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올드카 목격담'에 해당되는 글 203건

반응형



그레이스는 신군부 시절 정권에 의해 단종되었던 HD1000 승합차의 계보를 잇는 현대의 원박스형 승합차입니다. 당시 기술제휴 관계에 있었던 미쓰비시의 미니밴인 델리카 3세대 모델을 들여와 1986년 12월부터 생산하게 되었고, 2003년 12월 환경규제로 인해 정리되기까지 약 20년 가까운 세월동안 판매된 차량입니다.


물론 승합차의 대명사로 불리게 된 봉고에 밀려 만년 콩라인에 있었지만, 그래도 말년에는 봉고의 후신 프레지오보단 잘 팔렸습니다. 여튼 그러한 그레이스의 1세대 후기형 6인승 밴 차량을 보았습니다. 



예산 읍내의 한 골목에서 본 1992년 8월 등록된 그레이스입니다.


얼마 전 서산 해미에 구형 지역번호판을 달고있었던 그레이스 2밴이 결국 폐차장으로 갔다는 소식을 들었는데, 예산에서 상당히 우수한 상태의 각그레이스 밴을 보게 되었습니다. 지붕과 백도어 도장 클리어가 일부 벗겨진걸 제외한다면 30년 가까이 된 차량임을 감안한다면 우수한 관리상태를 자랑하고 있었습니다.

당시 함께 판매되었던 포터의 경우 2세대 델리카 트럭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차량이지만, 그레이스의 경우 1986년 당시 일본에서도 따끈따끈한 신차였었던 3세대 모델의 뱃지 엔지니어링 모델입니다. 즉 현대와 미쓰비시가 함께 생산을 했다는 이야기겠죠. 비슷하게 생긴 각포터보다는 한층 진보된 모델이였습니다. 여튼 96년에 와서야 3세대 플랫홈으로 갈아타게 된 포터와는 달리 그레이스는 자잘한 부분변경만 있었을 뿐 실질적인 모델 체인지는 없었습니다.



깔-끔 합니다.


세월에 바래버린 트렁크 가니쉬는 빛바랜 회색이 되어버렸고, 제가 초등학교 저학년때만 하더라도 근근히 차량들에 붙어있었던 충청남도교육청에서 배포했던 '내가 먼저 웃으며 인사합시다' 스티커 역시 그대로 붙어있었습니다.


차량 총중량은 2375kg. 밴 모델인지라 리어와이퍼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유리창 너머로 보이는 적재공간에는 그냥 승용차 트렁크에 있을법한 평범한 물품들이 담겨있습니다.


적재공간 상태도 흙먼지가 조금 있는 걸 제외하고도 30년 가까이 된 차량 치곤 준수했습니다.



휠캡은 엘란트라 휠캡이 장착되어 있었고, 그 위에 현대 엠블렘을 하나 더 붙여놓았습니다.


엘란트라의 휠캡도 별다른 위화감 없이 잘 어울리네요.



실내상태도 매우 준수합니다.


주인어르신께서 상당히 애지중지 관리하신듯 보입니다. 짐칸에는 흙먼지가 좀 있었지만, 사람이 타는 공간에는 흙먼지라곤 찾아 볼 수 없었네요. 뭐 여튼 밴 모델이라 그런지 RPM 게이지는 없었습니다. 주행거리는 약 26만km정도 찍혀있었고요.



운전석과 조수석 모두 창문을 내리기 위해선 닭다리를 열심히 돌려야 합니다.


나름 오래된 차량임에도, 최신의 휴대폰 충전기와 요즘 차에 달려도 별 위화감이 없는 휴대폰 거치대가 달려있었습니다.



슬라이딩 도어를 열고 타야하는 2열 공간도 매우 깔끔했네요.


아무래도 업무의 개념보다는 요즘 RV차를 타는 개념으로 차를 출고하지 않으셨나 싶습니다. 바닥 매트 대신에 박스를 깔아두었고, 여러모로 차를 아끼는 어르신의 모습이 상상됩니다.



1993년 뉴그레이스 출시 전까지 사용되었던 레터링입니다.


그 시절 쏘나타고 각그랜져고 뭐고 다 같은 폰트로 만들어 붙이던 물건인데, 각그레이스의 경우 좌우측 문짝에 모두 이 래터링이 붙었던게 특징입니다. 물론 보셨다 트렁크 도어에도 잘 붙어있고요. 93년도에 둥글둥글해진 신형 모델이 출시되면서, 그레이스 래터링 역시 둥글둥글하게 변했습니다.



응..? 근데.. 이거.... 구형인데....


그랬습니다. 전면부의 경우 신형으로 개조가 되어 있었습니다. 당연스럽게도 각그레이스 부품은 수급 자체가 힘든 상황이니 어쩔 수 없이 신형개조를 한 것으로 보입니다. 어짜피 86년형이나 2003년형이나 전반적인 차체는 같기에 쉽사리 개조가 가능했겠지요. 



생각보다는 위화감 없이 잘 들어맞습니다.


그래도 현대차는 부품 자회사를 두고 있어 부품 수급이 상대적으로 원활합니다. 각그레이스 시절 부품까지는 아니지만, 그래도 90년대 중후반 나온 차량들의 부품은 아직도 다수의 신품이 생산되며 판매되고 있습니다. 당연스럽게도 뉴그레이스 부품들은 쉽게 구할 수 있으니 말이죠.



반대편 사이드미러는 신형이 달려있지만, 운전석 사이드미러의 경우 아직도 구형이 달려있었습니다.


아무래도 주인의 강한 애착이 있었기에, 전면부 사고로 폐차장으로 갈 운명이였던 그레이스가 신형 개조를 거쳐 여태 살아있지 않나 싶습니다. 물론 대다수의 원인은 중국에 있지만 괜히 트집이 잡히는 노후 경유차 자체가 현 정권에서 쥐닭급 적폐 취급을 받고 있기에 무궁한 앞날을 장담하지는 못하지만 앞으로도 그 자리에 꿋꿋히 살아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각포터의 페이스리프트(뉴포터) 최후기형 더블캡 모델입니다.


지난번에는 92년식 와이드봉고도 목격했었고, 오래된 트럭들의 경우 상대적으로 더블캡보다는 싱글캡 모델이 많이 남아 있습니다. 이유가 무엇인지는 잘 모르겠으나 어디 준수한 상태로 남아있는 구형 트럭들은 대부분이 일반캡도 더블캡도 아닌 1열 뒤 작은 쪽유리가 붙어있는 슈퍼캡 모델이더군요. 물론 판매량이 월등히 많아 개체수가 많이 남아있겠지만, 여튼 오래된 더블캡 모델을 보는건 그리 쉬운 일은 아닙니다.


지난 토요일 포항에서 본 97년형 포터 더블캡입니다.



포터의 시초격인 HD1000을 1세대로 가정하고 본다면, 2세대 페이스리프트 모델의 최후기형입니다.


이후 출시된 개구리캡의 뉴포터가 3세대, 현행 모델인 포터2가 4세대 모델이 되겠죠. 여튼 3세대 개구리캡의 뉴포터의 일반캡과 슈퍼캡은 1996년 3월에 출시되었지만, 더블캡의 경우 1997년 3월 말까지 생산 및 판매되었습니다. 이 차량도 원부상으로는 97년형이고 같은 해 2월에 등록되었다고 나오네요.


여튼 제가 어디서 구라를 치는게 아니냐고 하실 분들께 1997년 뉴포터 더블캡 출시 당시 기사 링크를 걸어놓아 봅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1&aid=0004241000



최후기형 차량의 특징으로 초장축 모델의 울트라 롱(ULTRA LONG) 스티커와 진청색의 바디컬러가 대표적입니다.


1993년부터 95년까지의 2세대 부분변경 모델의 경우 초장축 스티커 자리에 한글로 포터라 적힌 스티커가 붙고, 백색과 함께 하늘색 계통의 바디컬러가 적용되었습니다. 3세대 모델에 적용된 진청색과 비슷한 바디컬러가 적용된 2세대 구형 모델의 경우 96년 이후 생산된 차량이라 봐도 무방하지요. 



차량 상태는 뭐.. 그럭저럭이긴 했습니다만, 생각보다 잘 달렸습니다.


상태야 뭐 그럭저럭이지만, 눈이 잘 내리지 않는 경상도 지역인지라 부식은 크게 없었습니다. 같은 엔진에 터보가 달려 약 10마력정도 출력이 높은 갤로퍼가 그래도 쉽게 추월은 합니다만, 짐이 있어도 훨씬 가볍다보니 그래도 100km/h 이상 달리며 노장의 저력을 보여주고 있었습니다.



그렇게 엎치락 뒤치락 잘 달리다가 헤어졌습니다.


97년 2월 등록. 2세대 최후기형 더블캡 포터는 어딘지 모를 목적지를 향해 잘 달려갔겠지요. 22년간 달려온 만큼 큰 문제가 없다면 아마 앞으로도 오랜 세월을 주인과 함께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여튼 무탈히 사랑받으며 지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