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도리의 일상이야기'에 해당되는 글 1409건

반응형


허니버터 시리즈의 인기가 종전에 비해서 식었다고 말들 하지만, 아직까진 건재합니다.


온갖 공산품에 허니버터라는 이름이 붙기 시작했고 심지어 신축 원룸 이름에도 허니버터가 들어가니 말 다했죠. 해태제과는 허니버터 시리즈를 계속해서 내놓고, 기타 경쟁사들도 비슷한 느낌의 과자를 앞다투어 내놓고 있습니다. 이것은 마치 수년 전 꼬꼬면 사태를 보는 느낌이 들기도 합니다.


뭐 여튼 요즘에도 종종 허니버터칩 있냐고 묻는 손님이 있고 비슷한 과자들도 금방금방 나가니 아직 인기는 식지 않았다고 봐야겠죠? 


이러한 허니버터 인기에 편승해서 허니버터 핫바도 나왔습니다.


일명 '허니버터 그릴바'입니다.



CU 편의점에서 개당 1,700원씩 두개를 사면 하나를 더 주는 2+1 형태로 판매중입니다.

즉 세개를 사면 3,400원에 가져갈 수 있다는 얘기죠.


과연 허니버터 그릴바는 어떤 맛을 우리에게 선사해줄까요. 화려한 포장만큼이나 먹을만한 가치가 있는 음식일까요? 그건 쭉 읽어보시면 어느정도 판단이 가능하답니다^^


사조대림 특유의 커다란 한자 로고인 鮮이 박혀있습니다.


약간은 이국적으로 생긴 꿀벌 그림이 이 핫바는 정말 달달하겠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 만들더군요. 


한돈 인증마크까지 붙어있습니다. 닭고기가 첨가된 저품질 햄이 아닌 국산 한돈햄이란 얘기죠.

가정용 전자렌지인 700w급 전자렌지 기준으로 약 30초를 돌리라고 합니다.


편의점용 전자레인지는 참고로 1000w입니다. 그렇다고 20초를 돌리거나 25초를 돌리라는 얘기는 아니고 취향따라 돌려 먹으시면 됩니다. 조금 미적지근한 허니버터 그릴바를 맛보고 싶다면 20초정도를 돌리시면 되고, 핫바는 역시 핫해야 한다는 생각이시라면 30초를 돌리셔도 상관 없습니다.



한돈 인증마크가 말하듯 오리지날 한돈으로 햄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나머지는 자잘한 첨가물들이나 버터향 아카시아꿀 기타 등등이니 햄 자체는 100% 돼지고기 햄이라는 얘기겠지요. 저렴한 햄이면 햄일수록 닭고기 첨가율이 생각보다 높습니다.



칼로리는 1회분에 175kcal...


다른 평범한 핫바들(의성마늘프랑크, 불닭구이)의 1회분 칼로리가 75kcal 80kcal인걸 생각하면 그렇게 열량이 낮은 수준은 아닙니다. 그래도 200kcal 이상의 초 고열량 몬스터 후랑크에 비한다면 조금 열량이 낮은 수준이죠.


꿀이랑 버터가 조금 들어가는데.. 아마 그것때문에 열량이 확 올라가는 걸까요..



핫바를 전자렌지에 돌려봅니다.


30초를 돌려보고 20초를 돌려봤습니다. 대부분 핫바를 편의점 전자렌지로 돌려서 가기 때문에 편의점 전자렌지로 시간을 다르게 해서 돌려보았네요. 집에서 가정용 700w 전자레인지로 데워서 드신다면 그냥 30초 돌려서 드셔도 상관 없습니다.



맛을 보았습니다.

핫바는 그냥 핫바맛입니다. 겉에 달콤한 꿀맛과 고소한 버터맛이 느껴질 뿐.


저는 전반적으론 나쁘진 않다고 생각하는데 풍미가 핫바의 속까지 느껴지지 않는다는건 좀 아쉽습니다. 그래서 핫바를 깊숙히 베어 물면 조금은 맛이 심심한데 20초를 돌려 먹을 경우 미적지근해서 사실상 그냥 미지근한 햄을 씹어먹는 느낌입니다.


고로 30초 이상 돌리면 뜨끈뜨끈 하니 특유의 고소하고 달달한 맛이 좀 더 강하게 느껴져서 섭취하는덴 크게 지장이 없었답니다. 핫바는 말 그대로 핫하게 드십시오 ㅎㅎ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낙타그림으로 유명한 담배 카멜이 컬러에디션 한정판을 내놨습니다.


흡연자들 얘기를 들어보면 호불호가 상당히 갈리는 담배이기도 한데, 그래서 그런지 잘 팔리지는 않습니다. 대표적인 독한 양담배인 말보로 레드가 나름 불티나게 팔리는 모습에 대조한다면 말이죠.


타르 8mg, 니코틴 0.7mg의 노란색 카멜필터스와 타르와 니코틴 함량을 조금 낮춘 카멜블루가 현재 국내에 시판중에 있습니다. 미국을 대표하는 담배이기도 하지만, 현재 국내 판권은 메비우스(마일드세븐)을 만드는 JTI가 가지고 있다보니 메비우스 진열장 옆에 진열되어 있습니다.


0.1mg짜리 저타르 담배도 나오는 마당에 비교적 독한 편이기도 하고 흡연자들 사이에서 호불호가 갈리다보니 말 그대로 취향타는 담배라는 인식이 강하게 느껴지네요.


찾는 사람도 거의 없고 같은 가격의 담배 중에는 국산 담배 디스(THIS)가 제일 잘 나갑니다.

한라산도 잘 나가는 편이고.. 한 때 젊은이들이 양담배보다 선호했다던 라일락보다도 안나가는게 카멜;;



담배 진열대에는 이렇게 기존의 카멜과 같이 진열이 되어 있습니다.


뭐 기존 카멜과 가격도 똑같고 내용물도 동일하나, 컬러풀한 디자인에서 차이가 있다고 보면 되겠습니다. 나름 1913년부터 100년이 넘는 세월동안 만들어 온 미제 낙타타담배는 한국 변두리 촌동네 편의점에서도 쉽게 구매가 가능해졌습니다. 실제 국내에 들여오는 카멜은 독일제라고 그러더군요.



리얼하게 묘사가 된 낙타와 사막의 배경이 사라지고.. 화려한 원색과 낙타의 실루엣만 남았습니다.


그 이외의 기타 경고문구나 포장에서의 차이점은 따로 없습니다.



뒷면 역시 연두색 버젼의 경우 경고문구가 잘 보이지 않는다는 점을 뺀다면 크게 다를건 없습니다.


나름 담배회사들이 한정판을 내놓으면서 여성들이나 청소년을 담배의 늪으로 빠트린다는 내용은 학교다닐적 금연교육 비디오마다 단골로 등장하는 소재인데.. 정말 이런걸 본다면 담배회사들의 마케팅 전략이 미성년자나 여성들이 좋아할법한 화려한 디자인 위주로 가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얼마 전에 담배에 경고사진을 의무화하는 법안 때문에 말이 많았죠. 아직 본회의를 통과하진 못했지만 아마 조만간 화려한 담배곽의 모습도 사라지지 않을까 싶습니다. 



미제 아니 독일제 낙타의 컬러는 다양합니다.


흡연은 폐암 등 각종 질병의 원인! 그래도 피우시겠습니까? 

담배연기에는 발암성 물질인 나프탈아민, 니켈, 벤젠, 비닐크롤라이드, 비소, 카드뮴이 들어있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