 있습니다.


7번국도를 따라 강원도 방향으로도 올라가는 준무정차 노선도 존재합니다. 강릉 삼척 동해 속초에 거진까지 올라가는 차량들도 있네요. 영동지방 주요 도시들만 경유합니다.




완행 시외버스 시간표입니다.


남행. 그러니까 남쪽으로 가는 길목의 평해 후포 영덕 강구 포항 경주를 모두 거쳐서 대구나 부산으로 가는 버스도 있고, 하루에 딱 한대 있는 포항을 거쳐 수도권(오산 수원 안산 인천)으로 향하는 버스도 완행에 표기되어 있습니다.


북행은 강원도 방면으로 모든 경유지를 거치는 버스네요. 죽변 부구 삼척 강릉을 모두 거쳐 속초까지 올라가는 버스의 시간표입니다. 남행이고 북행이고 할 것 없이 완행버스의 운행횟수가 상당히 많이 줄었음을 시간표를 통해 느낄 수 있었습니다.


여튼 좀 더 여유있게 보고 오고 싶었습니다만, 버스시간에 임박해서 간단히 시간표 사진만 찍어왔네요. 다음에 언제가 될진 모르겠지만 울진에 간다면 좀 더 여유있게 보고 오고 싶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경기도 서남부. 인구 66만의 계획된 공업도시 안산.


공업도시인지라 전 세계에서 모여든 외국인 노동자들의 중심지도 여기고, 여러 사건사고로 인해 '안산드레아스'라는 오명을 얻기도 했습니다만, 대부도를 제외한다면 도시 전체가 사실상 80년대 개발로 만들어진 지역이기에 살기엔 더할나위없이 좋은 동네가 아닐까 싶습니다. 


계획된 공업도시 안산의 터미널은 시외버스와 고속버스가 함께 정차하는 종합터미널이며, 부지도 넓은편에 속합니다.




대합실의 규모는 생각만큼 크지 않습니다.


매표소 창구는 두군데만 문을 열어놓았고 그마저도 20시에 퇴근을 하면 무인발권기를 이용해야만 한다고 하네요.



터미널 내에선 매점(마트)과 식당 및 분식집 서너군데가 성업중입니다.



2층에는 본래 예식장이 소재했으나, 현재는 하이마트가 입점중입니다.


다만 바로 옆 롯데마트에도 하이마트가 있고, 길 건너편 홈플러스에도 전자제품 판매 매장이 있답니다.



서울,경기도방면 및 강원도방면 버스 시간표입니다.


수도권 노선으로는 동서울,안중(포승),평팩,고양,포천,양평,인천,이천,여주,안성,용인,의정부행 버스가 있습니다. 사실상 시외버스 말고도 교통수단이 많은 수도권이지만, 그래도 꽤 많은 노선이 운행중입니다.


강원도 노선 역시 3대 도시인 춘천과 강릉 원주행 노선 뿐만이 아니라 홍천 속초 신남/인제 원통 영월 태백행 버스도 있습니다. 생각보다 갈 수 있는 곳이 많습니다.



충청도 및 경상도 방면 버스 시간표입니다.


충청도 대표도시 천안과 청주 그리고 대전복합터미널행. 충북의 충주(교통대,건국대),제천,단양,진천,증평행 버스가 있으며 충남의 당진 서산 태안 홍성 보령행 버스가 존재합니다.


경상도 방면으로는 대도시 대구(북대구,동대구) 부산(동부,해운대) 울산행과 함께 경남의 마산 창원 김해 양산 거창 진주 통영행. 경북의 포항 상주 점촌 안동 영주 구미 의성행 버스가 존재합니다.


거창이나 의성같은 중소도시행 버스가 다닌다는 모습이 의외네요.



전라도방면 시간표와 요금표입니다.


경상도에 비해 전라도 이주민들이 많은 안산임에도 전라도행 버스가 경상도 대비 적습니다.


광주와 전주 목포행 버스가 가장 많고, 군산 익산 순천 여수 광양 부안 정읍 담양 순창 고흥행 버스가 존재합니다. 



공항버스 역시 터미널에서 출발합니다.


인천공항(T1,T2)행 버스는 일47회 운행하며, 김포공항행 버스는 일 22회 운행합니다.



총 14대의 버스가 정차 할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


하차장은 플랫폼 옆에 따로 있으며, 플랫폼을 마주보고 각 운수회사 사무실이 들어와 있었습니다. 이름도 비슷한 이웃동네 안양이 변변찮은 터미널 하나 없는 상황임을 감안한다면 계획도시 안산은 정말 살기 좋은 도시가 아닐까 싶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