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에 해당되는 글 1340건

반응형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95년 12월 등록된 뉴갤로퍼 밴과 92년 2월 등록된 현대 11톤 카고트럭입니다.

 

둘 다 화물차로 분류되는 차량들이지만, 나름대로 의미가 있어 사진으로 남겨두었고 이렇게 모아서 올드카 목격담에서 다뤄보려 합니다. 먼저 95년 12월에 등록된 뉴 갤로퍼 숏바디 밴입니다.

 

1995 HYUNDAI NEW GALLOPER S.VAN

뉴 갤로퍼 밴에 한자리 수 지역번호판이 부착되어 있습니다.

 

95년 12월이니 사실상 한자리 지역번호판 끝물에 부착되었네요. '충남7 도'로 시작하는 번호판이 부착되어 있습니다. 지금 차종들 기준으론 7로 시작하는 식별기호는 승합차에 해당하지만, 당시 기준으로 승합차는 5,6을 사용했고 7,8이 화물차의 식별기호였으니 '충남 7'로 시작하는 번호판을 받았습니다.

 

94년 7월부터 약간의 부분변경을 거쳐 판매되던 뉴갤로퍼의 숏바디 밴 모델입니다. 갤로퍼 밴이라 하면 이후 출시된 갤로퍼 2와 파제로 에볼루션의 디자인을 비슷하게 따라한 이노베이션 모델이 다수를 차지합니다만, 숏바디 밴이 초기형부터 존재했었습니다. 현시점에서는 쉽사리 보기 어렵지만 말이죠.

 

사이드스텝의 부식이 보이긴 하지만, 28년 가까운 세월을 보낸 차량이라는 사실을 감안하면 상태도 그럭저럭 나쁘지 않았습니다. 데칼이나 레터링까지 다 살아있는 모습도 상대적으로 깔끔한 휠의 모습도 그렇고요. 당연하게도 5등급 노후경유차인지라 오랜 세월 생존하기는 어려워 보입니다만, 앞으로도 그 모습 그대로 부디 잘 달려주었으면 좋겠습니다.

 

1992 HYUNDAI 11ton Cargo Truck

다음은 평택제천고속도로에서 목격했던 92년 2월 등록 '현대 11톤 카고트럭'입니다.

 

띄어쓰기 없이 등록원부상 '현대11톤카고트럭'이라는 이름으로 등록되어 있습니다. 고속도로를 지나며 맞은편에서 지나가는 모습을 간간히 봤었는데, 이렇게 같은 차선에서 나란히 달려보기는 처음이라 사진으로 남겨보았습니다. 흔히 91A라고 하는 미쓰비시 후소 더 그레이트의 한국 생산 모델입니다.

 

지금은 6x2 모델이 14톤으로 판매되고, 해당 차량에 가변축을 하나 더 달아 8X2 18~19톤으로 증톤 하여 타는데 이 차량은 가변축 장착 없이 순정 6x2 모델 그대로 남아있습니다. 반대로 요즘 중형트럭으로 분류되는 5톤 차들이 축을 달아 이 차량의 짐을 넘보고 있지요.

 

고속도로에서 쌍용 SY트럭과 함께 그럭저럭 보이는 차종이지만 대부분 94년 부분변경 이후 생산된 현대 데칼이 붙어있는 차량들입니다. 다만 이 차량은 그 차량들보다 훨씬 전에 생산된 미쓰비시 후소의 잔재가 남아있는 구형이라는 사실을 측면 탑을 보면 알 수 있지요.

 

오렌지색 도색

탑의 상태가 썩 좋은 편은 아니지만, 미쓰비시 트럭 특유의 문짝 도색의 잔재는 그대로 남아있습니다.

 

타원형 현대 로고가 적용되고 94년 5월 부분변경 이전까지는 미쓰비시 차량들을 라이선스 생산하던 현대자동차의 트럭들도 이런 식으로 문짝에 포인트 도색이 존재했었습니다. 포터에서도 볼 수 있고, 마이티에서도 볼 수 있었죠. 이 모습으로 확실히 이 차량이 후기형 모델은 아니라는 사실을 알 수 있었습니다.

 

제가 목격하기 바로 전날 공차로 있던 모습을 보셨던 분이 얘기하시기론 적재함이 휘어서 위태로워 보였다고 하십니다. 무려 31년 넘는 세월을 달리고 또 달렸을 테니 그만큼 낡았겠지요. 비약적인 성능을 자랑하는 요즘 트럭들 사이에서 천천히 달리고 있었고 그 누구도 알아주지 않지만 강산이 세 번이나 변한 지금까지도 노익장을 과시하고 있습니다.

 

인천 영업용 번호판을 달고 다니는지라 저감장치는 일찌감치 장착했을 테고, 보통 이런 차량들은 차주분이 은퇴할 때까지 타고 다니시는지라 아마 차주분의 은퇴와 함께 퇴역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앞으로 언제까지 도로 위에서 볼 수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자주 볼 수 있었으면 좋겠고 부디 남은 세월 무탈히 달리고 퇴역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DPF가 장착된 유로 4 이후 디젤차에겐 숙명과도 같은 일인 DPF 청소를 진행했습니다.

 

승용차도 20만 km 넘기고 했는데, 화물차를 15만 km 타고 했습니다. 얄짤없이 하게 만드네요.

 

DPF 경고등

유로 6C 타타대우의 FPT 엔진이 적용된 타타대우 차량들은 차량들은

엔진 가동시간이 3200시간을 넘어가면 DPF 경고등과 함께 이런 알림이 표시된다고 합니다.

 

서비스 주기를 초과 하였습니다. DPF 필터를 청소 하십시오. 물론 엔터 버튼을 누르면 트립컴퓨터에 표시되는 이 문구는 지워지긴 합니다만, 계기판에서 계속 DPF 경고등이 깜빡입니다. 물론 이 알림 역시 시동을 다시 걸 때마다 지겹게 뜨긴 합니다.

 

그래서 조만간 올 테니 경고등 좀 지워달라고 센터에 갔더니 이건 지워주면 다들 까먹고 느지막에 와서 DPF 담채가 깨져있는 경우가 있어 지워주지 않는답니다. 동급 현대차의 경우 30만 km에 경고등이 뜨는데 처음은 소거해 주고 다시 뜨면 청소를 하라고 한다더군요. 이런 부분에서는 현대차의 유지관리비가 압도적으로 적게 들어갑니다.

 

계속 떠서 짜증 나던 와중 지난 수요일 비도 내리고 순번도 늦기에 아침 일찍 센터에 입고시켰습니다.

 

입고

DPF 청소작업은 시간을 반나절 이상 잡아먹기에 아침 일찍 입고해야 합니다.

 

아침 일찍 입고했습니다. 이날 DPF 청소 때문에 입고한 차량이 약 세대정도 된다는데 기다리지 말고 오늘 중으로 끝내준다고 다 끝났다고 연락이 오면 그때 오라고 합니다. 건식 클리닝만 진행되는데 대략적인 가격은 45만 원 정도. 밴드라던지 다른 소모품을 교체해야 하는 상황이면 좀 더 나온다고 합니다.

 

그래서 차를 세워놓고 집에 가서 놀다가 4시쯤 살살 나와봅니다.

 

조립 후 강제재생중

크리닝을 마치고 조립 후 강제재생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차로 1분거리인 사무실에 가서 좀 더 기다리니 다 끝났다고 연락이 오네요. 바로 차를 찾으러 갔습니다.

 

DPF 클리닝센터 지정서

이런 것도 있네요.

 

DPF 클리닝에 관한 고도의 전문성과 숙련도 및 타타대우상용차 검증 클리닝 장비를 보유한 우수센터라고 합니다. 동아이엔씨의 DPF-100이라는 장비로 건식 클리닝을 하나 봅니다. 같은 장비를 보유한 곳에서 청소를 진행하면 결과는 같겠죠. 비인증 장비로 청소시 제대로 청소가 안되고 보증이 안된다는 얘기도 있습니다.

 

배출가스 저감장치 관리/교환 주기

FPT엔진만 관리 및 교환주기가 유독 짧습니다. 

 

두산엔진이나 커민스엔진은 크게 신경쓰지 않아도 될 수준의 주기를 자랑하지만 FPT 엔진만 유독 저러네요. 매 150,000km 혹은 3,200시간의 주기는 상용차량 입장에선 상당히 짧게 느껴집니다.

 

청소 후 깔끔해진 계기판

청소 및 경고등 소거 후 계기판이 깔끔해졌습니다.

 

대략 2년쯤 뒤 30만km 정도 타고 다시 경고등이 뜨겠네요. 현대차 한 번 청소할 주기에 대우차는 두 번 청소하는 식입니다. 시내주행이 많기는 해도 그만큼 고속도로 주행도 많은데다가 밟고 다니는 스타일이라 재생도 잘 될테고 크게 문제는 없을텐데 주기가 짧은게 흠이라면 흠입니다.

 

522,500원 결제

부가세가 포함된 522,500원을 결제합니다.

 

탈착시 교환해주는 DPF 가스켓만 구입했고 다른 부품들은 따로 들어가지 않았네요. 승용차도 20만km 타고 했었는데 화물차를 15만km 타고 진행했습니다. DPF의 크기 차이도 존재하는데 가격은 승용차와 큰 차이가 없긴 합니다. 2년 뒤에 또 봅시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