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에 2만km를 넘겼고 약 3개월 만에 1만 km를 더 탔습니다. 2만에서 3만으로 넘어가는 시점에도 고라니나 쳐박고 다쳐서 병원에 입원하고 돌아다니는 빈도가 줄었음에도 하루에 약 100km씩 주행하니 그럭저럭 올라가긴 하네요. 출고후 딱 1년을 채우는 7월까지 탄다면 대략 3.5만km정도 주행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지난해 7월에 5축 타이어를 중국산이자 금호타이어의 모기업인 더블스타 아오센으로 교체했었는데 10개월 조금 넘기고 거의 다 닳아 또 타이어를 교체했습니다. 솔직히 조금 더 타도 될 수준으로 남아서 장마철이 시작되면 교체하려 했습니다만, 세차를 하고 구리스도 칠 겸 해서 조금 일찍 교체했습니다.
물론 지난해 가을에 장거리를 좀 다니고 11m까지 싣고 다니던것도 감안해야 하겠지만, 확실히 중국산 타이어가 이전에 5축에 끼워져 있던 출고 타이어인 브리지스톤 대비 빨리 닳긴 하더군요.
시기상으론 10개월. 장마철에 교체한다고 해도 길어봐야 11개월 정도 버티고 교체하게 되는 건데 타이어값이 근 1년 사이에 정말 많이 올랐고 요즘 매출도 제대로 나오지 않으니 다른 선택의 여지가 없습니다. 어차피 5축이고 하니 중국산을 끼우고 또 1년 가까이 버티기로 합니다. 결론은 높은 산봉우리 같은 나라에서 만든 타이어로 중국몽을 또 함께 하게 됩니다.
미쉐린타이어 당진점
미쉐린타이어 간판을 달고 있는 대리점입니다만...
여타 대형차 타이어를 취급하는 가게들이 그렇듯이 중국산이나 국산 타이어도 다양하게 취급합니다.
미쉐린과 미쉐린이 인수한 BF굿리치 브랜드의 간판이 걸려있습니다. 물론 미쉐린이나 조금 저렴한 BF 굿리치를 끼우는 사람들도 있습니다만, 막혀있는 길에 있는 특성상 이 가게가 상대적으로 다른 곳에 비해 저렴한 편이라 이곳을 찾았습니다.
12R 22.5 중국산 타이어 기준 인터넷 최저가로 20만원대 초중반에 판매하는 물건들도 있습니다만, 내내 장착비를 생각하면 오프라인 매장이나 큰 차이는 없더군요. 그래서 그냥 오프라인에서 끼웁니다.
청산타이어
가장 저렴한 타이어를 보여달라고 하니 이 타이어를 보여주네요.
중국산 청산타이어라고 합니다.
끼우고 다니는 차들은 많이 봤습니다. 중국어 발음으로 쳉샨(CHENGSHAN)이라고 읽히는데 한자로는 성산(成山)입니다. 중국 산둥성 룽청시에 소재한 회사라고 합니다. 이 타이어가 30만 원. 이보다 조금 비싼 중국산 타이어는 35만원이라고 하네요. 35만원짜리 중국산 타이어의 패턴은 작년에 끼웠던 아오센과 비슷하다고 합니다만, 내내 줄 네개짜리 타이어에 어느정도 트레드가 닳으면 패턴은 크게 의미없기에 가장 저렴한 이 타이어를 끼우기로 합니다.
CHENGSHAN CFH136
정확한 타이어의 제품명은 CFH136입니다.
철심이 18가닥인 18PR 제품입니다. 물론 한국보다 허가된 총중량이 높고 과적이 잦은데다가 한국보다 더 덥고 추운 지방이 모두 상존하는 중국의 특성상 그보다 덜한 한국의 환경에서 버티기에도 큰 문제는 없을겁니다. 모델명을 찾아보니 중국 홈페이지가 나오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