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에 해당되는 글 1340건

반응형


헤드라이트 한쪽 전구가 나갔습니다. 



좌측은 사고로 깨먹은 뒤 공업사에서 신품으로 조립해둔 물건이고 우측은 중고품이죠.


처분하기 전 우측 블랙베젤 라이트에서 전구를 갈아끼우려다가 그냥 끼워뒀는데 얼마 타지 않아 헤드라이트 전구가 수명을 다했습니다. 매번 느낍니다만 하향등 필라멘트가 끊어져서 전구를 교환하게 되는군요. 상향등은 아주 잘 들어옵니다.


막상 한쪽만 갈아끼우기 애매해서 이왕 기능성 전구로 바꿔보기로 합니다. 롯데마트에 가니 신뢰의 필립스에서 나오는 4만원 가까운 가격대를 자랑하는 제품도 있고 모비스에서 나오는 제품을 비롯해서 나름 선택의 폭이 넓었습니다만, 고민끝에 보쉬의 사계절플러스 할로겐 램프를 구매했습니다.



롯데마트 당진점에서 13,700원이라는 가격에 구매를 합니다.


보쉬 사계절플러스 전구 H4. 비스토를 타던 시절에도 이 라이트가 비오는 밤에 나름 시안성이 좋다는 사실을 경험하긴 했었죠. 그래서 이미 검증된 이 할로겐 램프를 구매했습니다.


H4규격의 12V용 전구. 정식 명칭은 BOSCH All Weather Plus 2900K


나름 전구 표면에 코팅이 되어있어서 누르스름한 빛을 냅니다. 장착 역시 어렵지는 않은지라 집에 오자마자 바로 교체작업을 진행했습니다. 딱히 오랜 시간이 걸리는 일도 아니고, 꽤 높은 난이도를 요구하는 작업도 아니니 말이죠.


포장을 벗겨낸 사계절플러스 전구는 이렇게 생겼습니다.


이게 마치 파란색인지 노란색인지 알 수 없는 코팅이 핵심입니다. 가로등 하나 없고 비가 내려 차선확인조차 불가능한 어두컴컴한 시골길에서도 안전한 운행을 할 수 있게 만들어 주니 말이죠.



좁은 공간으로 손을 넣어 컨넥터를 빼고, 고무커버를 뜯어냅니다.


라이트 안에 만져지는 철사가 있습니다만 살짝 안으로 눌러서 옆으로 당겨주면 기존 전구가 빠져나옵니다. 새 전구 역시 라이트 마운트에 잘 맞춘 뒤 철사로 잘 고정해준 뒤 고무커버를 덮고 컨넥터를 연결해주면 됩니다. 


말로 설명하면 참 어려운데 직접 해보면 감이 잡힐겁니다.


오르지 손의 감각으로만 해야 하는 작업이기에 초등학생 중학생에겐 어려우리라 생각되고 고등학생 수준이라면 쉽게 해낼 수 있으리라 여겨집니다.



기존 순정 전구와 사계절 플러스 전구.


구조도 그렇고 생긴건 비슷합니다만, 코팅 여부의 차이가 확연합니다.



5분만에 장착 완료.


아주 환하게 들어옵니다. 사진상으로는 뭐 그게 그거 같은 분위기입니다만..



빛이 비춰지는 모습을 보면 노랗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당분간은 라이트 전구를 다시 꺼냈다는 이야기를 할 일은 없겠죠. 비싼 돈 주고 교체했으니 말입니다. 신품 라이트에서 탈거된 순정 전구는 케이스에 잘 보관하기로 합니다. 언제 다시 쓸 줄 모르니 말이죠.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그동안 이런 저런 차량의 실내등 및 번호판등 교체 봉사를 해 왔습니다. 


이번엔 뉴 스포티지입니다. 4세대 신형 차량까지 나온 마당에 2세대 모델은 사실상 뭐 구형이긴 합니다만.. 그래도 아직까지 그렇게 오래 된 차량 반열에 들어가진 않으니 말이죠.


모 친구가 이런저런 차를 알아보고 가져왔다는 차량인데.. 04년식 초기형 뉴스포티지를 암만 리미티드 트림에 썬루프까지 들어간 풀옵션임에도 너무 비싸게 가져왔더군요. 뭐 딱히 교환이나 사고로 들어갈만한 흔적도 없었습니다만, 여기저기 작은 부식들이 일어나기 시작한 차량이라 좀 그렇네요.



목적은 번호판등과 중앙실내등의 교체작업입니다.


우리의 롯데마트 자동차용품 코너에서는 사이즈별로 저렇게 LED 전구를 판매중입니다. 번호판등이 T10 규격이고, 실내등이 36mm 규격이니 각각 한 세트를 구매했네요.



탈거는 간단합니다. 일자드라이버를 작은 틈에 비집어 넣고 재껴주기만 하면 됩니다.



2004년식 차량이니 약 11년간 고생해준 우리의 백열전구입니다.


이제 예비용으로 조금 쉴 수 있게 되었군요. 잘 잡아당겨서 꺼내주고, LED 전구를 그 자리에 끼워줍니다.



백열등의 은은한 조명에 비해 훨씬 더 밝아졌다는 사실을 인지 할 수 있습니다.


뭐 실내등 작업이야 누워서 떡먹기. 초등학생도 할만한 그런 작업이죠.



본격적으로 번호판등 탈거작업에 돌입합니다.


같이 작업을 하던 다른 친구가 그러네요. 나사가 빠지질 않는답니다. 뭐 설마 야마가 났겠어 싶었습니다만.. 아니나 다를까 피스가 다 썩어있네요. 번호판등도 들어오질 않고, 커버를 고정하는 나사 역시나 썩어 문드러진 상태입니다.



어이쿠....


드릴 가져와서 기리로 이빠이 뚫어버리고 갈아내도 빠질지 모르겠네요. 속에도 습기가 차 있는걸로 보아 내부 상태도 그리 좋아보이진 않습니다. 그냥 앗세이 채로 사다가 갈아버리는건 어떨지 싶네요.


여튼 번호판등은 포기하고 넘어가도록 합니다. 남은 T10 전구를 어찌 처리할까 싶었는데 실내 중앙등 말고 운전석쪽 맵등 규격이 T10이더군요.



이 역시 실내등과 동일합니다.


썬루프가 들어가는 모델이라 맵등에 버튼이 좀 더 붙어있네요. 요즘 나오는 K3같은 차량이나 중형차급이랑 별반 차이가 없습니다. 조금 통통한 전구를 탈거하고 T10 LED를 끼워넣었네요. 다만 한쪽은 헐거운지 잘 들어가지 않아 이 역시 한쪽만 장착하고 마쳤습니다.



흠냐....


뭐 여튼 늦은 2월의 어느 밤. 롯데마트 노상주차장 한켠에서의 짧은 DIY는 이렇게 막을 내립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