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9번째 오일교환입니다. 대략 2개월의 주기로 엔진오일을 교체하고 있습니다.


물론 이번에는 새로운 오일을 넣어볼까 고민하다가, 결국 따로 구매한 오일도 없고 이전에 넣던 순정 엔진오일인 에코 프리미엄 디젤 0W30을 주입하게 되었습니다.


물론 스마트스트림디젤(U3)용으로 출시된 저점도 엔진오일인 '슈퍼 에코 프리미엄 디젤 0W20'을 넣어볼까 고민했지만 구형엔진에 궁합이 맞는지도 모르겠고 그동안 중간중간 다른 오일을 넣었을 때 말고 꾸준히 사용했었던 '에코 프리미엄 디젤 0W30'을 주입하기로 합니다.





오늘도 어김없이 찾아온 내포현대서비스.


집 뒤에 커다란 블루핸즈 정비공장이 있는것도 행운이라면 행운입니다. 이젠 이상한 차 끌고 하두 들어가다보니 잘 압니다. 별다른 얘기 없이 차를 끌고 작업을 하러 들어가지요. 이번 엔진오일 교체시에는 그동안 한번도 교체하지 않았던 디젤 연료필터의 카트리지를 함께 교환하려 했습니다.


다만, 연료필터 카트리지는 오후 4시에 부품이 들어온다고 하네요. 그런고로 일단 엔진오일만 교체하고 나중에 오기로 합니다.



평화로운 블루핸즈 내포현대서비스.


제네시스의 고급 SUV인 GV80 역시 보증수리를 위해 방문한 모습입니다. 동급 수입차보다 훨씬 저렴한 가격에 전국적으로 깔려있는 현대자동차 블루핸즈를 통해 정비를 받을 수 있으니 여러모로 지방에서는 어느정도 럭셔리카의 포지션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유지가 쉬운 차량이 아닐까 싶습니다.


여튼 리프트에는 DN8 하이브리드와 이 블루핸즈의 출동용 아반떼HD 그리고 제 삼각떼와 쏘렌토가 올라가 있었습니다. 뭐 이제는 엔진오일 교체하는게 신기하지도 않고 다 알아서 해주니 크게 관심도 가지 않습니다.



어느순간 주변으로 포터들이 리프트를 차지하고 있네요.


기존의 폐유 배출이 끝나고 신유 주입을 위해 리프트를 내리는 과정입니다. 여기까지만 보고 다시 고객대기실에 들어가 신형 아반떼 가격표를 탐구하다보니 저를 부르네요. 작업이 다 끝났다는 얘기입니다.


작업이 다 끝나고 브레이크가 밀린다는 얘기를 드리니 주행을 나가보고 검사용 장비에 올려 브레이크 성능을 확인해봅니다만, 역시 수치상으로는 별다른 문제가 없다고 하네요. 브레이크오일이 문제인지 다음 교환시에는 브레이크오일을 같이 갈아볼까 싶습니다.



여튼 엔진오일이 49,900만원. 기타 오일필터와 에어크리너가 12,600원. 공임이 24,360원.


총 86,860원이 청구되었습니다. 인터넷 최저가가 택배비를 포함해도 대략 7000원 이상 저렴하네요. 에어크리너와 오일필터는 오히려 이곳에서 구입하는것이 저렴하지만, 다음에는 오일을 직접 구입해서 오기로 합시다. 여러모로 조금 묵직한 엔진오일을 넣고 다니다가 가벼운 오일로 바꿨으니 체감상 차가 나가는게 매우 가볍게 느껴집니다.



다음 엔진오일 교환시기는 75,254km네요.


두달정도 타면 대략 교환시기가 다가옵니다. 그럼 7월 말. 한참 더운 시기에 다음 교환시기가 다가온다는 얘기겠지요. 보증기간도 끝을 향해 달려갈테고요. 여튼 그동안 별 탈 없이 무탈히 달려줬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울산광역시 서쪽에 소재한 울주군 언양읍. 


경부고속도로와 울산고속도로가 만나는 언양분기점과 언양불고기가 유명하여 한번쯤 이름을 들어보셨으리라 생각됩니다. 물론 근래들어 KTX 울산역이 삼남면에 생겼지만, 사실상 언양 옆에 붙은지라 수도권으로 향하는 대중교통 수요는 철도가 잠식해버린지 오래이지만, 그래도 시외버스터미널은 성황리에 운영중이였습니다.


물론 언양에 소재한 시외버스터미널은 '임시'터미널이라고 합니다. 기존 터미널의 운영사가 운영을 포기하고 폐업해버려 울산광역시에서 기존의 터미널 근처에 임시터미널을 만들어 운영중인 상황이라고 하네요. 울산역 근처로 터미널이 옮겨간다는 얘기도 있었습니다만, 현재는 언양 구터미널 건너편에 공영주차장 부지가 임시터미널로 활용되고 있었습니다.





조립식 단층 판넬건물로 매표소와 대합실이 마련되어 있었습니다.


승차장은 그냥 주차장으로 걸어나가야 합니다. 따로 비바람을 가려줄 시설물은 없었습니다. 임시터미널로 옮겨온지도 얼추 3년 가까운 세월이 지났지만, 과연 언제까지 울산광역시에서 공영주차장 자리에 임시터미널을 운영할지는 아무도 모르는 일입니다. 새 사업자가 나타난다면 임시터미널 시대가 종식되겠지만 마땅한 새 사업자가 나타나지 않음이 가장 큰 원인이겠죠.


그런고로 언양터미널에서 버스를 타고 갈 수 있는 지역은 부울경 및 일부 경북지역에 한합니다.



언양터미널의 핵심 노선인 신평(통도사) 경유 부산 노포동 터미널행 버스입니다.


푸른교통에서 운영중이고 코로나 사태 이전에는 일 42회 운행하였으나, 현재는 감차되어 운행중입니다. 추후 사정이 나아진다면 다시 정상화 되겠습니다만, 현재 시점에서의 운행 시간표는 이렇습니다.


부산까지 40분. 통도사터미널까지 20여분이 소요되었음을 감안하면 고속도로를 타고 정체 없이 바로 노포동 터미널로 향하니 소요시간만 놓고 본다면 그리 오래 걸리지 않음을 알 수 있습니다.



부산 외 나머지 지역 시간표입니다.


경주와 포항으로 가는 시외버스는 일부 감차되었고, 양산/창원/해운대/산내행 버스는 모두 정상 운행중입니다. 김해행 버스는 일부 감차와 함께 시간표가 복잡하게 변경되었고, 동곡을 거쳐 경산으로 향하는 버스 역시 일부 시간이 변동되어 운행중이였습니다.



주요 경유지의 버스 요금표입니다.

2019년 3월 1일에 인상된 요금은 빨간색으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이미 버스요금 인상은 1년 전 이야기인지라 대다수의 터미널이 인상된 요금만 표시하는 방식으로 표기를 바꿨는데 이곳은 아직도 버스비 인상 전 요금까지 표기하고 있었습니다. 완행버스 즉 양산시내버스도 이 터미널을 경유하기도 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