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도리의 IT이야기'에 해당되는 글 313건

반응형


15만원에 42인치 LCD TV를 중고로 가져왔습니다. 


대기업 패널을 사용했고 A/S망이 잘 갖춰져 있다고 홍보하는 중소기업 제품들을 기준으로 32인치대의 신품이 15만원선에 판매중이기도 합니다만, 차라리 모니터를 하나 사는게 나을법한 저질 해상도와 중소기업 제품보다는 누가 몇년 쓰던 물건이더라도 제대로 만들어져 나온 대기업 물건이 괜찮으리라 생각되어 그래도 신품은 꽤 비싼 돈을 주고 구매했을법 한 중고 제품을 구해왔답니다.



우리의 중고딩나라 아니 중고나라는 항상 좋은 물건들이 올라옵니다.


중고나라 10년차 회원으로써 정말 많은 물건을 중고나라에서 구매하고 판매해 왔습니다. 학생 시절 잡다한 용품과 카메라 MP3를 시작으로 비스토를 보낼 당시에도 이곳을 보신 죽집 사장님과 거래를 했었고, 수도없이 많은 물품을 거래하곤 했었습니다.


고등학생때 친구가 슬림팬더 중고폰 사기를 당했던 일을 제외하곤 제가 사기를 당했거나 했던 일은 없었고 판매자라면 판매자 입장에서 구매자라면 구매자 입장에서의 매너있고 깔끔한 쿨거래를 위해 노력하면서 살았다보니 지금까지 중고거래를 하면서 욕은 들어먹지 못했었네요.


본론으로 돌아가서 중고나라를 뒤지던 중 대천(보령)에 Full HD를 지원하는 42인치 LCD TV가 15만원에 올라온 모습을 확인합니다. 2010년 2월 제조품이라 하는데, 2010년 중후반부터 본격적으로 CCFL이라 불리는 냉음극관 형광등 대신 LED 백라이트가 적용된 제품들이 시장에 풀리기 시작했던걸로 기억하니 나름 LCD TV의 끝물격 제품입니다.



판매자분이 계신 곳으로 찾아가서 테스트 후 가져왔습니다. 내포신도시 새집에 놓을 목적입니다.

우연의 일치인지 판매자분 전화번호가 숫자 하나를 제외하고 똑같더군요. 


전화번호를 010-123*-5678라 놓고 본다면, *만 다르고 나머지는 똑같았습니다. 판매자 남편분 역시 *만 다르고 동일한 번호를 사용하신다 하더군요. 그렇습니다. 전화번호 숫자 중 한자리만 다른 분들이 보시던 TV를 제가 가져왔다는 이야기가 되는겁니다.


지금의 휴대폰 번호를 사용한지 10년만에 생전 처음으로 이런 로또급 우연을 다 보네요.



여튼 TV 구매 당시 동봉되었던 리모콘 두개와 설명서 그리고 RCA 케이블을 함께 받아왔습니다.


모델명은 42LH32FD. 가져와서 확인하니 USB는 지원하지 않는 모델이더군요. 요즘은 IPTV 셋톱박스에서도 그런 기능은 충분히 지원하니 크게 상관은 없습니다. HDMI 케이블은 써야한다고 하나 사라고 하더군요. 뭐 IPTV던 케이블TV던 아직 뭘 가입할진 모르지만 기사님 오시면 하나 달라고 해야겠습니다.



동축케이블이 없는 관계로 싱크대 위에 TV를 올려서 동축케이블을 연결합니다.


일단 기본적인 공청설비는 갖춰져 있으니 기본적인 방송은 나오리라고 확신합니다.



주방에 달려있던 액정TV에서 케이블만 분리해서 LCD TV에 연결해 봅니다.


다행스럽게 채널은 잘 잡힙니다. 요즘은 대부분 케이블TV 혹은 IPTV를 사용하기때문에 아파트 옥상에 TV수신용 안테나 혹은 공청용 위성안테나를 달아두는 경우가 적습니다. 이 아파트 역시 피뢰침 말고는 공청설비를 찾기가 힘들더군요.



홈쇼핑이나 여타 위성수신으로 보이는 외국방송들이 잡히는걸로 보아 아무래도 지역 케이블방송사와 공청계약을 맺은게 아닐까 싶습니다.


제대로 케이블TV에 가입을 하게 된다면 볼 수 있는 채널은 더 늘어나겠죠. 35개의 채널이 잡혔습니다. 그중 하나는 CCTV 영상을 보여주는 채널이니 그걸 제외한다면 34개의 채널이 되는겁니다.



G5의 TV 리모콘 기능을 활용하여 채널을 돌리고 TV를 감상합니다.


아주 잘 나옵니다. 책꽂이로 쓰이는 컬러박스만 하나 사다가 가로로 눕혀서 저렴한 TV다이로 사용해주면 TV를 가져오면서 처음 구상했던 그 모습이 완벽하게 결과물로 나오리라 생각되는군요.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용산 전자상가에 잠시 따라갔다가 졸지에 핸드폰을 바꾸고 왔습니다. 


기존에 사용하던 노트3 네오가 발적화로 인해 여러 오류가 일어나는 현상이 잦았고, 바꾸면서 알게 된 사실이지만 카메라 모듈도 맛이 갔다고 합니다. 이래저래 나진상가를 지나가던 도중 핸드폰 가게에 호객에 이끌려 영업점에 들어갔고 결국은 혹해서 핸드폰을 바꾸게 되었답니다.


G5 것도 핑크로 가져왔습니다.

배터리 일체형 핸드폰처럼 보이지만, 배터리가 안에서 쏙 빠져나오고 쏙 들어갑니다.



구성은 참 단순합니다.


조그마한 핸드폰 박스 하나에 기기 본체. 나름 LG의 플래그쉽 기기임에도 기본 구성엔 배터리도 하나 들어있지 않습니다. 초기 구매자들을 위한 프로모션 이벤트로 배터리팩과 카메라 모듈을 지원해 줄 뿐이지 그 이후 구매자들한텐 일절 없다는 이야기겠죠.


그동안 뻘짓하던 헬쥐가 모처럼만에 역작을 만들어 갓쥐로 칭송받기에 힘좀 실어주고자 구매를 했답니다. 삼성폰이 질렸고 예전만치 특성이 없는데다 비싸기만 한 것도 이유라면 이유가 아닐까 싶구요.



요즘도 광고를 열심히 때립니다만.. 이벤트도 다시 하고 LG가 힘든가 봅니다.


자동차가 나오는 영화에선 꼭 볼 수 있는 익숙한 영화배우 제이슨 스테이섬이 1인 다역으로 출연하고 배경음악으로 파돌리기송이 깔려나옵니다. 사실 파돌리기송이 아니라 그걸 또 리믹스한 'Everybody move'라는 곡이 수록되었답니다.



구성이래봐야 뭐 별거 없습니다. 


퀵 가이드라 불리는 간단한 설명서.

충전기와 USB 케이블과 웬지 B&O 이어폰 팔아먹으려고 저렴한걸 넣은 듯 보이는 번들 이어폰.

USB 3.1이라 불리는 C타입의 단자가 채택된 만큼 변환젠더와

아이폰처럼 유심칩이 들어가는 카드트레이를 뺄 수 있는 핀까지도 함께 들어있답니다.


삼성의 역작 갤럭시S7은 기존의 마이크로5핀을 채택했지만, 앞으로는 C-Type이 대세가 될거라 하니 헬쥐라 불리던 엘지가 삼성의 플래그쉽 기기에 비해 앞서는 부분도 이래저래 보입니다.


마치 2인자 체어맨이 eq900보다 나은 편의사양이 있다는 이야기 같은건데 넘사벽이라 비유대상이 아니구나


모듈에서 배터리 빼기 참 힘드네요.


배터리 교환이 용이한 노트3 네오도 그냥 배터리 하나만 가지고 쓰면서 이벤트로 받은 보조배터리는 사용도 하지 않고 얼마전에 팔아먹었는데.. 아마 이것도 그리 쓸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배터리에 달린 갈고리로 모듈에 끼는 형태기에 혹여나 모듈이 부러질까 싶어 배터리 빼기가 웬지모르게 무섭더군요.


기본 모듈은 그냥 단순함 그 자체입니다.


모듈이래봐야 사실상 배터리 커버나 다름없는 물건이기에 딱히 구조가 특이하다거나 그래보이는건 없더군요. G5 프랜즈라 하는 다른 모듈들은 어떨지 봐야 압니다.


배터리 탈부착도 의외로 재미나더군요.


특이점이라면 기기의 일련번호가 뒷면에 그냥 보란듯이 붙어있습니다. 무상으로 증정해준 젤리케이스를 끼고 다니면 그냥저냥 바로 노출이 되겠지요. 그래도 16년 5월에 제조된 따끈따끈한 제품에 일련번호가 15만번대에 찍혀있으니 아무대로 기분은 좋습니다.


P.S KT모델만 15만대가 나갔다는 건데.. 의외로 많이 팔리진 않은 듯..



그럼 잘 써봐야죠.


보급형 기기와 함께한 2년은 정말 힘들었습니다. 암만 썩어도 준치라고 회사에서 사활을 걸고 만든 플래그쉽 기종과 이래저래 저렴한 가격에 풀어버리는 보급형 기종은 작은것도 분명한 차이가 있겠죠. 그런고로 아무리 오래되도 비싼 핸드폰은 그 값을 한답니다. 갤럭시S2를 3년 넘게 써오면서도 느꼈으니 말이죠. 오래오래 잘 써보고 앞으로 당분간은 핸드폰 바꿀 일 없이 조용히 짜져서 살아야겠습니다.


미러링크 기능도 지원하니 네비게이션 역시 올인원 오디오와 연동해서 사용 할 수 있고 말입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