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도리의 IT이야기'에 해당되는 글 316건

반응형


용산 전자상가에 잠시 따라갔다가 졸지에 핸드폰을 바꾸고 왔습니다. 


기존에 사용하던 노트3 네오가 발적화로 인해 여러 오류가 일어나는 현상이 잦았고, 바꾸면서 알게 된 사실이지만 카메라 모듈도 맛이 갔다고 합니다. 이래저래 나진상가를 지나가던 도중 핸드폰 가게에 호객에 이끌려 영업점에 들어갔고 결국은 혹해서 핸드폰을 바꾸게 되었답니다.


G5 것도 핑크로 가져왔습니다.

배터리 일체형 핸드폰처럼 보이지만, 배터리가 안에서 쏙 빠져나오고 쏙 들어갑니다.



구성은 참 단순합니다.


조그마한 핸드폰 박스 하나에 기기 본체. 나름 LG의 플래그쉽 기기임에도 기본 구성엔 배터리도 하나 들어있지 않습니다. 초기 구매자들을 위한 프로모션 이벤트로 배터리팩과 카메라 모듈을 지원해 줄 뿐이지 그 이후 구매자들한텐 일절 없다는 이야기겠죠.


그동안 뻘짓하던 헬쥐가 모처럼만에 역작을 만들어 갓쥐로 칭송받기에 힘좀 실어주고자 구매를 했답니다. 삼성폰이 질렸고 예전만치 특성이 없는데다 비싸기만 한 것도 이유라면 이유가 아닐까 싶구요.



요즘도 광고를 열심히 때립니다만.. 이벤트도 다시 하고 LG가 힘든가 봅니다.


자동차가 나오는 영화에선 꼭 볼 수 있는 익숙한 영화배우 제이슨 스테이섬이 1인 다역으로 출연하고 배경음악으로 파돌리기송이 깔려나옵니다. 사실 파돌리기송이 아니라 그걸 또 리믹스한 'Everybody move'라는 곡이 수록되었답니다.



구성이래봐야 뭐 별거 없습니다. 


퀵 가이드라 불리는 간단한 설명서.

충전기와 USB 케이블과 웬지 B&O 이어폰 팔아먹으려고 저렴한걸 넣은 듯 보이는 번들 이어폰.

USB 3.1이라 불리는 C타입의 단자가 채택된 만큼 변환젠더와

아이폰처럼 유심칩이 들어가는 카드트레이를 뺄 수 있는 핀까지도 함께 들어있답니다.


삼성의 역작 갤럭시S7은 기존의 마이크로5핀을 채택했지만, 앞으로는 C-Type이 대세가 될거라 하니 헬쥐라 불리던 엘지가 삼성의 플래그쉽 기기에 비해 앞서는 부분도 이래저래 보입니다.


마치 2인자 체어맨이 eq900보다 나은 편의사양이 있다는 이야기 같은건데 넘사벽이라 비유대상이 아니구나


모듈에서 배터리 빼기 참 힘드네요.


배터리 교환이 용이한 노트3 네오도 그냥 배터리 하나만 가지고 쓰면서 이벤트로 받은 보조배터리는 사용도 하지 않고 얼마전에 팔아먹었는데.. 아마 이것도 그리 쓸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배터리에 달린 갈고리로 모듈에 끼는 형태기에 혹여나 모듈이 부러질까 싶어 배터리 빼기가 웬지모르게 무섭더군요.


기본 모듈은 그냥 단순함 그 자체입니다.


모듈이래봐야 사실상 배터리 커버나 다름없는 물건이기에 딱히 구조가 특이하다거나 그래보이는건 없더군요. G5 프랜즈라 하는 다른 모듈들은 어떨지 봐야 압니다.


배터리 탈부착도 의외로 재미나더군요.


특이점이라면 기기의 일련번호가 뒷면에 그냥 보란듯이 붙어있습니다. 무상으로 증정해준 젤리케이스를 끼고 다니면 그냥저냥 바로 노출이 되겠지요. 그래도 16년 5월에 제조된 따끈따끈한 제품에 일련번호가 15만번대에 찍혀있으니 아무대로 기분은 좋습니다.


P.S KT모델만 15만대가 나갔다는 건데.. 의외로 많이 팔리진 않은 듯..



그럼 잘 써봐야죠.


보급형 기기와 함께한 2년은 정말 힘들었습니다. 암만 썩어도 준치라고 회사에서 사활을 걸고 만든 플래그쉽 기종과 이래저래 저렴한 가격에 풀어버리는 보급형 기종은 작은것도 분명한 차이가 있겠죠. 그런고로 아무리 오래되도 비싼 핸드폰은 그 값을 한답니다. 갤럭시S2를 3년 넘게 써오면서도 느꼈으니 말이죠. 오래오래 잘 써보고 앞으로 당분간은 핸드폰 바꿀 일 없이 조용히 짜져서 살아야겠습니다.


미러링크 기능도 지원하니 네비게이션 역시 올인원 오디오와 연동해서 사용 할 수 있고 말입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대학 입학 당시 구매했던 노트북을 3년 넘게 사용하면서 복원이나 두어번 해줬고, 그 뒤 새 버젼의 윈도우 운영체제가 출시되긴 했지만 윈도우 7 운영체제를 이용중이였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신작 운영체제인 윈도우 10 출시 이후, 기존 윈도우 유저들에게 무상 업데이트의 기회를 준다는 명목 하에 순차적으로 윈도우 10 업데이트를 진행해 주고 있다고 합니다. 저는 지난 여름에 업데이트 신청을 했던걸로 기억하는데.. 이제야 업데이트 준비가 되었다는 문구가 뜨기 시작했습니다.




그냥 자기가 알아서 업데이트 파일을 다운로드 받고, 복원지점을 만들더군요.


저렇게 놓고 잤습니다. 다음날 일어나서 운영체제가 바뀐걸 확인하고 노트북을 끄고 출근했지요. 따로 파일 백업을 해둬야 하는 줄 알고 미리 D드라이브에 파일을 옮겨두었습니다. 설치를 하고 보니 딱히 필요한 작업은 아니더군요. 기존 바탕화면까지 그대로 구현해 줍니다.




운영체제만 변경되었습니다.


뭐 그러합니다. 뭔가 작업표시줄이 직관적으로 바뀐 분위기입니다. 윈도우 8 시리즈부터 보이던 PC와 모바일 그리고 태블릿 PC등에서 호환이 가능한 터치 위주의 인터페이스입니다만, 조금은 낯설기만 합니다.


이것저것 제 기호에 맞추어 설정을 바꿔보도록 합니다.



시작메뉴 작업표시줄의 테마 선택도 가능하구요.


자리만 차지하는 작업표시줄의 검색창 역시 지워버렸습니다. 최대한 깔끔하고 심플하게 사용하겠다는 제 의지가 담겨있답니다. 이렇게 사용하던 저렇게 사용한던 뭐 이용자 취향이니 말이죠.



윈도우 8부터 지원하던 스토어 기능도 지원합니다.


앱스토어에서 원하는 앱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답니다. 물론 안드로이드나 iOS에 비한다면야 우리나라 환경에 맞는 애플리케이션은 찾기 힘듭니다만, 윈도우 10이 앞으로 대중화가 된다면 윈도폰에서도 PC에서도 유용하게 사용 가능한 애플리케이션들이 많이 생겨나겠지요.



설정 페이지도 모바일틱합니다.


알림센터는 마치 상태바를 내린 분위기를 풍기구요. Mac OS가 설치된 PC 혹은 노트북이 아이폰 쓰는 사람들에게 상당한 시너지 효과를 내는 것 처럼, 윈도폰 사용자에게 정말 최적화된 운영체제가 아닐까 싶습니다. 국내에서는 쓰고싶어도 환경이 여의치 않아 쉽게 사용하질 못하는 운영체제입니다만, 그래도 기회가 된다면 윈도폰도 꼭 써보고 싶더군요.


여튼 윈도우 10으로 올라왔습니다. 앞으로 노트북을 바꾸지 않는 이상 신형 운영체제는 나오지 않겠죠.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