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타워크레인 운전기능사 자격증 취득기 그 다섯번째 시간입니다.


명절을 건너뛰고 2주만에 다시 찾은 기술학교. 그리고 벌써 2월입니다. 총 16회 교육 중 5회차를 이수했고, 필기시험도 벌써 다음주로 다가왔네요. 첫 시작은 고민도 많았고 두려움도 가득했지만 고민과 두려움은 자신감으로 점점 채워지고 있습니다.





평화로운 토요일 아침. 

2020년 2월의 첫날이기도 하고, 지게차와 굴삭기(포크레인) 과정도 개설되었습니다.


기존에 기중기반과 타워크레인반이 함께 강의시를 쓰는것도 복잡했는데, 이제 지게차와 굴삭기를 배우러 온 사람들까지 해서 학원 자체는 주말에도 사람들로 붐비게 되었습니다. 여러모로 주말에 이곳에 나오는 사람들은 평일에는 생업에 종사하고 주말에 시간을 내어 와서 배우는 매우 성실한 사람들입니다. 저처럼 집이 가까운 사람들도 있지만, 대부분 멀리서 찾아와서 주말을 모텔이나 찜질방에서 지내다 갑니다.


명절이 끝나고 다시 찾아온 토요일. 총 수강생 8명 중 4명만이 오전 수업에 참여하였습니다. 그런고로 오전에 여유롭게 타고, 오후에도 조퇴를 하신 분들과 느지막에 오신 분들까지 해서 총 6명인지라 하루에 두번 타워에 올라 갈 수 있었습니다.


오늘은 타워크레인의 운전실 위로 나와 중심을 잡는 카운터지브 위를 올라가기로 합니다.



카운터 웨이트(counterweight)라고 하는 평형추입니다.


쉽게 얘기하자면, 타워크레인에서 물건을 들어올리는 트롤리가 움직이는 메인지브 뒤 짧은 지브에 중심을 맞추기 위해 이런 콘크리트 블럭 덩어리를 달아두는겁니다. 메인지브의 길이가 길어지면 길어질수록 이 콘크리트 추는 늘어납니다. 그러니까 비대칭형인 타워크레인의 무게중심을 맞추기 위해 달아놓은 덩어리라고 보면 되겠죠.



카운터웨이트 방향에서 바라본 캣타워와 메인지브.


타워크레인의 운전석 위에 뾰족하게 올라온 저 구조물을 캣헤드(Cat Head)라고 합니다. 메인 지브와 카운터 지브를 지지하면서 각기 캣 해드에 연결해주는 구조물입니다. 물건을 들어올리는 와이어는 캣헤드의 도르레를 거쳐 메인지브의 권상모터를 거쳐 내려가고 올라갑니다.


여러모로 바닥이 구멍으로 뚫려있어 상당히 무섭습니다. 처음에는 두려웠지만, 조금 지나니 적응되어 별 문제 없더군요. 물론 처음에 타워크레인에 올라왔을때도 두려웠습니다만, 지금은 아무렇지도 않은것처럼 말이죠. 높이는 그리 높지 않습니다. 아파트 8층 높이 수준이니 말이죠.



카운터지브 끝자락에 달린 권상모터와 와이어를 감아주는 드럼의 모습도 확인하고 갑니다.


물건을 들어올리는 와이어를 동작시키는 모터입니다. 어마어마한 무게를 들어올리는 모터입니다만 크기는 그리 크지 않습니다. 역시 전기로 작동되며, 터보차저처럼 생긴 냉각모터가 따로 달려있습니다. 냉각모터는 강제로 공기를 흡입하여 냉각을 시키는 방식이기에 비가 오거나 습한 날에 작동하면 모터에 무리를 줄 수 있다고 합니다.



다시 운전실로 내려와 운행을 시작합니다.


오늘 새로 온 굴삭기 수강생들이 원장님의 시연을 열심히 보고 듣는 모습이 보입니다. 천장크레인을 제외한 나머지 과정의 주말과정이 개설된 모습입니다. 타워크레인 과정이 끝나면 다음에는 어떤 과정을 수강해볼지 고민이네요. 자기부담금 20만원 수준에 나름대로 알찬 주말을 보낼 수 있습니다.



2월인데도 난방기를 가동하여 상대적으로 온화한 운전실 내부에는 파리가 창궐합니다.


한달간의 노예생활을 했었던 블랙기업의 직원휴게실 뺨치는 수준은 아니지만, 그래도 좁은 공간에 파리가 꽤나 많습니다. 특단의 조치로 양 옆 창문과 운전석 앞 유리를 열어서 파리를 내쫒았습니다. 물론 다수의 파리들은 반 강제로 춥디 추운 밖으로 떨어졌지만, 그럼에도 바닥에 은신하여 살아남은 파리들이 몇마리 있었습니다.


그렇게 오전 탑승을 마치고, 오후에 한번 더 탑승을 하였습니다.



서두르다가 실수가 잦았던 오전 탑승과는 달리 차분하게 타기로 마음먹었습니다.


뭐 올라가고 내려오는게 일이지 타는건 큰 실수만 하지 않으면 다들 합격선에 도달하였습니다.



그렇게 5일차 탑승도 무난히 마무리 하였습니다.


앞으로 남은 기간동안 열심히 타서 숙련된 상태로 시험 전까지 버티는것이 목표입니다. 물론 시험 전에도 감을 익히라고 타게 해준다고는 합니다만, 한달을 쉬더라도 문제가 없는 상태를 만드는게 제 목표입니다.


6일차 이야기로 다시 뵙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2020년 처음이자 통산 여섯번째 엔진오일 교체.



그렇습니다. 지난 12월 엔진오일을 교체하고 대략 7000km 가까이 주행했습니다. 물론 이전에는 정말 오일을 갈러 갈 시간이 없어서 한참 더 굴리곤 했습니다만, 오전에 일이 없어 한가하던 지난 목요일. 집 뒷편의 블루핸즈 내포현대서비스를 찾았습니다.





모처럼만에 미세먼지 없는 푸른 하늘. 그리고 항상 북적이지만 웬일로 한적한 내포현대서비스.


그렇습니다. 점심시간을 대략 한시간정도 앞둔 시간에 갔습니다만, 작업장에 차가 그렇게 많지 않습니다. 보통 작업장이 가득 차고 판금을 기다리는 차량들까지 부지를 가득 매우고 있어야 하는데 말이죠. 아마 명절이 끼었던지라 설 전에 대다수의 차량을 출고해서 그렇지 않나 싶습니다.



뭐.. 이제는 접수만 하면 알아서 가지고 가서 띄워줍니다.


제가 딱히 별다른 얘기를 하지 않아도 알아서 가지고 가 줍니다. 이번에는 에코 프리미엄 엔진오일 대신 중간에 한번 넣었던 "ZEO DX 5W30 API CJ-4" 요 오일을 한번 더 넣어보려 합니다. 에코 프리미엄에 비해 무거운 엔진오일이긴 합니다만, 그래도 고속에서는 꽤나 조용하고 안정적이면서도 우월한 가속력을 보여줍니다.


뭐 연비 내려고 타는 디젤딸딸이 가지고 밟을 일은 그리 많지 않지만 말이죠.



오늘은 더뉴아반떼의 가격표를 구경합니다.

렌터카용 말고 일반인용 LPG 모델은 생각보다 비싸네요.


삼각떼도 이제 끝물입니다. 아마 2월에 신형 아반떼 CN7이 공개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삼각떼도 뚜벅이들이 그렇게 욕을 해댔는데, 신형 아반떼의 디자인은 좀 더 개성있는 모습이 나올텐데 그걸 보곤 뭐라 할지 모르겠네요.


여튼 오늘도 저를 추월하려 하던 LPG 삼각떼 렌터카를 가지고 놀았습니다. 가속을 하면 월등한 토크빨로 쭉 밟아주고, 속도를 줄이면 발을 떼고.. 스포츠한테는 토크밴드를 넘어서는 고속으로 가면 조리돌림 당하는데, 뭐 만만한 까스차랑 놀아야죠..


그렇게 가격표를 보고 있는데, 오일이 비친다고 저를 부립니다.



엔진오일이 흥건하게 타고 내려온다고 합니다.


이제 겨우 1년 탄 차가 뭐 벌써 오일이 비치나 싶네요. 일단은 오일을 모두 닦아내고 점심시간이 지난 뒤 시동을 걸어 오일이 어디에서 새는지 확인하기로 합니다. 점심시간 전에 차를 받을 줄 알았습니다만, 졸지에 정비소 점심시간동안 다른 볼일을 보고 와야 하는 처지가 되었습니다.



언더커버에도 엔진오일이 흥건하게 묻어있습니다.


대체 이유가 뭐길래 이렇게 많은 오일이 새어나왔을까요. 일단 트렁크에서 교체할 엔진오일을 꺼내두고 볼일을 보러 다녀왔습니다. 이정도면 바닥에 떨어지는 모습을 확인하고 일찌감치 정비소에 왔을텐데, 바닥으로까지 떨어지지 않고 커버에만 떨어진듯한 느낌입니다.



점심시간이 끝나고. 시동을 걸은 뒤 차량을 리프트에 올립니다.


그리고 누유가 되는 모습을 찾기 위해 정비부에 계신 모든 정비사분들이 삼각떼 앞에 모여 누유가 되는 부분을 확인하기 위해 한참을 주시하였지만, 누유가 되는 모습을 찾지는 못했다고 합니다. 오일필터 씰에서 압력을 이기지 못하고 누유가 되었을 확률도 있고, 일단은 혹시 모르니 며칠 타 보고 다시 들어와서 확인을 해보자고 합니다. 


뭐 찜찜하긴 합니다만, 며칠 타보고 다시 가서 띄워봐야죠. 뭔 새차가 벌써부터 오일이 비치나 싶은 생각이기도 합니다만, 보증은 충분히 남아있습니다. 엔진룸은 새차때부터 주기적으로 털어주고 닦아줘야 지워지지도 않는 묵은때가 묻지 않아 꽤나 신경써서 닦아주고 있었습니다만, 이미 아래는 오일 범벅이가 되어 제대로 닦지 않는 이상 쉽게 지워지지 않는 묵은때가 묻어버리게 된 처지입니다.



그렇게 찜찜하지만 오일 교체를 마치고 정비내역서와 교환주기 스티커를 받았습니다.


비용은 4만원. 블루멤버스 현대카드의 혜택으로 나오는 2만원 정비쿠폰을 사용하고 남은 2만원만 결제하고 왔습니다. 엔진오일은 고객소유라 0원. 오일필터와 에어크리너값과 공임만 받았습니다. 전국의 블루핸즈가 대략 비슷한 비용을 받고 있습니다. 가끔 백원단위에서 차이가 나곤 하지만 크게 신경쓰이는 수준은 아니니깐요.


여튼 그렇습니다. 언제 시간이 될지 모르겠습니다만, 다음주중에 다시 한번 더 블루핸즈를 찾아가기로 합시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