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벌써 4년째 사회복무요원이 되는 길과 관련된 이야기를 다루게 되는군요.


이 글을 검색해서 보고 계시는 여러분의 대다수는 아마 이번에 신체검사를 받은 스무살이 아닐까 싶습니다. 가만히 있어도 알아서 소집영장이 날라오긴 하지만, 대부분 복학 시기를 맞추기 위해 1~3월이나 6~8월에 소집되는 근무지를 찾기 위해 복무기관 본인선택 제도를 알아보고 계시겠지요. 


14년도 본인소집부터 기존 '공익근무요원'의 명칭이 '사회복무요원'으로 변경되었습니다. 사회복무요원으로 명칭이 변경된 뒤 2014년에 소집된 사람들도 거의 다 자유인이 되었으리라 생각되는군요. 예비 사회복무요원 여러분들께 궁굼증을 조금이나마 해소해 드리고, 좋은 근무지를 선택 할 수 있도록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올해도 어김없이 글을 하나 남겨봅니다.


소집 그리고 근무지의 선택과 관련하여 여러분의 궁굼증을 해소해드리기 위해 항상 노력하고 있습니다. 지난 4년간 이 블로그를 거쳐간 수많은 사회복무요원들의 감사인사가 모든걸 말해줍니다.


2013년도부터 2015년도 본인선택과 관련된 글은 굳이 보지 않으셔도 상관은 없습니다만, 

현행 추첨제가 처음으로 시행된 2016년 본인선택 관련 글만 유의깊게 봐주심 됩니다.




2017년도 본인선택은 12월 16일 오전 10시부터 12월 20일 오후 3시까지 진행됩니다.


이 기간 내에 본인이 원하는 근무지를 2지망까지 선택하시면 됩니다. (2016년 본인선택 당시만 하더라도 3지망가지 가능했습니다만, 2017년은 2지망으로 제한을 두는걸로 보입니다.)


준비물은 공인인증서(아이핀으로 대체가능)와 여비 지급을 위한 계좌번호, 이메일주소만 있으면 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병무청 홈페이지에 올라온 공지사항을 참조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만일 지원했던 근무지에서 모두 떨어진다면, 1월에 있을 결원 모집이나, 사회복무요원 우선소집 신청등의 과정을 알아보셔야 합니다. 약 일주일의 본인선택기간동안은 언제든 지망의 수정이나 철회가 가능합니다. 부디 신중하게 선택하셔서 좋은 결과 있으시길 기원하겠습니다.


궁굼하신 점이나, '헬 or 꿀'등 기타 문의사항은 댓글로 남겨주십시오. 24시간 이내에 답변해드립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또 하나의 기획연재물.

티스도리의 대형견인면허(트레일러 면허) 취득기



그렇습니다. 왜 뜬금없는 면허 이야기냐.. 싶은데, 일을 관두고 면허증에 써있는 면허 종류를 하나씩 늘려왔습니다. 이번에도 사실상 반 백수가 된 만큼, 면허증에 글자를 하나 더 늘리고 싶은 마음에 이와 같은 결심을 하게 되었습니다. 이미 대형면허가 있는지라, 원서만 써 내면 됩니다. 신체검사까지 올면제입니다.


최근 레저용 카리반의 보급 증가와 맞물려 3톤 이하의 피견인차를 끌 수 있는 소형견인면허가 새롭게 신설되었습니다. 이와 함께 기존 트레일러 면허는 대형견인면허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견인차(레카) 면허는 구난면허로 이름이 바뀌었습니다.


특수(트레일러) = 대형견인

특수(레커) = 구난

*신설* 특수(소형견인) 


대형면허 취득 후 약 1년 6개월만에, 다시 면허 원서를 접수하러 예산면허시험장을 방문합니다.



*2014년 자료사진입니다. 아무것도 붙지 않은 깨끗한 은색 스파크..


비가 부슬부슬 내리던 날이라 그런건지, 방학기간 혹은 수능이 끝나기 전인지라 그런건지 방문시마다 수많은 사람들로 북적거리던 면허시험장은 정말로 조용했습니다. 일단 기존 면허증에 붙은 증명사진 이후로 여권사진밖에 촬영하질 않았으니 새 사진이 필요합니다. 그런고로 응시원서에 붙일 사진부터 준비합니다. 





예산면허시험장의 예산의원(신체검사장)에서 사진촬영 및 인화까지 진행합니다.


2015년 국정감사에서 당시 민주당 의원이던 통일의 꽃 임수경씨가 제출받았던 자료에 따르면, 전국 26개 면허시험장 중 23개 면허시험장에서 경찰공제회 의료법인이 독점 영업을 하고, 약 10여년이라는 세월동안 1255억 7000만원이라는 수익을 얻었다고 합니다.(링크)


신체검사와 함께, 증명사진 촬영 및 인화나 지역에 따라서는 필기시험 기출문제집도 판다 하더군요.


저는 대형면허가 이미 있는지라, 신체검사는 받지 않아도 됩니다. 그런고로 사진만 촬영했습니다. 


마치 일본에서 카와이한 여고생들이나 들어갈법한 스티커사진 부스처럼 생긴 부스에 들어가서 앉은 뒤 카메라를 바라보면 사진이 촬영됩니다. 그렇게 두번을 촬영한 뒤 부스 안 LCD에 촬영된 두 사진을 보고 인화할 사진을 선택합니다.


8매에 8000원인데, 기존 사진관에서 보정작업을 거친 뒤 받는 금액이 1~2만원 사이인걸 감안한다면 보정작업 빼고 이정도 가격이면 그리 비싸진 않다고 봅니다.



1종 대형, 특수면허용 응시원서입니다.


적성검사표는 패스하고, 원서를 작성한 뒤 방금 촬영해온 따끈따끈한 사진을 붙여주면 됩니다.



응시원서는 접수시 창구에서 가져갈 부분이고, 응시표만 우리 수험생이 가져갈 수 있습니다.


잘 적어줍니다. 시험도 신검도 죄다 면제이니 비워두고, 이름 주민번호 주소 응시면허만 잘 적어준 뒤 서명까지 해주면 더이상 적을게 없습니다. 간단합니다.



대기표를 뽑고 아주 잠깐 기다리니 제 차례가 다가옵니다.


비도 오고, 수능도 끝나지 않은 나름의 비수기인지라 휴가중이라 적힌 자리도 드문드문 보였습니다.



응시표를 받고, 11월 23일 오전 9시 30분 시험을 보기로 합니다.


제가 109번인걸로 봐선 앞에 8명의 응시자들이 있는걸로 보입니다. 먼저 시험을 보는 응시자들이 잘 하는지 지켜보고 습득이 가능한 매우 좋은 차례가 아닐까 싶습니다.



전자수입인지 도입으로 영수필증이 옛 정부수입인지를 대신하고 있습니다.


그런고로 카드결제도 가능하지요. 여튼 그렇습니다. 대형견인면허 취득기는 11월 23일에 계속 이어집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