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말하자면 깁니다.


대략 일주일 전부터 검은 변을 보기 시작했습니다. 처음에는 선지국을 먹었으니 그렇겠거니 싶어 별 대수롭지 않게 넘어갔습니다만, 일주일째 가루같은 설사와 함께 검은 변을 보니 뭔가 겁이 나기 시작합니다. 동네 내과에 들렸습니다. 혈변을 본다 하니 혈압을 측정합니다. 건물 2층에 있는 내과인지라 조금 걸어서 올라왔더니만 혈압이 높아 이곳에서는 내시경을 할 수 없으니 큰 병원에 빨리 가 보라며 진료의뢰서를 하나 줍니다.




일주일 동안 흑색변을 지속적으로 보는 환자입니다. active bleeding이 의심되오니, 입원하여 출혈에 대한 위대장 내시경등 검사를 빨리 시행하시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됩니다.


active bleeding. 활동성 출혈이라는 전문 용어가 들어갑니다만, 의학 지식이 없는 제가 봐도 충분히 이해를 할 수 있는 소견을 적어주었습니다. 자칫 잘못하다가는 사망에 이를 수 있다고 하기에 내심 겁을 먹고 집에 들어가 만반의 준비를 마친 뒤 가장 가까운 큰 병원인 홍성의료원으로 향했습니다.


아 물론 병원으로 향하다가 펑크가 나서 거기서 시간을 잡아먹었구요...



그렇게 내시경 검사가 가능한 홍성의료원으로 향했습니다만.....



입구컷 당해버렸습니다.


약간의 감기기운이 있다고 하니 체온은 정상이지만, 일단 선별진료소로 보내더군요. 선별진료소를 무조건 통과해야만 한다고 합니다. 뭐 이런 법이 다 있느냐고 항변합니다만, 방법이 없다네요. 결국은 대략 열흘만에 선별진료소에 다시 가는 처지에 놓였습니다.


여튼 선별진료소에 왔습니다. 의료원 입구에서 작성했던 문진표를 보여주고, 고생하는 진료소 담당 공중보건의 선생님께 얘기를 하니 일단 의료원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이 부분을 확실히 하고 가야만 한답니다.



결국 선별진료소 옆 컨테이너 휴게실에서 잠시 머무니 저를 부릅니다.


방진복과 고글을 쓴 사람이 저를 데리고 응급실 안 진료소로 들어갑니다. 이런 이유에서 큰 병원에 가 보라 해서 왔다고 진료의뢰서를 보여주니 진료를 보는 전문의 선생님과 방호복에 고글로 무장한 간호사 선생님들이 여기저기 전화를 돌립니다.


진료의뢰서상으로는 매우 심각한 상황이라고 하는데, 약간의 감기기운이 있는 환자를 들여보내냐 마느냐 혹은 입원이 가능하냐를 놓고 여기저기 전화를 돌리더랍니다. 애초에 전례가 없던 비상사태로 만들어진 선별진료소인지라 이런 경우 어떻게 해야 하는지 가이드라인이 잡힌것도 아니니 일선 현장에서는 혼란에 빠질 수 밖에 없더군요. 저 역시나 방진복과 고글로 무장한 사람들 사이에서 지레 겁을 먹고 있었습니다.


결론은 코로나 검사를 하고 검사 결과가 나오는 시간까지 기다린 뒤 내시경 검사를 받는 쪽으로 진행하려 했습니다만, 홍성의료원 음압병동에 확진자가 치료중이기도 하고 결국은 제게 내어 줄 수 있는 입원실도 없는데다가 출혈이 의심되는 이쪽이 훨씬 더 급한 사안이니 다른 병원으로 가라 하네요.


그렇게 천안쪽 큰 병원으로 가라는 얘기와 함께 홍성의료원에서 쫒겨났습니다.


뭐 방법 있나요... 천안 순천향대 단대병원 응급병상 역시 전화를 돌려보니 만석이라고 하고.. 천안으로 가던 길에 혹시나 싶어 아산충무병원으로 차를 돌려 들어갔습니다.


아산충무병원 응급실. 뭐 일단 들어가서 진료의뢰서를 보여주고 링거부터 맞습니다.


조영제를 넣고 CT와 X-RAY를 촬영하고, 혈액검사와 배변검사를 진행합니다. CT상으로는 혈관종과 지방간이 나타난 것 외 특이사항은 없다 합니다. 코로 호스를 집어넣어 검체를 채취하려 했습니다만, 코뼈가 휘어있어 결국 실패했습니다. 여튼 응급실 검사로는 빈혈도 없고 변에서 혈액반응이 있지도 않아 결론적으로 특이사항이 발견되지 않았지만, 다음날 내시경 검사를 위해 입원을 진행합니다.




링거 두개가 걸려있습니다. 거기에 시간마다 다른 주사가 하나씩 추가되곤 하네요.


그렇습니다. 금식에 물조차 허용되지 않았습니다. 3일날에도 물 몇잔 마신게 전부였습니다. 배는 아프고, 화장실에 가도 검은 설사가 계속 나옵니다. 그렇게 병실에서 자다 깨다를 반복하며 버텼습니다.


병원 자체는 사실상 지어진지 대략 10년쯤 된 그리 오래된 건물도 아닙니다만, 신관 준공과 함께 일부 시설이 신관으로 옮겨가고 리모델링 공사가 진행중이더군요. 뭐 여튼 병원 내부 시설은 매우 깔끔하고 좋았습니다.



새벽쯤 되니 쿨프렙이라는 이름의 분말을 물에 섞어서 여러통 주시더군요.


비타민C 함유 전처치용 세정제라는 설명을 달고 있는 이 분말을 물에 타서 대략 네다섯통을 먹었습니다. 맛은 비타민C에 소금을 탄 것 같은 맛. 썩 좋은 맛은 아녔습니다만, 계속 먹어야 검사가 가능하다기에 질리도록 마셨습니다. 마시다 보니 처음에는 검은 변이 나오다가 가면 갈수록 노란 오줌과 같은 변이 나오더군요.


여튼 고생 많이 했습니다. 그리고 시간이 지나 내시경실로 향했습니다.



(이미지뱅크 같은 사이트에서 대충 퍼온 이미지)


위 아래로 내시경 카메라가 다 들어가야 합니다. 뒤가 뚫린 바지를 입고 한쪽으로 구부린 채 누웠습니다. 마취제가 투여되고 대략 40여분정도 지나니 침대에 누워있더군요. 그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 입원병동에 가 있으니 검사결과를 알려주십니다.


소장을 제외한 위 아래로 들어갈 수 있는 곳은 모두 다 들어갔지만 출혈이 있는 부분은 없었고 위염이 조금 있다고 하네요. 일단 퇴원하고 일단 약을 먹으면서도 증상이 계속된다면 내원을 해 보라 합니다. 소장은 캡슐 내시경을 하는 곳으로 가야 한다고 합니다만, 확률상 추천하지는 않는다 합니다.


여튼 장기 입원을 염두하고 갔습니다만, 다행스럽게 단기 입원으로 끝이 났습니다. 다시 집에 돌아왔고요. 죽으로 끼니를 떼웠습니다. 앞으로는 부디 이런 일이 없도록 식단관리에 만전을 기해야겠습니다. 시트콤 줄거리 같던 이틀간의 이야기였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타워크레인 국비교육도 끝을 향해 달려가고 있고, 정기 기능사 실기시험의 접수가 시작되었습니다.


정기 기능사 실기시험의 접수는 오전 10시 시작. 시간이 그렇다보니 일은 포기하고, 큐넷에 접속하여 오전 10시가 도래하기만을 기다렸습니다. 물론 코로나19의 여파가 3월 말 ~ 4월까지 지속된다면 아마 상시시험처럼 정기시험도 밀리겠지만 그건 나중에 생각해도 될 일이니 일단 접수부터 하고 봅니다.


타워크레인 운전기능사의 경우 제가 국비교육을 받은 학원에서도 시험이 치뤄집니다. 시험은 4월 5일과 4월 19일 오전과 오후로 나뉘어 총 4회. 20명 정원으로 실시되는데, 일단 빠른 날짜 빠른 시간에 보기 위해 필사적으로 시험 접수를 하기로 합니다.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운영하는 큐넷(http://www.q-net.or.kr/)에 미리 접속합니다.


10시 전부터 존버(?)를 하는 사람들이 있긴 합니다만, 10시가 가까워질수록 페이지 새로고침시 점점 사람들이 몰리고 로딩이 느려지는것이 느껴집니다. 물론 PC와 함께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으로도 응시원서의 접수가 가능합니다만, 굳이 스마트폰과 컴퓨터 두개를 놓고 응시를 하고싶은 생각은 없어 PC로만 접수를 시도하기로 합니다.


역시나 서버시간으로 10시가 넘어가고 국가기술자격 정기시험의 접수 버튼이 생성됩니다.


접수하기 버튼을 누르니 접속대기 안내가 뜨는군요. 대략 4천여명이 같은 페이지를 보고 있습니다.



접수 종목을 선택하고, 장애여부를 선택한 뒤 고사장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필기시험 접수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대기인원은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늘어 대략 7000명 가까운 사람이 한꺼먼에 몰려있는 상황입니다. 코로나고 나발이고 자격증은 취득해야겠다는 사람들은 많았습니다.




시험 장소를 선택하고, 검정수수료를 결제합니다.


수수료는 19,500원. 카드 계좌이체 휴대폰 소액결제 등등 여러 결제수단을 통해 납부가 가능합니다. 뭐 그렇다 쳐도 카드가 가장 편한지라 신용카드로 결제하기로 합니다.



결제창을 닫고 접수를 완료하는데도 기다림이 필요합니다. 여기서 튕기면 억울합니다.



그렇게 서버가 열린지 4분만에 응시절차를 모두 마쳤습니다.


시험 시작시간은 8시 30분. 현장에서 제비뽑기로 순서를 정하는지라 시험 순서는 알 수 없습니다. 어느정도 타워크레인이 손에 익었으니 처음에 탄다 한들 마지막에 탄다 한들 크게 문제가 될 건 없지만 말이죠.



그렇게 모든 절차를 마치고 응시원서를 출력합니다.


4월 5일 오전 8시 30분. 대략 한달 뒤 시험이고, 국비교육은 다음주에 끝이 납니다만 좋은 결과가 있기를 기대해야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