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요즘 막상 올드카 목격담에서 다룰만한 차량들이 잘 보이지 않아 소재고갈을 겪고 있습니다.

 

그런 제 눈에 멀리서부터 확 띄던 차가 있었으니... 바로 콤비였습니다.

 

콤비는 1983년 마쓰다 파크웨이 2세대 모델을 기반으로 한 미니버스로 출시 이후 20년 가까이 판매되다가 2002년 단종되었습니다. 물론 초기형 콤비의 모습은 사실상 볼 수 없고, 간간히 중기형과 후기형 차량이 이렇게 목격되는데, 후기형 역시 단종이 20년에 가까워지니 쉽사리 볼 수 없어졌습니다.

 

지난번에는 대전의 한 외곽 길목에서 직권말소된 상태로 방치중인 중기형 콤비를 목격했지요.

 

 

1994-5 아시아자동차 콤비 (ASIA MOTORS COMBI)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금산에서 대전으로 나가는 국도변에 방치된 아시아자동차의 미니버스 콤비입니다. 종종 지나다니는 도로인지라 자주 보았습니다만, 막상 차를 세우고 가까이 다가가

www.tisdory.com

이번에 본 차량은 둥근 라이트가 특징인 후기형 파워콤비네요. ZB엔진이 적용된 차량은 파워콤비. VM 엔진이 적용된 차량은 슈퍼콤비라 부릅니다만, 사실상 파워콤비가 더 많이 팔려 대부분 후기형 콤비는 파워콤비였습니다. 아 물론 이후에는 현대 카운티와 동일한 엔진 그리고 대시보드가 적용된 최후기형이 존재합니다만, 그렇게 오래 판매되진 않았습니다.

 

2000 KIA POWER COMBI

새천년 이후 등록된 차량은 올드카 목격담에서 다루지 않는다는 나름의 규칙이 있었지만 깨졌습니다.

 

아 이전에 누비라2 최후기형을 다루면서 먼저 깨졌는지는 몰라도 2000년 7월에 등록된 차량이니 만 20년이 넘었지요. 뭐 올드카라 불릴만한 차령이긴 합니다.

 

뭐 평범합니다. 후기형 콤비 특유의 원형 헤드램프와 그릴 그리고 기아 엠블렘. 기아 엠블렘은 지금 나오는 물건으로 보이고, 그 주변으로 대우버스 FX116의 크롬 몰딩을 달아두었습니다. 초기형 FX116에 적용되던 크롬 몰딩인데, 은근 다른 차량에 활용되는 빈도가 높아보입니다.

 

캠핑카로 활용중

캠핑카로 활용중인 모습입니다.

 

스윙도어와 창문 위로 차양막이 달려있고, 차량 천장에는 태양광 판넬이 붙어있네요. 캠핑카스러운 도색과 디지털 군복무늬 스티커가 붙어있습니다. 사실상 베이스가 되었던 모델은 40년 가까이 된 차량이다보니 2000년대 등록된 차량임에도 한 30년은 된 느낌입니다.

 

일반적인 차량이 아니네요. 관용차로 사용되었을 확률이 매우 큽니다.

뒷문은 스윙도어가 적용되어 있습니다.

스윙도어 모델은 수출형과 이동식도서관 혹은 소방지휘차같은 관용차량으로만 판매되었습니다.

 

일반적인 콤비는 트렁크 활용을 위한 직사각형 형태의 작은 트렁크 도어가 적용된 형태로 판매되었습니다만, 이 차량은 관용차로 사용되다가 불용으로 빠졌을 확률이 매우 커보입니다. 물론 캠핑카 개조를 하는 차량으로 상대적으로 주행거리가 짧아 노후화가 덜 된 불용으로 매각된 관용차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보니 아마 이 차량도 태생은 관용차였을겁니다.

 

매우 복잡해보이는 실내

기어봉을 엄청 높여놨습니다. 마치 일평생 목을 길게 늘리는 카렌족을 보는 느낌입니다.

 

내비게이션도 있고 확성기도 있고 이거저거 참 많이 달려있고 멀티소켓도 여러개가 연결되어 있습니다. 복잡한 느낌이네요. 대시보드는 중기형부터 이어내려져오고 기아의 2.5톤 트럭인 트레이드와 공유합니다. 이후 2001년 현대의 카운티와 동일한 엔진이 적용되고부터 카운티와 같은 대시보드가 적용되었지요.

 

도어트림은 나름 리폼을 해 둔 모양이지만, 시트는 출고 제치 그대로입니다.

 

대략 주행거리는 13만km.

기존 시트에 빨간 시트커버를 하나 더 씌워서 사용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아마 주말에 캠핑을 가는 목적으로만 사용하는듯 보였습니다. 뭐 캠핑카가 다 그렇죠. 작은 차라면 모르겠는데 집 주변에 주차를 하기 어려운 이런 큰 차들은 외딴 공영주차장에 세워두고 필요할때만 타고 다니지 않나 싶습니다.

 

ASIA MOTORS

사이드미러는 기아자동차로 인수되고 한참 뒤 생산 및 등록된 차량인데 ASIA 로고가 박혀있네요.

 

이 시절 아시아에서 기아로 흡수합병되어 넘어온 뒤에도 생산되었던 차량들에서 이런 흔적들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분명 아시아시절 나온 차가 아닌데 제치임에도 아시아 로고가 박힌 부품들. 뭐 금형을 바꾸기 애매해서 그냥 찍어냈거나 이미 생산된 재고 부품들을 사용해서 그랬겠지요.

 

내부는 그냥 평범한 캠핑카로 보인다.

내부는 그냥 평범한 캠핑카로 보이네요.

 

여튼 저감장치 장착 여부에 따라 앞으로의 미래가 결정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뭐 저감장치가 장착되어 있다면 앞으로도 별 문제 없이 10년정도는 굴러다닐테고, 그렇지 않다면 머지 않은 시일 내에 적폐로 규정된 디젤차이다보니 폐차장의 이슬로 사라질테니 말이죠.

 

언젠가 생을 다 하는 그날까지 부디 잘 달려주기를 기원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2020/10/09 - [티스도리의 일상이야기] - 노브랜드 두부된장찌개 끓여먹기

 

노브랜드 두부된장찌개 끓여먹기

노브랜드 마트에 가서 두부된장찌개라는 이름으로 된 플라스틱 용기가 눈에 띄기에 하나 구입해 왔습니다. 두부와 채소 그리고 된장찌개 액기스까지 담아 판매하고 있었고, 직접 된장찌개를

www.tisdory.com

지난번 노브랜드에 가서 구입해왔던 두부된장찌개가 생각보다 마음에 들어 이번에 노브랜드에 간 김에 순두부찌개를 구입해 왔습니다. 두부된장찌개보다 순두부찌개가 대략 천원정도 더 비쌌지만, 그래도 두부된장찌개만큼의 맛은 내겠지 싶어 구입했네요.

 

노브랜드 (매콤하고 시원한) 얼큰한 순두부찌개

그렇습니다. 매큰하고 시원하고 얼큰한 순두부찌개라고 합니다.

 

두부된장찌개처럼 순두부찌개 양념소스가 들어있고요. 양파와 팽이버섯 파 고추를 비롯한 야채는 진공으로 포장되어 있었습니다. 아 물론 조리예에는 느타리버섯도 보이고 바지락도 보입니다만, 느타리버섯과 바지락은 이 구성에 포함되어있지 않습니다. 저걸 보고 바지락 살이라도 조금은 있겠거니 하고 샀지만, 없었습니다. 뭐 3천원대 구성에 이정도면 충실한거죠.

 

채소는 다 국산.

두부된장찌개와 제조사가 같습니다.

 

제조사에서 제시하는 레시피대로 끓여보기로 합니다. 물 400ml와 순두부찌개 소스를 넣고 끌인 뒤 양파 호박 순두부를 넣고 5분 더 끓여주고 대파와 팽이버섯 고추를 넣고 3분 더 끓여주면 된다고 하네요. 기호에 따라 께란을 넣어도 좋다고 하는데 계란이 없으니 패스하기로 합니다.

 

된장찌개보다 훨씬 더 간편한 구성처럼 보인다.

종전에 먹어봤던 노브랜드 두부된장찌개는 변색이 될 수 있는 감자만 진공포장이 되어있었는데 순두부찌개는 모든 채소가 다 한번에 섞여서 진공포장이 되어있습니다. 어짜피 다 넣어서 섞일거 차라리 진작 섞어놓는 이게 편하게 느껴지네요.

 

순두부찌개 소스와 순두부는 같은 회사에서 제조했습니다. 자 그럼 이제 조리를 시작합니다.

 

그러고보니 보건소에서 준 계량컵이 있었다.

계량컵으로 400ml의 물을 받아 냄비에 붓습니다.

 

증발분을 고려하여 400ml보다 조금 더 담았습니다. 작은 냄비면 문제없겠지 싶어 작은 냄비에 물을 붓고 순두부찌개용 소스를 넣어 잘 저어준 뒤 팔팔 끓여줍니다.

 

순두부를 투하하다가 냄비의 범람위기로 냄비 교체

순두부를 투하하다가 작은 냄비가 범람의 위기를 맞아 큰 냄비로 옮겼습니다.

 

순두부를 투하하고 한참 더 끓인 뒤 시식합니다. 된장찌개에서는 특유의 인공조미료 맛이 뒤끝으로 남았는데 상대적으로 칼큼한 맛을 내는 순두부찌개에서는 그 느낌이 덜했습니다. 뭐 똑같이 순두부찌개 소스에도 인공조미료가 들어가겠지만 말이죠. 매콤하고 시원하고 얼큰하다는 수식어가 붙어있었지만, 매운 음식을 잘 먹지 못하는 제가 먹어도 크게 맵다고 느껴지지 않는 수준이였으니 그리 매콤하거나 얼큰하지는 않았습니다. 그래도 특유의 순두부찌개 맛에서 느껴지는 시원함은 느껴지더군요.

 

여튼 된장찌개보다도 순두부찌개가 훨씬 더 낫다는 평입니다. 아직까지는 된장찌개와 순두부찌개 말곤 이런 제품이 없어보입니다만, 앞으로도 1인가구를 위한 이런 상품들이 다수 개발되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