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벌써 세월이 그리 흘렀습니다. 곧 대차를 앞둔 버스가 되었습니다.


시기는 2006년 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아마 5월로 기억하네요. 당시 중학생이던 저는 자전거가 아닌 버스로 통학을 했었습니다. 아시다시피 이사를 간 뒤론 터미널이 멀어진지라 자전거를 타고 통학했었지요. 그 당시 아침마다 타고 다니던 버스는 도시에서 사라진지 한참 된 프론트 엔진 버스. 즉 구동박식이 FR이던 버스 BF105였습니다. 


같은 운임을 주고 버스를 타는데 누구는 로얄미디(BM090)를 타고 누구는 BF105를 타던게 불만이던 그 당시, 충남77자5525호 BF105가 따끈따끈한 새 버스로 대차가 되었습니다. 그러곤 얼마 지나지 않아 노선 개편 이후로 합덕지역에서 자취를 감췄었지요.


그랬던 추억의 버스가, 곧 대차를 앞두고 있습니다. 그리고 너덜너덜해진 모습으로 다시 봤네요.



제가 알던 그 버스가 맞습니다.


비록 그시절 깔끔하고 광이나던 외관은 어디로 가고, 몬드리안 도색의 노란빝은 다 바랬고 라이트 부근으론 덧칠을 한번 했던걸로 보입니다. 10년동안 저도 많이 바뀌었듯이, 이 버스도 모진 풍파를 겪었겠지요.



측면으로는 부식도 진행되고 있었습니다. 


최근에 와서야 전착도장이 이루어지는 대우버스인지라, 이미 20여년 전 전주공장 생산 개시부터 전착도장을 시작해 온 현대상용차에 비해 심한 피부병을 겪는 차량은 훨씬 더 많습니다.



휠하우스 주변으로도 울퉁불퉁.. 


차내 역시 깔끔하던 그시절 모습을 뒤로하고 오래된 버스가 되어있습니다. 운전자가 쓰는 공간은 준수한 편이지만, 승객들이 쓰는 공간은 그렇지 않네요. 저상형 차량인지라 휠하우스 위 좌석이 꽤 높이 올라와 있는 차량인데, 저상형 차량임을 외부에서 알리는 엠블럼(BS106L) 역시 다 바랬습니다.



전면과 측면에 비한다면, 후면은 비교적 제칠 그리고 제 상태 그대로를 유지하고 있는걸로 보입니다.


요즘 여기저기 도시가스 공사니 하수도 공사니 갈아엎는 구간이 많은지라, 암만 깔끔히 세차를 하고 다녀도 더러워지는건 한순간이죠. 그런걸 감안하고도 10년 된 버스 치곤 외관 상태는 좋아보입니다. 



중문 상태는 영 좋지 않네요.


중문은 이미 썩을대로 다 썩은지라 구멍이 뚫렸고, 문 주위로도 심각한 부식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중문 상태으로 내려가는 계단에 달린 센서 역시 제대로 작동할진 모르겠네요.



버스의 내구년한은 9년. 그리고 6개월씩 연장검사를 총 네번 받을 수 있습니다. 


2006년식인 이 버스는 시기상 지금쯤 마지막 연장검사를 받겠지요. 그리고 길어봐야 6개월 안팍으로 새 버스가 같은 번호판을 달고 시내 곳곳을 활보하겠지요. 그리 된다면 폐차장의 이슬로 사라지거나 가능성은 희박하지만 타국에서 제2의 삶을 살게 될 것입니다.


비록 내구연한을 다 채워 사라진다 할지라도 10년 전, 새 버스를 타고 등교한다는 사실에 기뻐했던 그 기억은 영원할겁니다. 사진 역시 인터넷이 사라지지 않는다면 이곳에 영원히 박제되겠죠.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계속 이어집니다.



학생복지를 위해 쓰이는 명현관 건물을 따라 올라가다 보면 학생식당 건물이 보입니다.



뭔가 스키장에서나 볼법한 특이한 생김새를 가진 이 건물이 식당건물이라 하는군요.


이곳엔 CU 편의점이 입점해 있습니다. 학생식당내 편의점은 일요일인지라 문을 열지 않았더군요. 그리고 바로 앞 잣나무에 현수막도 하나 걸려있군요.



걸려있는 현수막에는 아직도 영동대학교 로고가 새겨져 있었답니다.



식당 앞에는 꽤나 아름다운 시설물이 하나 있었습니다. 이름은 '사랑이 꽃피는 나무'


흡연부스인가 하고 봤더니만, 흡연부스는 아니고 말 그대로 사랑이 꽃피는. 그런 연인들을 위한 장소가 아닐까 싶었습니다. 조형물 꼭대기에는 자물쇠도 꽤나 많이 걸어놨더군요.



길을 건너 조금은 외진 주차장으로 향합니다.


자전거 주차장으로 보이는데, 오토바이만 두 대 있네요. 스쿠터는 주차된지 그리 오래되어보이진 않습니다만, 저 뒤에 보이는 크루저 오토바이 미라쥬는 꽤나 오랜세월 방치된걸로 보입니다.



번호판도 없고 먼지를 뒤집어 쓴 뒤, 자전거주차장 구석 한켠에 쓸쓸히 주차되어 있습니다.



작은 자전거 및 오토바이 주차장 옆으로는 창조관이라는 큰 건물이 보입니다.


이 학교의 개교 당시(94) 지어진 초창기 건물이라 하는군요. 95년에 지어진 탐구관보다 훨씬 더 깔끔해보이는건 왜일진 모르겠습니다만, 이 학교의 1회 입학식이 이 건물에서 진행되었다고 합니다. 도서관과 공과계열 학과들의 사무실 그리고 학생들을 위한 복지시설이 있다 하는군요.



보건계열 학과들이 자리잡고 있던 창조관에서 바로 이어지는 작은 다리가 있습니다.


뭐 여타 다른 학교들을 방문해봐도 저렇게 작은 다리를 만들어 둔 경우가 상당히 많더랍니다.



감사나눔 가게라고 학생들이 기증한 중고물품을 파는 가게도 있더랍니다.


물건은 그닥 많지 않았지만, 수익금은 뭐 좋은곳에 쓰이겠지요.



작은 강당(문화정보홀)에서는 보건계열 학과의 전시회 준비가 한창입니다.



문화정보홀 앞으로 보이는 무인 프린트 시스템. 


의자가 없는지라 오래 죽치고 사용할 사람은 없어보입니다.



창조관 건물 뒤로 보이는 산학협력관. 아마 새 건물로 옮겨간 뒤 현재는 활용되지 않는걸로 보입니다.



쭉 내려오니 농구장도 보이고 풋살장도 보이는군요.


농구장에선 무슨 행사를 진행했었는지, 캐노피 여러개가 접혀있었습니다.



그 앞에 보이는 봉사관 건물. 조금 오래되어 보이는 건물이지만, 헬스장이 입점해 있습니다.



게시판에는 색이 바랜 경찰학원 포스터가 걸려있네요.


코팅이 되지 않은 옆의 A4용는 적혀있던게 무엇인지 알 수 없을정도로 바랬습니다. 전반적인 캠퍼스 구경 이후 영동 시내 방향으로 나가보도록 합니다. 나가는 길목에도 원룸이 몇 건물 있었습니다만, 약 2km 떨어진 곳에 이 학교 기숙사와 나름 대학가라 불릴만한 상권이 형성되어 있다 하는군요.



도로는 공사중이고, 드문드문 원룸건물과 크고작은 빌라와 아파트들이 보입니다.


U1대학교는 이 근교의 아파트 한 동을 기숙사로 쓴다 하더군요. 그 외에도 자취를 하는 학생들이 지나가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었답니다. 세는 타지역에 비해서 조금 싸리라 예상되네요.


멀리 영동까지 내려가서 본 이 학교는 비슷한 처지에서 사정이 좋지 못한 다른 학교들보다는 학생들에게 의욕적으로 투자를 하는 모습이 보여졌고, 회생 가능성이 있는 학교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수능이 끝난 이 시점. 17학년도 신입생 모집 과정에서는 작년과 같은 무더기 결원사태가 발생하지 않을지 지켜봐야 할 일이지만, 조속한 시일 내 유원대학교의 정상화를 기원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