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도리의 일상이야기'에 해당되는 글 1385건

반응형


킥보드 수리가 완료되었다는 이야기를 듣고 천안에 다녀왔습니다.


약 3주만에 수리가 끝난 킥보드를 받아오고 마침 생각이 난 김에 1년 다니고 6년 휴학한 뒤 자퇴원서를 작성했던 모교라면 모교인 상명대에 다녀왔네요. 작년에 자퇴원서를 작성하고 이메일로 제출하며 방문하지 않았던 것으로 기억하는데, 그럼 최근 방문이 언제인가 곰곰히 생각해 보니 재작년이네요.


삼각떼를 타게 된 이후로는 사실상 처음 다녀오지 않았나 싶습니다.



작은 정문. 허전한 주차장.


낮에 찾아오면 주차장에 차들로 가득차고 돌아다니는 학생들이 가득 차 있습니다만, 저녁에 오니 그런 모습은 쉽게 볼 수 없습니다. 정문 주변 대학가에도 사람이 몇명 돌아다니기는 하지만, 그리 번화한 모습은 아닙니다. 농구단 랩핑이 되어있는 학교 셔틀버스의 모습도 그대로고, 정문 근처의 모습은 뭐 하나 바뀐게 없습니다.





정문에서 바라보면 멀리 본관이 보입니다.


캠퍼스 설립 당시 지어진 건축물인데, 지금은 본관보다도 지상 10층 규모의 한누리관이 이 학교의 랜드마크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우측 도서관 건물에는 우체국이 존재합니다. 처음 이 학교에 왔던게 8년 전 일이지만, 그때나 지금이나 크게 달라진건 없어보이는 느낌입니다.



학교 맨 꼭대기 한누리관에 도착했습니다.


시간이 늦어 출입은 불가합니다. 이 학교에서 가장 큰 건물이다보니 대다수의 수업과 실습도 이 건물에서 진행했었고, 교수연구실과 대다수의 학과 사무실도 이 건물에 자리잡고 있었던것으로 기억합니다. 최상층에는 뉴욕핫도그와 교직원 식당이 있어 사실상 한 건물 내에서 학교 생활의 거의 모든것을 해결 할 수 있는 수준의 건물이였습니다.


그래봐야 수업을 들었던 기억보다는 휴학원서 가지고 8층에 올라갔던 기억이 더 많이 남아있습니다.



조금 일찍 왔으면 좋았겠건만... 날이 어두워지니 간단한 구경을 마치고 돌아가기로 합니다.


본관 뒷편 주차장에 세워져 있었던 흰색 비스토는 아직도 건재했습니다. 농구단 랩핑이 된 버스 말고 일반적인 도색의 버스였던 BH120F는 보이지 않더군요. 독도 조형물도 있고 좐선배라 불리던 사람 모양의 조형물도 있습니다만, 날이 어두워서 그런 조형물들은 다 보고 오지 못했네요. 


버스커버스커가 승승장구 하던 모습을 보며 들어왔던 학교를 결국 졸업하지는 못했습니다. 학과 이름도 스마트정보통신공학과라고 길어졌다고 합니다. 느지막에 중도하차의 아픔을 딛고 방통대에 입학해서 다시금 1학년 생활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번 도전은 부디 실패하지 않았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아프지 않았더라면, 혹은 중간에라도 복학했더라면 지금의 저는 무얼 하고 있었을지 모르겠습니다만 지금의 제가 알고 있는 사람들도 알지 못했을테고 저 차도 당연히 없었을테고 여러모로 지금의 삶이 만족스럽지는 않더라도 지금 알고 지내는 이들을 알지 못했을테니 전혀 후회하지는 않니다.


나중에 시간이 된다면 낮에 와서 구경하고 가기로 합시다. 이미 자퇴한 학교 뭐하러 보러 가냐 하는데, 그냥 근처만 오면 한번쯤은 둘러보고 가고 싶은게 사람 마음입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2020/04/25 - [티스도리의 일상이야기] - 기중기운전기능사 자격증 취득기 (1) 새로운 시작.

2020/04/27 - [티스도리의 일상이야기] - 기중기운전기능사 자격증 취득기 (2) 조작법 익히기

2020/05/03 - [티스도리의 일상이야기] - 기중기운전기능사 자격증 취득기 (3) 부분동작 연습하기

2020/05/06 - [티스도리의 일상이야기] - 기중기운전기능사 자격증 취득기 (4) 연속동작 익히기

2020/05/10 - [티스도리의 일상이야기] - 기중기운전기능사 자격증 취득기 (5) 폭우, 왼발 사용하기.

2020/05/15 - [티스도리의 일상이야기] - 기중기운전기능사 자격증 취득기 (6) 왼발 사용, 크레인 제원

2020/05/18 - [티스도리의 일상이야기] - 기중기운전기능사 자격증 취득기 (7) 연습, 여러 스티커들

2020/05/20 - [티스도리의 일상이야기] - 기중기운전기능사 자격증 취득기 (8) 악셀페달 일정하게 밟기

2020/05/24 - [티스도리의 일상이야기] - 기중기운전기능사 자격증 취득기 (9) 시간 측정하기

2020/05/28 - [티스도리의 일상이야기] - 기중기운전기능사 자격증 취득기 (10) 서두르지 않기

2020/05/31 - [티스도리의 일상이야기] - 기중기운전기능사 자격증 취득기 (11) 정리된 주변환경

2020/06/04 - [티스도리의 일상이야기] - 기중기운전기능사 자격증 취득기 (12) 강사님의 채점

2020/06/08 - [티스도리의 일상이야기] - 기중기운전기능사 자격증 취득기 (13) S자 코스 주행실습

2020/06/10 - [티스도리의 일상이야기] - 기중기운전기능사 자격증 취득기 (14) 주행실습-2


기중기운전기능사 자격증 취득기 벌써 15일차 이야기입니다.


사실상 16일차까지 연습을 할 수 있는 상황이고, 17일차는 몇시간 되지 않는데다가 바로 시험을 보는 분들이 계신지라 아마 그분들 위주로 연습이 진행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16일차는 오전에는 기중작업 오후에는 주행을 한다고 하네요. 뭐 주행이야 한두번 타고 부족한 분들께 양보하면 될테니 사실상 하루종일 크레인에 올라타서 기중작업을 하는건 15일차가 마지막이 아닐까 싶습니다.



오전에는 그동안 밀려있던 NCS 교육이 진행되었습니다.


그동안 담당 강사님이 여러번 바뀌고 했던지라 전반적으로 혼란스러운 분위기 속에 교육기간이 지나갔고, 합격률이 낮은 편에 속하는 기중기이다보니 아무래도 탑승 위주의 교육이 진행되어 NCS교육을 할 시간이 없었습니다. 오전에는 NCS 교육이 진행되었는데, 타워크레인 교육 시절 들었던 내용과 큰 차이는 없었습니다.


아 물론 NCS 교육과정의 일환인 타워크레인의 지브 들어보기 같은 실습은 없었습니다. 타워 주말반 2기 역시 팬던트를 활용하여 무선조종을 하는 실습만 했지 지브를 들어보는 실습은 하지 않았더군요. 기중기반은 1기 대비 사람도 적고 주행연습시간도 늘어나서 훨씬 나아진 환경이라 생각됩니다만, 타워반은 그렇지 못한 느낌입니다.



뭐 오늘도 평범하게 기중작업이 진행되었습니다. 사실상 한 주 건너뛰고 2주만에 탄다고 봐야 맞겠죠.


지난주 13일차 역시 오전에 기중작업 연습을 하고 오후에 주행장으로 넘어갔습니다만, 거의 마지막 번호인 저는 빨리 차를 옮겨야 한다며 기중작업을 1회밖에 할 수 없었습니다. 아 물론 그 1회도 옆에 다른 수강생과 얘기를 나누다 보니 실수를 했었습니다. 그러니 사실상 2주만에 탄다고 봐야 맞겠죠.



차분히 운행합니다. 총 4회 탑승 후 오후에도 4회 탑승.


이후에도 시간이 남아 2회씩 운행한다 합니다만, 역시나 퇴근시간이 임박해서 1회 운행. 총 9회 운행했네요.



오후에는 매우 덥습니다.


올라가는게 힘들 뿐 운전실 안에는 에어컨이 가동되는 타워크레인과 달리 기중기에는 에어컨이 있으나 고장났다고 합니다. 그렇다고 유리창에 틴팅이 된 것도 아니니 직사광선은 그대로 들어오지요. 그나마 바람이 통하도록 문을 다 열어놓고 타는게 더위에 대한 대비책의 전부입니다.



차분히 탔습니다. 객기 부릴것도 없고요 악셀도 전보다는 소심하게 밟았습니다.


그렇게 타니 대략 2분 50초대 시간을 기록하네요. 풀악셀 치고 타면 2분 30초대가 나왔던 것으로 기억됩니다만, 살살 타도 충분히 제한시간 내에 안전한 기중작업이 가능했습니다. 아직도 제한시간 내에 들어오지 못하는 분들이 많이 계신지라 크게 걱정할 수준은 아닙니다. 이후 시간을 측정해도 2분 50초대 내에서 왔다갔다 했네요.



마지막 탑승을 기다립니다.


막상 이제 얼마 남지 않았음을 생각하니 시간이 참 빠르게만 느껴집니다. 이후 주말에는 뭘 해야 좋을까요. 당분간은 좀 쉬다가 제공되는 무료수강권으로 지게차를 배워볼까 생각중입니다. 국비도 무한정 쓸 수 있는게 아니니 아껴야 하고요. 일단 조금 쉬고 더위좀 꺾이면 생각해봐야겠습니다.



마지막 탑승을 기다리며 기중기 곳곳을 살펴봅니다.


한 자리에 고정되어 기중작업을 하는 기중기의 배기구로 검은 매연이 나온 모습을 볼 수 있었습니다. 미세먼지의 주범인 디젤 매연인데, 기중기 역시 정식 등록된 건설기계에 해당되다 보니 조기폐차 대상입니다. 대표적인 건설기계인 덤프트럭과 레미콘 믹서트럭만 조기폐차가 되는게 아니라 이 트럭형 기중기 역시 조폐대상이지요.



엔진 과열을 막기 위해 열어둔 엔진룸에서 엔진도 볼 수 있었습니다.


닛산디젤의 논터보 PE6 엔진입니다. 물론 초창기엔 220마력으로 셋팅되어 출시되었으나 개선형인 이 엔진은 최대출력 230마력을 자랑합니다. 닛산디젤 각인이 선명한 커버의 모습과 MADE IN JAPAN이 붙은 스티커의 모습에서 엔진 역시 일본 직수입임을 알 수 있었습니다. 물론 자연흡기 엔진인지라 터보차저가 장착된 차량보다 힘을 쓰진 못하지만, 그럭저럭 기중작업에는 문제가 없었습니다.


여튼 15일차 역시 마무리되었습니다. 끝을 향해 달려가는 기중기 교육. 16일차로 뵙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