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에 해당되는 글 1352건

반응형


지난 주말에 적재함 보강작업을 진행했습니다.

바닥에 철판을 깔지 않았고 문짝도 없는지라 일반적인 다른 차량 대비 적게는 500kg에서 1톤까지도 공차중량이 덜 나가는 편입니다. 애초에 처음부터 공차중량이 많이 나갔더라면 모르겠는데 상대적으로 가벼운 공차중량에 익숙해지니 최대적재량까지 상차해야 하는 상황에서 얻는 이점도 있었던지라 막상 중량을 늘리는 일은 내키지 않더군요.

근데 바닥에 철판을 깔지 않으니 적재함 바닥 나무가 들고 일어납니다. 바닥 갈빗대도 주저앉았고요. 그래서 적재함 볼트를 다시 조이며 상태가 좋지 않은 부위만 철판을 덧대고 부착바도 추가로 몇개 더 장착했습니다.

입고


적재함집에 갈까 하다가 차고지 앞 카센터가 생각보다 저렴해서 여기서 용접을 진행합니다.

적재함집에 오고가는 거리나 시간을 생각해도 전체 작업도 아니고 부분 보수작업인지라 용접을 해주는 가까운 곳에서 작업해도 큰 문제는 없을거라는 판단에 가까운 곳에 차를 입고시켰습니다.

적재함 볼트 조이기


적재함과 프레임을 연결하는 볼트를 조여줍니다.

어느정도 풀린 모습을 본지도 꽤 오래된 느낌입니다만, 그 상태에서 큰 변화는 없었습니다. 갈빗대가 주저앉아 조여지지 않을거라는 우려와는 달리 그래도 조여주니 끝까지 들어가긴 하네요.

철판 가공


적재함 위에 올릴 철판을 가공합니다.

그냥 올리고 붙이면 되는 게 아닌가? 싶었는데 적재함 나무바닥 크기보단 커야합니다. 중량을 늘리고 싶은 생각은 없어서 최대한 얇은 철판을 가져다 댑니다.

준비완료


모든 준비가 완료되었습니다.

장착할 위치를 표시하고 그 위에 올려둔 부착바와 철판의 모습입니다. 대강 준비된 모습을 확인합니다.

절단


문짝이 없는 차라 의미없는 구조물도 제거합니다.

저거 생각보다 쉽게 잘릴거라 생각했는데 산소로 한참 불어내야 잘려나가더군요. 애초에 신차때 부착바를 많이 달았어야 했지만 철근만 할거라 생각했던게 패착이었습니다.

지금 시점에서 신차를 출고해서 작업하라고 하면 부착바는 최대한 덕지덕지 붙이지 않을까 싶네요. 종전보다 밖으로 나돌면서 이거저거 다 싣고 다니는 일이 많아졌는데 이런 패턴이라면 기변 시점에서 중축차 대신 후축차나 추레라를 뽑지 않을까 싶습니다.

부착완료
부착완료

지게차가 건드리고 주저앉아 나무가 뜨는 자리라 대충 덮으면 됩니다.

언제 시간 날 때 칠이나 새로 해줘야겠네요. 페인트도 사놨습니다만 주말에 비가 내리거나 상차를 해놓는 경우가 다수라 시간을 내기 어렵습니다.

벽 주변도 철판 용접


적재함 벽 아래. 나무나 자재를 놓는 자리도 철판을 덧댔습니다.

미션 수리를 위한 작은 뚜껑이 있었는데 그 주위 바닥이 깨져버려서 책상 상판을 덧대고 다녔었습니다만 깔끔하게 정리했습니다. 처음부터 철판을 깔았었으면 모르겠는데 철판을 깔지 않고 타다 보니 남들보다 1톤 가까이 가벼운 공차중량으로 얻는 이점을 확실히 알게된지라 이렇게 최소한의 철판만 깔아서 늘어나는 30kg정도의 무게도 썩 달갑게 느껴지진 않더군요.

여튼 그렇습니다. 부착바도 촘촘하게 달았고, 당분간은 적재함에 신경쓰일 일은 없을겁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지난달에 목격했던 95년 4월에 최초등록된 쌍용의 코란도 훼미리입니다.

 

쌍용그룹의 공중분해와 KG그룹의 쌍용자동차 인수 사이 주인이 수차례 변경되었어도 30년 이상 존치되어 왔던 쌍용 브랜드를 버리고 KGM 브랜드를 사용하고 있습니다만 동아자동차가 쌍용그룹에 인수된 이후 처음으로 출시된 차량이 이 스테이션 왜건 스타일의 코란도 훼미리였습니다.

 

이스즈 트루퍼의 프레임을 기반으로 자체개발한 탑을 올린 고유모델이었는데, 88년 출시 이후 96년 단종시까지 8년간 세 번의 부분변경을 거쳤고 이스즈엔진에 푸조엔진에 이스즈 엔진을 기반으로 하는 대우중공업 엔진을 받아다 쓰기도 했고 변속기 역시 이스즈 미션에서 통일중공업 미션으로 변경되는 등 무엇보다도 파워트래인 계보가 상당히 난잡했습니다. 

 

96년까지 판매되었던지라 2010년대 초반까지는 드문드문 보이긴 했습니다만, 범퍼가 없어서 폐차장에 가는 등 부품 수급이 어려워지며 폐차되는 개체가 많아지며 2020년대 중반인 현재는 도로 위에서 찾아보기 상당히 어려워졌습니다.

 

 

[목격] 1995 쌍용 코란도 뉴 훼미리/1990 현대 그랜저 3.0

새해 첫 올드카 목격담입니다. 오늘은 그간 지나가며 잠시 마주쳤던 차량 두대의 이야기를 하고 넘어가려 합니다. 당진에서 봤던 후기형 코란도 훼미리와 서해안고속도로 발안ic 부근에서 목격

www.tisdory.com

 

예전에도 서울 지역번호판이 부착된 차량을 목격했었는데 그 이후로 정말 오랜만에 코란도 훼미리를 2025년 4월에 목격하게 되었습니다.

 

1995 SsangYong Korando Family

 

초기형 중기형 차량들은 사실상 전멸이고 최후기형 차량들만 이렇게 가끔 도로 위에서 마주칩니다.

 

경기도 평택시에서 발급된 '경기 40' 지역번호판을 부착하고 도로를 달리고 있었습니다. 도색의 광은 다 바랬지만 녹색 빛이 나는 컬러로 크게 파손된 부분 없이 잘 달리고 있었네요. 등화관제등은 이미 은색 페인트로 덧칠이 된 상태였고, 뒤 발판 역시 사제로 달아둔 모습이었습니다.

 

1995 SsangYong Korando Family

 

차체고 몰딩이고 덧칠의 흔적으로 가득하지만 살아있는 그 자체만으로도 귀중한 차량입니다.

 

스페어타이어 커버는 사라졌지만 그래도 모든 부품이 온전하게 달려있고 크게 파손되지 않은 상태인것만으로도 귀중하게 느껴집니다. 비슷한 년식에 상대적으로 부품 수급이 용이한 갤로퍼의 경우 지금까지도 꽤 괜찮은 가격대에 매물로 올라오고 있습니다만, 코란도 훼미리의 중고 매물은 언제 봤었는지 기억조차 나지 않네요. 

 

잘 달린다

 

그렇게 고속도로에 함께 진입했습니다. 하이패스 단말기가 있어 하이패스를 통과하더군요.

 

그렇게 30년이 넘었지만 건재한 모습으로 빠르게 사라졌습니다. 지금까지의 30년처럼 앞으로도 부디 건재한 모습으로 도로 위를 달려줬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