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에 해당되는 글 1355건

반응형

 

서울 시내에 무슨 똥이 있냐고 얘기하는데 우면산로 한복판에서 똥(분뇨)을 밟았습니다.

근데 그 똥이 흙받이에 튀어서 냄새가 엄청나더군요.

거기에 하차는 2시간 30분 소요. 하루 말아먹은 김에 오랜만에 화물차를 세차장에 넣었습니다. 

 

트럭이나 버스 같은 대형차들은 여건상 세차가 어렵습니다. 그나마 윙바디 같은 탑차류나 버스는 자동세차기라도 받아주니 사정이 나은 편이지만, 그 외 카고나 트레일러 같은 차종들은 주유소에서 대충 물을 뿌리고 솔질을 하는 수준으로 만족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승용차 같은 디테일링은 꿈도 꾸기 어렵고요. 내내 같아 보이는 알루미늄 휠이라도 휠마다 관리방법이 다르기도 하고 승용차에 사용하는 철분제거제나 기타 케미컬로 씨알도 먹히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내려가는 길에 근처 대형세차장에 전화를 하니 대기하는 차량이 한 대밖에 없다고 하더군요. 정말 누구보다도 기다리는 걸 싫어하는 사람이라 대기차량이 많으면 그냥 내려가려고 했는데 대기하는 차량이 없기에 세차를 넣으러 왔습니다.

 

 

화성 양감 구석에 경기대형트럭매매상사라는 트럭을 전문적으로 취급하는 중고차 매매단지가 있습니다.

그 부지 안에 있는 세차장이라네요.

 

검색하니 죄다 사진만 다를 뿐 내용은 비슷한 바이럴 블로그만 떠있습니다. 작년에는 화성 우정에 있는 세차장에 다녀왔었죠. 요즘 그 글로 유입이 좀 있습니다만, 이렇게 다니다 보면 대형차를 전문적으로 취급하는 세차장들이 좀 있습니다.

 

 

프리마 카고트럭 세차. [화성로이 대형세차장]

사실상 어디서나 세차가 가능한 승용차도 마음먹고 세차하면 꽤 많은 시간을 소비합니다만, 화물차의 경우 세차 공간의 제약은 물론이고 여러모로 한계에 부딪히는 일들이 많습니다. 일반적인

www.tisdory.com

 

 

경기대형트럭세차장

 

매매단지 안에 방수천막이 씌워진 공간이 세차장입니다.

 

매매단지 안에 있다 보니 상품화를 하는 차량을 맡기는 딜러들이 주요 고객이고 저 같은 뜨내기손님들은 문의하고 찾아오는 경우가 많은 듯합니다. 11톤 냉동탑차가 먼저 들어가 있는데 번호판이 없는 걸로 보아 딜러가 매입하여 상품화를 진행 중인 차량이었습니다.

 

경기대형트럭매매단지

 

꽤 넓은 부지에 대형트럭들이 촘촘히 주차되어 있었습니다.

'경기대형트럭매매단지(주)'라는 간판이 걸려있네요.

 

평범한 공장이었다가 약 10여 년 전부터 대형차 전문 매매단지로 이용 중이라고 합니다. 통로를 제외하고 다양한 상품용 트럭들이 빼곡히 주차되어 있었네요. 매매단지 말고도 세차장이나 용품점 정비소 같은 시설들이 입주해 있었습니다.

 

용품점 정비소

 

세차장 옆으로 무시동히터 장착점도 보이고 오토바이 수리점도 보입니다.

그리고 저 안쪽으로 카센터도 보이네요.

 

주차된 상품용 차량들과 지나다니는 차량들이 뒤섞여 복잡합니다. 기다리며 주변 구경을 하는 동안 냉탑의 세차가 끝나서 제 차를 집어넣었네요.

 

세차중

 

세차를 진행합니다. 하체가 더러운 편이라 약품세차를 하자고 하네요.

 

고압수를 뿌리고 약품을 뿌리고 다시 고압수를 뿌리는 방식입니다. 작년에 다녀왔던 세차장과 세차 방식은 크게 다르지 않으나 이곳은 따로 카샴푸로 비누칠을 하지 않습니다. 그럼에도 약품에 거품기가 좀 있네요. 세차장에 오는 이유도 대부분 밖에서 닦기 어려운 휠이나 하체에 물을 뿌리러 오는 경우가 많기에 그런진 몰라도 말이죠.

 

세차중

 

어딜 가나 대형차 세차는 최소 2인 이상이 진행합니다.

 

파란 옷을 입은 외국인 직원이 약품을 뿌리고 양쪽에서 사장님과 한국인 직원이 고압수를 뿌리는 방식이네요. 그냥 대충 뿌리는 것처럼 보여도 약품과 고압수가 지나간 자리는 거짓말처럼 깔끔해집니다.

 

약이 독하긴 독한가보다

 

약품이 확실히 독한가 봅니다.

 

공구통 철판 문짝의 녹까지 같이 지워지네요. PB 계열의 독한 약품으로 보입니다. 

 

세차진행중

 

때가 벗겨지는 모습을 실시간으로 관전합니다.

 

어느 정도 진행되니 차를 좀 뒤로 빼라고 하네요.

 

차를 뒤로 뺌

 

차를 좀 뒤로 빼고 계속 세차가 진행됩니다.

 

휠하우스 안쪽에서 흙탕물이 계속 나옵니다. 지난번에 현장에 들어갔다 웅덩이에 빠졌었는데 그때 묻은 흙들입니다. 아무리 사무실에서 호스로 뿌려도 닦이지 않던 건데 고압 앞에선 싹 사라지더군요.

 

약이 독하다

 

약이 독해서 페인트까지 날아가네요.

 

연료통을 잡아주는 밴딩의 검은 페인트와 요소수통을 고정하는 각관의 페인트도 날아갔습니다. 난간대 스티커도 고압에 거의 다 날아갔네요. 조만간 봐서 파손된 건 새 걸로 교체하고 랩핑이나 싹 해주려 합니다.

 

에어혼

 

진짜 별 지랄을 떨어도 지워지지 않는 에어혼 커버에도 약품과 고압수를 뿌려줍니다.

 

신차 출고 이후 얼마 지나지 않아 바로 겨울을 맞이했기에 눈과 염화칼슘을 맞아 금방 더러워졌고 잘 닦이지도 않아 거의 방치했던 부분입니다. 약품 빨로 조금 깔끔해지긴 했으나 너무 오랜 세월 놔둬서 어쩔 수 없네요.

 

11만원

 

부가세까지 110,000원.

약품세차까지 들어가서 비싼 편입니다만, 그만큼 약은 독하네요.

 

물기가 마르고 보니 범퍼 하단은 외국인 직원이 약품을 뿌리지 않아 흙먼지가 그대로 남아있었습니다. 다음에 가게 된다면 이런 부분까지 꼼꼼히 체크해야겠네요. 다시 휠에서 광이 나기 시작하고 차는 깔끔해져서 좋긴 합니다만, 가격대비 디테일이 좀 아쉬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맨날 억까나 당하는 최신형 미국산 대우 전기차보다 훨씬 더 정이 가는 적폐 4등급 칠성사이다 포터.

 

지난 1월에 19.6만 km를 탄 차량을 가져와서 20만 km의 벽을 넘어섰습니다. 차가 크게 속 썩이는 부분도 없고, 이거 저거 만지기도 좋고, 운동 겸 용돈벌이로 폐지나 고철도 수집하고, 무엇보다도 실용적인지라 생각 이상으로 많이 타게 되더군요.

 

 

현대 포터2 오토 구매(배출가스 4등급 조기폐차 가능)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또 차를 들고왔습니다. 이번에는 1톤 트럭 포터2를 가져왔습니다. 근래 미국산 대우 전기차로는 아무래도 한계가 있다 보니 파지를 가져다 버릴만한 적당히 실용적인 차

www.tisdory.com

 

용인에서 시운전을 할 때 촬영되었던 주행거리가 196,059km. 4개월간 딱 4,000km 탔습니다. 크게 속썩이지도 않고 참 재밌게 타고 있네요. 이런 포터가 20만 km를 넘겼습니다. 2008년 10월에 생산된 차량인지라 약 16년 만에 도달했네요. 그리고 20만 KM 주행을 기념하여 엔진오일을 교체해줬습니다.

 

199,999km

 

그냥 모르고 넘어갔을수도 있었지만, 다행히 199,999km에 도달한 시점에서 계기판을 확인했습니다.

 

원하는 주행거리는 십만 단위 숫자가 2로 바뀌는 200000. 계기판을 주시하며 살살 주행하다 적산거리가 1km 더 올라간 시점에서 다시 차를 세우고 계기판 사진을 촬영합니다.

 

255,000km

 

200,000km

 

십만단위 숫자가 3으로 바뀌는 모습은 아마 볼 수 없겠습니다만, 20만km는 저와 함께 하고 있습니다. 아마 칠성사이다 도색이 되어있지 않았더라면 수출길에 올라 타국에서 이 주행거리를 맞이했겠지요. 그렇게 20만km를 넘긴 기념으로 다음날에 엔진오일을 교환해주기로 합니다.

 

이 차량은 칠성사이다 도색이 된 차량이지만, 롯데칠성 대리점에서 굴려지던 기간은 6년 정도로 생각보단 짧았습니다. 직전 주인이 8년간 농업용으로 사용했었고, 연간 주행거리도 제가 4개월간 탄 수준밖에 되지 않았습니다. 지난해 가을에 종합검사를 재검을 거쳐 통과했더군요. 재검을 앞두고 분명 엔진오일은 교체하고 갔을테고, 검사 이후 약 100km정도 탄 차를 구입했으니 약 4000km 타고 엔진오일을 교체해 줍니다.

 

리프트

 

쓰줍을 하던 중 정비소에 입고하여 차량을 리프트에 올립니다.

엔진오일 교체 과정은 엔진 위치만 다를뿐이지 승용차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물웅덩이좀 밟고 다녔더니 하체에 진흙이 덕지덕지 붙어있네요. 차를 내리고 역에 가서 손님을 태워왔어야 했는데 시간 여유가 있어 하체에 물을 좀 뿌리고 갔네요. 차를 세우는 곳이 비만 내리면 물웅덩이가 생기는 곳이라 포터에겐 어쩔 수 없는 숙명입니다. 뭐 미국산 대우 전기차로도 열심히 물웅덩이 밟고 다니는데요.

 

기존 엔진오일 배출

 

기존 엔진오일을 배출해냅니다.

그리고 타원형의 에어크리너 역시 탈착합니다.

 

점도는 그럭저럭 유지되는 느낌. 언제 교체했는지 모를 엔진오일이라 진작 내려줬어도 무방한데 애초에 딱 기간만 채워서 조기폐차를 보내려던 목적과는 달리 다른 포터들도 갖고 있는 고질병인 부식만 좀 있을 뿐 별다른 잔고장도 없고 차량 상태도 우수해서 좀 더 탈 생각으로 차량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데후오일(디퍼런셜 기어 오일)과 브레이크액 교체 이후 약 한 달 만에 국물류를 내리고 있습니다.

 

 

포터2 브레이크액 + 디퍼런셜 기어 오일(데후오일) 교체

칠성사이다 포터 이야기입니다. 처음에는 그냥 대충 굴리다가 6개월 채우고 조기폐차라 쓰고 적폐청산이라 읽는 행위를 하며 차익을 실현하려 했는데 차량 상태가 너무 좋고 취미 삼아 운동도

www.tisdory.com

 

리프트에서 내려오는 포터

 

한참동안 잔유를 배출해낸 뒤 드레인 코크를 닫고 리프트를 내립니다.

 

리프트를 내린 뒤 보조석 시트를 열고 엔진룸을 열어 엔진오일을 주입해 줍니다. 요즘 판매되는 LPG 포터의 경우 오일 양이 좀 줄었다고 합니다만, 디젤 포터의 경우 엔진오일이 7리터나 들어간다고 하네요. 오일값도 무시 못 할 수준입니다. 거기에 이곳은 순정 에어크리너를 사용하는데 순정 에어크리너 가격이 1만 6천원대까지 올랐다고 합니다. 엔진오일 교체 걱적이 없는 전기차가 메인이다보니 이젠 오일값도 부담입니다.

 

신유 주입

 

새 엔진오일을 주입해 줍니다.

 

깡통오일입니다만, 현대 순정 'DPF 장착차량용 승용디젤 엔진오일'이라고 합니다. 1리터 품번이 00120, 6리터 품번이 00620으로 끝나는 물건인데 삼각떼 순정 오일도 이것이였죠. 첫 엔진오일만 이 오일을 넣었고 보증기간 이후 블루핸즈로 다니던 시기에는 이보다 한단계 위의 '에코 프리미엄 디젤'을 사용했었습니다.

 

물론 유로5 133마력 엔진이 적용된 포터와 봉고도 이 엔진오일이 제조사에서 권장하는 규격에 맞춘 순정 엔진오일이긴 합니다만, 그보다 낮은 오일을 사용해도 무방한 적폐 4등급 126마력짜리 포터에겐 과한 엔진오일을 주입해 주고 있습니다. 

 

엔진룸

 

지난 1월 차를 사오던날 이후 처음으로 엔진룸을 까봤습니다.

 

흙먼지만 더 늘었네요. 언제 시간 날 때 에어건으로라도 좀 불어줘야겠습니다. 여전히 엔진쪽 누유는 없습니다만, 미션쪽에서 살짝 오일이 비치더군요. 그래도 년식과 주행거리를 생각하면 준수한 상태입니다. 

 

엔진오일 교체 주행거리

 

200,061km에 엔진오일을 교체했습니다.

 

다음 교체는 아마 5~6000km 이후. 약 6개월 뒤가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겨울쯤 되겠네요. 그때까지 쓰줍으로 차값 이상 빼는게 목표입니다. 벌써 차값의 70%정도는 쉬엄쉬엄 고물을 주워 회수했습니다.

 

98,000원

 

98,000원을 결제했습니다.

 

필터값도 필터값이지만 오일값이 많이 오르긴 했네요. 내내 인터넷에서 순정 오일과 필터 세트라고 판매하는 물건이 택배비를 포함하면 6만 8천원대인데, 이 제품을 구입하여 공임을 내고 교체해도 비슷한 비용일겁니다. 그렇게 따지고 보면 비싼 가격은 아니네요.

 

다음 오일 교환 주기까지 무탈히 잘 탔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