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에 해당되는 글 1374건

반응형



서울모터쇼 관람기 네번째.


시트로엥과 푸조입니다. 르노와 함께 프랑스를 대표하는 자동차 메이커인 시트로엥과 푸조. 우리나라로 치자면 현대 기아차와 비슷한 관계의 PSA 그룹에 소속된 브랜드입니다. 두 브랜드의 한국 수입원도 한불모터스로 같고, 독일차나 일본차처럼 수입차 시장에서 큰 스포트라이트는 받지 못해도 오랜 세월동안 꾸준히 잘 팔리는 모습을 보면 한국시장에서 점점 성장해나가고 있습니다.


물론 르노삼성이 닛산차 팔던 시절보다 르노차 가져다 파는 수년간 계속 고전하는 사실을 본다면 우리나라 사람들 실정상엔 프랑스차가 잘 맞지 않는다고 볼 수 있겠지만, 그래도 시트로엥과 푸조는 도전적이고 독창적인 디자인과 감성으로 소비자들을 유혹하고 있습니다.


시트로엥


시트로엥 부스는 크게 C4 피카소와 DS시리즈를 전시해놓은 전시관으로 나누어 둔 느낌입니다.



독창적인 엠블럼이 인상적입니다. 물론 차도 독창적으로 생긴지라..


포드의 고급 브랜드 링컨의 쫙 찢어진 눈깔 만큼 호불호가 갈리는 브랜드입니다. 



C4 피카소입니다. 피카소의 추상화를 보는 느낌의 헤드램프.


인상부터가 피카소가 만약 현세대에 살아있어서 자동차 디자인을 했다면 하는 느낌입니다.



안쪽으로는 비교적 평범한 SUV 스타일의 C4 코카스가 전시되어 있더군요,



미니밴 느낌의 MPV차량이니 트렁크가 생각보다 넓었습니다.



멀리서 보면 이정도?



문을 닫으면 뒷태는 이렇게 아름답습니다.




그리고 그 옆에.. 뒷태도 피카소가 다녀간듯한 차가 한대 더 있으니..


이친구는 '그랜드 C4 피카소'라고 합니다.


그랜드카니발이 11인승이고, 숏바디의 뉴카니발이 9인승으로 판매했던거 다들 기억 하시죠. 마치 그느낌입니다. 7인승 모델엔 그랜드라는 이름이 붙고 디자인도 살짝 틀립니다.



실내 역시 나름 컨셉카 스타일의 미래지향적 디자인을 담았다 보여지지만.. 흐음...


계기판이 중앙에 가 있습니다. 국내에선 딱히 좋은 반응을 얻지 못했었죠. 대표적으로 로디우스와 라비타 둘 다 내수시장에서 썩 잘 팔리진 않았습니다.



그래도 있을건 다 있지요. 나름 센터페시아 판넬과 일체형으로 보이는 정도로 마감이 우수한 LCD 패널은 정말 마음에 듭니다.



룸미러가 두개입니다. 하나는 멀리, 하나는 가까이..



생각보다 내장 마감재 수준은 우수했습니다. 고급차량에나 있을법한 풍량조절 에어덕트가 있네요.



3열 좌석은 사실상 유아용 아니면 모양만 만들어 둔 느낌입니다.


뭐 3열 있는 차들이 다 그렇죠. 승합차 아니면...



DS시리즈가 쭉 서 있습니다.


나름 론칭때는 공도 많이 들이고 했는데 지금은 좀 싸늘하더군요. 드라마에 협찬도 많이 했었고, 이래저래 이벤트도 많이 진행했었지만.. 신통치 않았는지 요즘은 좀 뜸해보입니다.



푸조 그리고 시트로엥차의 최대 장점은 바로 이게 아닐까 싶네요.


남들은 실내등에 배선 연결해서 LED바 달기 바쁜데.. 알아서 달아서 나오니 말입니다. 비록 백색의 LED가 아니라 누런 백열전구 빛이긴 하지만 생각보다 밝고 아름답습니다.



DS5 역시 출품되었습니다.



시트로엥 부스 바로 뒷편에는 푸조부스가 붙어있습니다.


푸조




생각보다 푸조부스에 사람이 많았습니다. 그래도 시트로엥보단 대중적인 브랜드라 그런걸까요.


푸조 역시 아시아에서 최초로 공개되는 차량 두대를 가지고 출품했습니다.



푸조의 중형 해치백 308입니다. 무난한 디자인에 저렴한 가격대의 수입차입니다.


1.6 및 2.0 디젤엔진과 6단 아이신 밋션의 조합으로 3000만원대에 디젤 수입차를 탈 수 있는 기회죠.



308에 0이 하나 더 붙은 3008입니다. 푸조의 작명법은 간단하면서도 쉬워서 좋네요.



호불호가 갈리는 뒷태. 마치 테일램프는 열대어를 보는 느낌입니다.



사람도 많고 정신도 없고.. 그냥 쭉 돌다가 



그냥 208이 아닙니다. '208 T16 파익스피크'입니다.

이 차가 제로백이 1.8초라면 믿겠습니까.


3.2리터급 트윈터보 엔진이 들어간 레이싱카입니다. 무게는 스파크보다 훨씬 가벼운 875kg 수준이구요. 무려 875마력에 최대토크 90kg.m의 이 괴물은 이미 세계 신기록을 가지고 있다고 하더군요.


미국 파익스 피크 인터내셔널 힐클라임에서 8분 13초대의 경이로운 신기록을 기록한 차량입니다.



계속 이어집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서울모터쇼 관람기 2부에서 이어집니다.


2부에서는 본격적으로 완성차 업체 부스를 다룰 예정입니다. 킨텍스 1관과 2관에 걸쳐 전시가 되었는데 2부에서 볼 수 있었던 중소기업 위주의 자동차 생활관과 함께 2관에 자리잡은 완성차 전시관입니다.


올해 서울모터쇼에는 총 32개의 완성차 브랜드가 참가했다고 합니다. 물론 바이크 브랜드나 상용차 브랜드 역시 포함된 수치구요. 점점 규모는 커지고 이리저리 구경하기는 더 힘들어 집니다 ㅠㅠ


처음으로 맞아 준 부스는 야마하(YAMAHA)입니다.



정말 못하는게 없다 싶을 정도로 여러 사업에 손을 댄 일본의 기업입니다.


100여년 전 피아노를 만들던 회사로 시작해서 전자악기 반도체 군수산업 자전거 음향기기 제트스키 보컬로이드 오토바이 기타등등... 문어발식 사업을 진행중인 회사지요. 그러한 야마하도 바이크를 가지고 참가를 했답니다.



사람이 많이 모인곳엔.. 역시 누나가 한분 계십니다.


부스 데스크에서 열심히 설명을 해 줍니다. 트라시티라고 삼륜 오토바이인데 도심지에서 안전하게 탈 수 있도록 설계한 야마하의 새로운 야심작이라고 하더군요. 야마하가 100년이 넘는 세월동안 산업 전반에서 살아남을 수 있던 이유는 바로 이렇게 새로운 시도를 해왔던게 아닐까 싶습니다.



뭐 여튼 그렇구요...



이렇게 시승의 자리엔 수많은 사람들이 있던지라.. 그냥 눈으로 구경만 하고 지나갔습니다.


다음 부스는 선롱버스코리아


생소할지 모르겠지만 중국산 자동차가 대한민국에 수입되고 있습니다. 바로 선룽버스 얘기인데.. 상해에 공장이 있는 선룽이 한국에 중형크기의 25인승 버스인 듀에고를 본격적으로 수출하기 시작한건 사실상 2013년부터 입니다. 우리가 가진 중국제의 싸구려 인식을 버리기 위해 내장 시트나 타이어등은 국산 제품을 적용했고, 사실상 대한민국 사양에 맞춰서 나오는 차량이라 보면 됩니다.


인기 애니메이션 라바와 콜라보레이션을 통해 어린이 관람객 역시 친숙하게 맞아주더군요.

대우버스가 빠진 자리에 공격적인 마케팅으로 부스를 찾이한 선롱버스입니다.



듀에고만 자리를 차지한게 아니고.. 도시형 버스인 CT BOO 역시 출품했습니다.


듀에고의 출시 이후 카운티와 레스타 그리고 잘 쳐줘야 에어로타운까지의 현대 대우버스 일색인 도로에 파란을 일으켰던 선롱이 한번 더 일을 내려 하나봅니다.



데시보드 디자인은 조금 촌스럽다고 해야할까요.. 그래도 계기판엔 LCD 패널이 들어갑니다.


커민스엔진과 6단 ZF 밋션으로 한국 시장을 공략하는 CT BOO는 로얄미디나 그린시티등의 기존의 중형 시내버스보단 조금 작은 느낌입니다만 이건 중국제가 아니다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상당히 잘 나왔답니다.



오디오는 모터쇼 출품차라 그런건지 아님 원래 사제 데크가 들어가는건지 모르겠네요.


운전자 입장에서는 오디오를 조작하기 힘든 위치에 자리잡고 있었습니다. 옛날 BF시리즈도 아니고요..



기어봉 디자인 역시 혁신적입니다. 승용차에 적용해도 전혀 손색없을 디자인이 아닐까 싶네요.



번쩍번쩍 광이나는 크롬 휠커버의 모습입니다.



테일램프는 비교적 평범한 편.. 



프론트 역시 평범한 스타일입니다.



스카니아 비슷하지만 전통문양같은 분위기의 엠블럼.



서울모터쇼 셔틀버스로도 활약중이던 듀에고입니다.


듀에고 EX와 듀에고 CT가 국내에 시판중인데.. CT는 시내형 EX는 관광 및 개인용 차량이라 보면 되겠습니다.



높은 차체. 195cm의 장신도 불편해하지 않는다고 홍보를 하긴 하지만..


차가 좀 껑충해서 운행중인 차량들을 보면 뭔가 저렴해보이는 느김도 들더군요.



차라리 카운티 데시보드가 나은 수준...


외관은 중국차처럼 생겼어도 그럭저럭 봐줄만한 디자인인데 실내는 영 아니올시다.. 90년대 초반 스타일의 대시보드와 80년대 구형차 느낌이 팍 나는 도어트림 역시 이게 과연 2015년에 판매되는 차가 맞는지 진지하게 물어보고 싶습니다.



운전자를 위한 공간은 조금 부족해도 승객을 위한 공간은 나쁘지 않습니다.



이게 아까 본 데시보드와 도어트림을 가진 차량에 들어가는 물건이라면 믿으시겠습니까.


독서등은 비록 LED가 아니지만 상당히 세련된 디자인을 자랑합니다.



국산 명보시트입니다. 웃긴건 조수석도 저 시트가...



유리에는 선롱 로고가 선명하고, 운전석 창틀은 원래 마감이 이런지 모르겠네요.



요소수가 들어갑니다.



뒷태 역시 봐줄만 합니다. 넘버등으로는 줄LED를 달아두었는데 아마 실차론 전구가 달려서 나갈겁니다.



엠블럼 역시 멋지네요.




제원은 이러합니다.


일반 승용차 양산업체보다 관심도 덜 받고 때로는 기자들에 따라 대놓고 무시하는 경향에 수년전에 어떤 양반은 신문 칼럼에 우리나라 모터쇼는 트럭 버스가 있어서 발전이 없다는 식으로 쓰기도 하는 대한민국에서 인기 애니메이션 캐릭터를 이용하고 이렇게 공격적인 마케팅을 펼치는 외국계 상용차 업체가 있다는 사실이 정말 놀라웠습니다.


앞으로도 선롱버스의 무한한 발전을 기대해봅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