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두 트럭을 한 번에 다뤄보려 합니다. 옛 삼성상용차에서 생산했던 6x4 형태의 카고트럭을 셀프로더로 개조하여 사용하고 있던 차량과 기아의 초기형 라이노입니다. 물론 두 차량 모두 DPF를 장착하고 현재까지 생존해 있으며, 삼성트럭은 자가용 번호판을 달고 있었고, 라이노는 세월이 무색하게 현재까지 영업용 번호판을 부착하고 현역으로 달리고 있었습니다.

 

그럼 보고 가시죠.

 

1996 삼성11.5톤카고트럭

 

원부상에는 삼성11.5톤카고트럭이라 표시됩니다만, 현재는 셀프로더로 사용 중인 차량입니다.

삼성상용차가 출범했던 96년 8월에 등록된 차량이네요.

 

삼성그룹의 자동차 시장 진출의 역사는 92년 삼성중공업이 닛산디젤과의 제휴로 당시 동아자동차에서 생산했던 레조나(DA30/50)의 후속모델인 빅썸(SM510)의 라이선스 생산을 시작하며 시작되었습니다. 이후 삼성자동차가 세피로를 기반으로 한 SM5를 출시하였으나, 90년대 후반 IMF 사태로 결국 막을 내리게 되었지요. 당시 삼성자동차는 르노에서 인수하여 현재 르노코리아로 이어져 내려오지만, 별개의 기업이던 삼성상용차 역시 르노 혹은 비슷한 시기 르노의 상용차 사업을 인수했던 볼보에 인수되나 싶었습니다만, 결국 청산되었고 설비만 베트남에 매각되었습니다.

 

그렇게 역사속으로 사라진 지 20년이 넘은 지금까지도 삼성트럭은 간간이 볼 수 있지요. 영업용도 가뭄에 콩 나듯 보이긴 합니다만, 대부분 이렇게 자가용으로 사용되는 차량들만 남았습니다.

 

촬영 전날 한참 떨어진 다른 곳에서 이 차량을 목격했었는데, 흔히 뿌레카라고 얘기하는 브레이커(breaker)가 상차되어있는 모습으로 보아 굴삭기를 수송하는 용도로 사용하는듯 보입니다. 적재함 끝단에 DPF 스티커도 붙어있고 상태도 준수한 것으로 보아 오랜 세월 생존 할 것 같네요.

 

다음은 91년 1월에 등록된 90년형 기아 라이노입니다.

 

1990 KIA RHINO

 

라이노는 올해 초에도 한 번 다뤘던 차량이지요.

다만 이 차량은 초기형으로 분류되는 90년형. 91년 1월 등록 차량입니다. 원부상 명칭은 5톤카고트럭이네요.

 

2024.03.01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올드카 목격담] - 1996 현대자동차 마이티 / 1997 기아 라이노 (1996 HYUNDAI MIGHTY 2.5t / 1997 KIA RHINO 4.5t)

 

1996 현대자동차 마이티 / 1997 기아 라이노 (1996 HYUNDAI MIGHTY 2.5t / 1997 KIA RHINO 4.5t)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96년 8월 등록된 현대 마이티 내장탑차와 97년 4월에 등록된 기아의 라이노입니다. 두 차량 모두 현역으로 업무를 수행 중이었고, 특히 라이노의 경우 노란색 영업용 번호

www.tisdory.com

 

지난번에 목격했던 차량이 97년식이었다시피 대부분 최후기형 차량들이 생존하여 있었습니다만, 이렇게 가끔 35년 넘게 영업용 번호판을 달고 현역으로 달리는 차량들도 볼 수 있습니다. 이 차량 역시 적재함은 한 번 바꿨고 등화관제등 역시 사라졌지만 당시 비상대비자원관리법에서 규정하던 견인고리는 그대로 남아있었습니다.

 

DPF 장착

 

91년 1월에 등록된 차량이 지금까지 영업용으로 살아남기 위해선 역시 DPF가 필수죠.

 

DPF가 장착된 모습 역시 쉽게 볼 수 있었습니다. 88년 복사트럭의 후속모델로 출시된 라이노는 92년 4.5톤 모델의 출시 이전까지 5톤 모델만 판매되었습니다. 개별화물 면허에서 허용되는 최대적재량 탓에 큰 의미 없는 4.5톤과 5톤 모델이 따로 판매되었는데, 이 차량은 5톤 모델만 판매되던 시절에 등록되었던 오리지널 5톤 차량입니다.

 

요즘 판매되는 5톤 트럭에 300마력대 엔진까지 올라가는 마당에 171마력의 자연흡기 엔진은 엄청 답답하게 느껴질게 분명합니다만, 그럼에도 장거리를 달리고 또 달리고 그렇게 35년의 세월을 보내왔습니다.

 

35년의 세월을 버틴 차량 치곤 준수하다

 

적재함도 교체했고, 중간에 도색도 했겠지만, 35년의 세월을 버틴 차량 치곤 준수한 상태였습니다.

 

전기형 차량인지라 후기형 차량에서 볼 수 있는 조수석의 안전창은 없습니다. 35년의 세월이 무색할만큼 깔끔한 상태를 유지중인 모습을 보니 정말 차주분이 대단하게 느껴지더군요. 2020년대도 중반을 향해 흘러가는 이 시기에 90년형 라이노가 과연 언제까지 달릴 수 있을지 모르겠지만, 부디 오랜 세월 지금처럼 사랑받으며 전국을 누빌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11월 말 어느 날 포항에 갔다가 하차부터 말아먹고 공친 상태에서 짐도 없고 그냥 올라갈까 싶다가 이전에 검색하다 우연히 블로그를 봤었던 대형차 타이어집에 타이어 가격을 물어봤습니다. 어차피 1축과 2축을 X자로 위치만 바꾼 상태인지라 4축에 중국산 타이어를 끼울 생각을 하고 있었기에 중국산 타이어 가격을 물어봤는데 당진보다 훨씬 저렴하더군요. 그래서 포항에서 타이어를 교체하고 왔습니다.

 

참고로 다른 물가도 이유 없이 비싼 당진인지라 대형차 타이어집들도 죄다 비쌉니다.

12R 22.5 규격에 중국산 타이어 기준 당진에서 부가세가 포함된 카드가로 30만 원 이하는 없습니다.

딱 30짜리도 가을철 이후로는 찾아보기 어려운 수준이고요.

 

포승에 가면 부가세 포함 29만원짜리가 있다고 하던데 이보다 더 저렴한 물건이나 수도권의 대표적인 대형차 용품 스팟인 인천 정비단지는 더 저렴한 물건이 있는지 모르겠습니다만, 이 불경기에 중국산 타이어의 가격도 부담인 시대입니다. 인터넷에 최저가로 나오는 제품들도 대량 구매가 아닌 이상 장착비가 별도인지라 장착비를 포함하면 내내 그게 그거인 수준입니다.

 

2024.05.26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프리마 카고 5축 타이어 교체 - 중국산 12R 22.5 청산(CHENGSHAN) CFH136

 

프리마 카고 5축 타이어 교체 - 중국산 12R 22.5 청산(CHENGSHAN) CFH136

지난해 7월에 5축 타이어를 중국산이자 금호타이어의 모기업인 더블스타 아오센으로 교체했었는데 10개월 조금 넘기고 거의 다 닳아 또 타이어를 교체했습니다. 솔직히 조금 더 타도 될 수준으

www.tisdory.com

 

그나마 지난 5월에 교체했던 타이어가 딱 30에 달았던 물건인데, 이후 며칠 뒤에 찾아간분 얘기론 저거 재고도 다 떨어지고 비싼 중국산만 남았다고 그러더군요. 당진보다 10% 이상 저렴하니 전화로 가격을 문의했던 포항의 타이어집을 찾아갔습니다.

 

황실타이어 포항점

 

철강단지 초입 근처네요. 이 근처에서 짐을 싣고 올라갔던 기억이 새록새록 합니다.

 

여튼 철강단지 초입에 소재한 타이어집입니다. 미쉐린 간판을 걸고 있는데 미쉐린 뿐 아니라 국산 및 중국산 타이어도 다양하게 보유하고 있었습니다. 전화를 받으셨던 부장님이 맞아주셨습니다.

 

 

포항 황실타이어

 

직원도 많고 한번에 세대의 작업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는 규모였습니다.

 

주로 대형차 타이어를 취급하긴 합니다만, 1톤부터 25톤까지 다 구비되어있다고 간판이 걸려있더군요. 1톤트럭용 타이어도 취급을 하는 듯 보였습니다. 그렇게 차를 세우고 타이어 창고로 가서 어떤 타이어를 끼울지 보고 결정하기로 합니다.

 

다양한 타이어들

 

다양한 타이어가 존재합니다.

 

전화로 이야기를 들었던 가장 저렴한 타이어는 남은 재고만 그 가격에 털어낸다고 하더군요. 다른 타이어들의 가격은 어떤지 알아보니 국산이고 일본 브랜드고 적게는 1~2만원에서 많게는 5만원 가까이도 차이가 났습니다. 분명 같은 타이어인데 말이죠.

 

그래서 1,2축을 좀 괜찮은 타이어를 끼우고 지금 1,2축에 끼워진 타이어를 4축으로 보낼까 생각했었습니다만, 그냥 저렴한 중국산을 끼우시는게 나을거라 하시기에 전화로 듣고 왔던 중국산 타이어를 끼우기로 합니다.

 

골든크라운 AT196

 

다양한 브랜드의 중국산 타이어가 수입되는데, 골든크라운도 언젠가 본 기억이 있는 브랜드입니다.

 

GOLDEN CROWN은 중국의 1위 타이어 제조업체인 중책고무그룹의 브랜드라고 합니다만, 중책고무그룹 홈페이지에도 골든크라운은 존재하지 않고 일부 유럽 수입사 홈페이지만 남아있고 그 수입사들도 현재는 중책고무그룹의 웨스트레이크 타이어를 판매하는 모습으로 보아 현재는 정리된 브랜드로 보입니다. 참고로 국내에도 많이 유통되어 한번쯤은 들어보셨을법한 조양타이어 역시 중책고무그룹의 브랜드라고 합니다.

 

청산타이어에도 셰셰 중책타이어에도 셰셰 하면 될 일 아니겠습니까.

그렇게 중국산 골든크라운 타이어로 중국몽 함께 합니다 훠훠훠

 

작업 진행중

 

장착할 타이어를 결정했으니 빠르게 타이어 탈거작업이 진행됩니다.

 

4축 휠타이어를 탈착하여 휠에 새 타이어를 끼워주면 됩니다. 말이 쉽지 승용차 타이어에 비하면 꽤나 무거운지라 엄청난 중노동입니다. 이런 중노동 속에서도 빠르고 명확한 정비를 위해 고생하시는 전국의 대형차 정비인 여러분들의 노고에 깊은 감사를 표합니다.

 

기존 타이어

 

탈착된 기존 타이어입니다. 그나마 상태가 좋은 부분이 보이는군요.

상태가 별로인 면은 철심은 보이지 않지만 트래드가 떨어져 나간 부분이 꽤 있습니다.

 

2022년 12월에 1,2축에 끼웠던 타이어입니다. 당시 한국타이어 AH40을 끼웠었네요. 지난해 이맘때 1,2축에 새 타이어를 끼우며 4축으로 보냈었는데 그 타이어가 수명을 다하고 교체됩니다. 물론 처음부터 하중을 많이 받는 5축에 끼웠던 중국산 타이어보다는 오래 버텼습니다만, 그래도 교체했던 순서대로 타이어의 수명이 닳고 있습니다.

 

 

프리마 25톤 1축 2축 타이어 교체 (한국타이어 AH40)

사실상 파업이 끝났던 지난주 금요일. 편마모를 먹던 1축, 2축 타이어를 교체했습니다. 1축은 엄청 많이 남아있고, 2축도 거의 4~50% 남아있습니다만, 편마모를 심하게 먹어 바꿔주고 얼라인먼트를

www.tisdory.com

 

킵해두자니 마모한계선까지 거의 다 닳았고, 여기저기 뜯겨진 부분도 있어 별로입니다. 얘기 할 필요도 없이 여기서 폐기합니다. 다만 킵해놓고 예비용으로 쓸 타이어라면 비싸도 근처에서 교체하고 보관했겠지요. 그렇지 않은 타이어니까 과감히 포항에 놓고 왔습니다.

 

타이어 탈착중

 

기존의 헌 타이어를 탈착하고 중국산 새 타이어를 끼워줍니다.

 

우측에 보이는 타이어가 트래드가 뜯겨나가진 않았어도 좀 많이 닳은 타이어네요. 중간에 다른 차들도 몰려와서 작업 속도가 조금 느려지긴 했습니다만 그래도 일하는 직원분들이 많으니 작업이 일사천리로 진행되더군요. 그렇게 한국타이어 대신 골든크라운 타이어로 중국몽을 함께 하게 되었습니다.

 

새 타이어의 패턴

 

새 타이어의 패턴입니다.

 

큰 줄 네개에 가격대가 저렴한지라 전반적으로 단조로운 패턴입니다. 어차피 어느 정도 닳으면 작은 패턴들은 큰 의미가 없게 되더라고요. 그렇게 새로 끼워진 타이어에 공기를 주입하고 곧바로 장착에 들어갑니다.

 

장착완료

 

그렇게 4축에 새 타이어가 장착되었습니다.

 

중국산 골든크라운 타이어는 과연 얼마나 버틸지 모르겠네요. 1,2축은 국산 금호타이어. 3축은 브리지스톤. 4축과 5축은 각기 다른 중국산 타이어가 장착되어 있습니다. 겨울이 지나고 초여름쯤 되면 아마 5축 타이어의 교체시기가 돌아올텐데 그쯤 가서 1,2축을 뒤로 보내고 앞에 새 타이어를 끼울지 또 중국산타이어를 끼울지 선택해야겠습니다.

 

108만원 결제 및 선물들

 

108만원을 결제하고 이런저런 선물을 받아왔습니다.

 

2025년 다이어리는 받지 않았고, 귀마개와 방향제 그리고 물티슈를 하나 주십니다. 멀리까지 간다고 음료수도 더 챙겨가라고 그러시는데 음료수는 하나만 가져왔네요. 여러모로 저렴한 가격에 중국산 타이어를 끼우고 올라올 수 있었습니다. 과연 얼마나 버틸지는 두고 보고요. 나중에 또 내려오게 된다면 저렴한 아랫지방에서 타이어를 교체하고 오던지 해야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