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도리의 일상이야기'에 해당되는 글 1385건

반응형


며칠 전 방통대 합격문자가 왔습니다.


뭐 지원자가 초과되어 예비번호를 부여한 두 학과를 제외하고는 정원이 초과되지 않아 지원자는 다 합격했다고 하네요. 제가 지원한 미디어영상학과는 해당사항이 없었습니다. 여튼 방송통신대학교는 저렴한 학비에 양질의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교육기관입니다. 


거기에 국가장학금을 받게 된다면 8분위까지는 등록금 전액 지원. 9분위는 자부담 약 3만원만 내면 되니, 10분위 티타늄합금수저가 아니라면 사실상 교재비와 기타 경비만 내고 대학에 다닐 수 있다는 이야기가 됩니다. 거기에 국가장학금에는 나이제한이 없습니다.


뭐 여튼 30만원이 아쉽지 않은 부자가 아닌 이상 방송통신대학교는 사실상 교재비와 내도 그만 안내도 그만인 발전기금이나 학보 구독비를 제외하면 큰 경비가 들어가지 않습니다. 생각보다 대한민국은 교육환경에 있어서는 매우 살기 좋은 나라입니다. 많은 관심 가지셨으면 좋겠습니다.





방통대 합격자 발표 페이지에 접속하여 정보를 확인합니다.


1차와 추가모집 이후 2차 등록기간이 존재합니다. 등록금 고지서를 출력하여 국민은행이나 신한은행 우체국에 가서 납부하거나, 국민카드 혹은 삼성카드로 납부가 가능합니다. 삼성카드 기준으로 3개월 무이자 할부까지 진행해주네요. 앞으로 사용하게 될 방송통신대학교 아이디를 등록하고, 수강 교과목을 확인하거나 교재나 학보사 홈페이지에 접속하셔도 됩니다.


등록금과 함께 교재비, 학보구독비, 학생회비, 대학발전후원금을 함께 요구합니다. 다만 등록금을 제외하면 모두 선택사항인지라 내도 그만 안내도 그만입니다.


일단 오늘까지임을 확인하고 급하게 납부를 하기 위해 삼성카드 홈페이지를 찾았습니다. 삼성카드 홈페이지 내 검색창에 등록금을 검색하면 등록금 납부 서비스로 이동합니다. 등록금 납부 서비스에서 카드 인증을 한 뒤, 대학과 학번을 선택하여 납부하면 됩니다. 무이자 3개월까지 가능하네요.



등록금과 교재비 기타 자잘한 경비를 포함한 금액 509,500원.


신청 버튼을 누르기가 무섭게 결제되었다는 문자가 날라옵니다. 어짜피 조만간 국가장학금으로 30만원정도는 받아낼 돈이니 큰 부담은 아닙니다. 이제 새학기 새 시작만 남았네요. 부디 중도하차 없이 완주 할 수 있기를 기원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타워크레인 운전기능사 자격증 취득기 그 다섯번째 시간입니다.


명절을 건너뛰고 2주만에 다시 찾은 기술학교. 그리고 벌써 2월입니다. 총 16회 교육 중 5회차를 이수했고, 필기시험도 벌써 다음주로 다가왔네요. 첫 시작은 고민도 많았고 두려움도 가득했지만 고민과 두려움은 자신감으로 점점 채워지고 있습니다.





평화로운 토요일 아침. 

2020년 2월의 첫날이기도 하고, 지게차와 굴삭기(포크레인) 과정도 개설되었습니다.


기존에 기중기반과 타워크레인반이 함께 강의시를 쓰는것도 복잡했는데, 이제 지게차와 굴삭기를 배우러 온 사람들까지 해서 학원 자체는 주말에도 사람들로 붐비게 되었습니다. 여러모로 주말에 이곳에 나오는 사람들은 평일에는 생업에 종사하고 주말에 시간을 내어 와서 배우는 매우 성실한 사람들입니다. 저처럼 집이 가까운 사람들도 있지만, 대부분 멀리서 찾아와서 주말을 모텔이나 찜질방에서 지내다 갑니다.


명절이 끝나고 다시 찾아온 토요일. 총 수강생 8명 중 4명만이 오전 수업에 참여하였습니다. 그런고로 오전에 여유롭게 타고, 오후에도 조퇴를 하신 분들과 느지막에 오신 분들까지 해서 총 6명인지라 하루에 두번 타워에 올라 갈 수 있었습니다.


오늘은 타워크레인의 운전실 위로 나와 중심을 잡는 카운터지브 위를 올라가기로 합니다.



카운터 웨이트(counterweight)라고 하는 평형추입니다.


쉽게 얘기하자면, 타워크레인에서 물건을 들어올리는 트롤리가 움직이는 메인지브 뒤 짧은 지브에 중심을 맞추기 위해 이런 콘크리트 블럭 덩어리를 달아두는겁니다. 메인지브의 길이가 길어지면 길어질수록 이 콘크리트 추는 늘어납니다. 그러니까 비대칭형인 타워크레인의 무게중심을 맞추기 위해 달아놓은 덩어리라고 보면 되겠죠.



카운터웨이트 방향에서 바라본 캣타워와 메인지브.


타워크레인의 운전석 위에 뾰족하게 올라온 저 구조물을 캣헤드(Cat Head)라고 합니다. 메인 지브와 카운터 지브를 지지하면서 각기 캣 해드에 연결해주는 구조물입니다. 물건을 들어올리는 와이어는 캣헤드의 도르레를 거쳐 메인지브의 권상모터를 거쳐 내려가고 올라갑니다.


여러모로 바닥이 구멍으로 뚫려있어 상당히 무섭습니다. 처음에는 두려웠지만, 조금 지나니 적응되어 별 문제 없더군요. 물론 처음에 타워크레인에 올라왔을때도 두려웠습니다만, 지금은 아무렇지도 않은것처럼 말이죠. 높이는 그리 높지 않습니다. 아파트 8층 높이 수준이니 말이죠.



카운터지브 끝자락에 달린 권상모터와 와이어를 감아주는 드럼의 모습도 확인하고 갑니다.


물건을 들어올리는 와이어를 동작시키는 모터입니다. 어마어마한 무게를 들어올리는 모터입니다만 크기는 그리 크지 않습니다. 역시 전기로 작동되며, 터보차저처럼 생긴 냉각모터가 따로 달려있습니다. 냉각모터는 강제로 공기를 흡입하여 냉각을 시키는 방식이기에 비가 오거나 습한 날에 작동하면 모터에 무리를 줄 수 있다고 합니다.



다시 운전실로 내려와 운행을 시작합니다.


오늘 새로 온 굴삭기 수강생들이 원장님의 시연을 열심히 보고 듣는 모습이 보입니다. 천장크레인을 제외한 나머지 과정의 주말과정이 개설된 모습입니다. 타워크레인 과정이 끝나면 다음에는 어떤 과정을 수강해볼지 고민이네요. 자기부담금 20만원 수준에 나름대로 알찬 주말을 보낼 수 있습니다.



2월인데도 난방기를 가동하여 상대적으로 온화한 운전실 내부에는 파리가 창궐합니다.


한달간의 노예생활을 했었던 블랙기업의 직원휴게실 뺨치는 수준은 아니지만, 그래도 좁은 공간에 파리가 꽤나 많습니다. 특단의 조치로 양 옆 창문과 운전석 앞 유리를 열어서 파리를 내쫒았습니다. 물론 다수의 파리들은 반 강제로 춥디 추운 밖으로 떨어졌지만, 그럼에도 바닥에 은신하여 살아남은 파리들이 몇마리 있었습니다.


그렇게 오전 탑승을 마치고, 오후에 한번 더 탑승을 하였습니다.



서두르다가 실수가 잦았던 오전 탑승과는 달리 차분하게 타기로 마음먹었습니다.


뭐 올라가고 내려오는게 일이지 타는건 큰 실수만 하지 않으면 다들 합격선에 도달하였습니다.



그렇게 5일차 탑승도 무난히 마무리 하였습니다.


앞으로 남은 기간동안 열심히 타서 숙련된 상태로 시험 전까지 버티는것이 목표입니다. 물론 시험 전에도 감을 익히라고 타게 해준다고는 합니다만, 한달을 쉬더라도 문제가 없는 상태를 만드는게 제 목표입니다.


6일차 이야기로 다시 뵙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