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지금의 정몽구를 있게 해 준 차량이기도 한 현대정공의 갤로퍼입니다.


리스토어의 손길이 어느정도 닿았다고 보는게 맞겠지만 경기도 지역번호판을 부착하였으며, 리스토어라 쓰고 빈티지룩 튜닝카라 읽는 행위을 가한 차량이나 숯검뎅이 스타일이 아닌 특유의 철제 보조범퍼의 탈거를 제외하고 비교적 순정의 모습으로 잘 보존되어 있어 사진으로 남겨보았습니다.



93년 9월에 등록된 차량입니다. 


원형 라이트와 전시상황의 차출을 대비하여 부착되던 특유의 등화관제등도 보이네요.

먼저 초기형 갤로퍼를 알기 위해서 갤로퍼의 역사부터 알아봅시다.


80년대 후반. 자동차 공업 합리화 조치 해제 이후 자동차 부품사업과 컨테이너 철도,항공장비등을 만들던 현대정공에서는 자체적으로 수출까지 염두한 4륜구동 SUV의 개발을 추진합니다. 물론 창업주였던 정주영 회장의 동생인 정세영이 맏고 있었던 현대자동차가 있었지만, 현대자동차가 진출하지 않은 분야에 도전하도록 만들어 준 이유는 장남인 정몽구에게 후계 경쟁의 기회를 주기 위함도 있었겠지요.


아버지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았지만 높은 기술의 벽을 넘지 못했던 현대정공은 일본 미쓰비시社의 파제로를 라이센스 생산하기로 합니다. 그렇게 1991년 현대자동차가 아닌 현대정공의 갤로퍼가 탄생하게 되었고, 조그만한 아시아자동차의 록스타와 온갖 엔진을 돌려쓰던 훼미리를 누르고 압도적인 점유율로 시장을 장악하게 되었습니다.


갤로퍼의 성공으로 재미를 본 현대정공은 미쓰비시의 샤리오까지 싼타모라는 이름으로 라이센스를 받아 생산하여 판매합니다. 그리고 아버지에게 능력을 인정받은 정몽구는 정세영-정몽규를 몰아내고 현대자동차를 차지하게 됩니다.



여러모로 새로 칠이 올라간듯 하지만, 그래도 전반적인 제치의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었습니다. 


측면 썬팅은 되어있었지만, 전면은 그대로인지라 실내도 훤히 보이더군요. 그 시절 직물시트도 그대로 남아있었고 특유의 데칼 역시 문짝에는 남아있지 않았지만, 천장쪽으로 남아있었습니다. 일정이 바빴던지라 자세히 보고 갈 시간은 없었지만, 멀리서도 그 존재를 확실히 알 수 있을 정도로 꽤나 준수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습니다.


부디 이상한 빈티지 튜닝카가 아닌 이 모습 그대로 오래오래 살아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1,2부에서 이어집니다.



지난 2부에서 견인차의 힘을 빌려 오일마켓으로 티코를 가져왔지요. 본격적으로 차를 살핍니다.





완전히 방전된 배터리는 충전기의 힘을 빌려 충전을 해 봅니다만...


결국 충전이 되질 않아 새 물건을 주문했습니다. 장안평에 가까우니 웬만한 부품들은 쉽게 공수됩니다.



차량 수납장을 살피다 보니 두툼한 양의 정비내역서가 보입니다.


나름 쉐보레 바로정비에 다니면서 정비했던 내역들이 상세히 기재되어 있습니다. 거의 막판에만 관리가 된 줄 알았지만, 그래도 꾸준히 정비소에 다닌듯 보입니다. 그 외에도 예전에 어렴풋이 들었던 이야기로는 집근처 스피드메이트도 자주 갔었다고 했었는데, 아주 막굴리진 않았다고 생각됩니다.



전차주 등록증도 모셔져 있네요.


2007년 11월 29일에 출고 당시 부착하였던 지역번호판인 경기2크8893에서 이전과 동시에 현재의 전국번호로 변경된 모습입니다. 모임에 가서 듣기론 친척분이 타시던 차를 받았다고 하셨는데, 구리에서 서울로 이전되며 번호판이 전국번호판으로 바뀐 모양새입니다. 물론 현재의 전국번호판이 부착된지도 10년이 넘었습니다.



그새 배터리가 도착했습니다.


오픈마켓 미반납가 수준입니다. 역시나 반납을 받아가지도 않았고요. 오픈마켓에서 반납조건으로 구매하면 저렴하긴 하지만, 일단 급한대로 주문해다 장착합니다. 역시나 새 배터리라 시동은 단발에 걸리더군요.



정비내역서도 살펴봅니다. 2013년 12월에도 배터리를 교환했었네요.


다만, 1년을 방치했으니 충전이 불능한 상태로 완전히 방전되어버리고 말았습니다.



2015년 이후 검사를 받지 않아 검사도 당장 받아야 하는 처지인데.. 2015년에 검사소에 가긴 갔었네요.


배출가스니 뭐니 다 통과하고는 좌우측 전조등의 광도기준 미달과 후미등 파손으로 재검이 나왔는데 그걸 가지 않은듯 보입니다. 앞브레이크 패드는 추후 디스크와 함께 큰돈주고 갈았는데, 라이트는 그 이후에도 교체하지 않았었습니다. 2016년에 처음 뵈었을 때 폐차를 각개하며 나온 라이트로 그때 가서 교체했었지요. 



차 안을 살피다보니 전자렌지가 조금 특이합니다.


현대자동차에서 연간 100만대 생산을 기념하여 배부했던 전자렌지네요. 역시나 시대가 시대인만큼 금성제품입니다. 어디서 난 물건인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차주분의 야반도주로 처치곤해진 이 전자레인지는 새 주인을 찾아갈 예정입니다.



걸리다가 부조하고 꺼지고를 반복.... 캬브클리너를 여러번 뿌리고 놔둡니다.


원인은 천천히 찾기로 하고 차를 세워놓고 갑니다. 여러모로 방문객들의 좋은 구경거리가 된 듯 하데요. 며칠 뒤 다시 시동을 걸었을 때 거짓말같이 멀쩡하더군요. 별다른 부조도 없습니다.




약 24년간 묵었던 엔진 속 찌든때 청소부터 진행했습니다.


저는 직접 보지 못했고, 메신저로 진행상황을 받았습니다. 사실상 티코를 하루 반나절 이상 붙잡고 계신듯 보였습니다. 여튼 오일값만큼 비싸고 효과가 검증된 클리너로 오랜 시간을 할애하여 구석구석 청소해준 모습입니다.



브레이크 오일도 티코에는 과분한 DOT 4 규격의 제품으로 교체하고...



육안상 터진 등속조인트도 재생품을 구해다가 교체합니다.


비싸서 그렇지 신품도 그럭저럭 쉽게 구해지는걸로 알고있고, 재생품도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여튼 이곳에서 진행할 작업이 모두 끝났고, 차를 찾으러 갔습니다.



간김에 진공청소기를 빌려 청소도 같이 진행합니다.


전반적으로 실내상태는 깔끔했습니다만, 약 1년간 햇볕을 보며 부직포 가방이 삭아버려서 연두색 찌꺼기를 남겼습니다. 쓰레기도 싹 치우고, 쓸 수 있는 세차용품들과 걸레 그리고 돗자리정도만 남기고 죄다 처분합니다.



전자레인지와 선풍기는 필요한 사람이 있다기에 놔뒀고, 밥솥과 냄비는 내놓으니 어르신이 바로 주워가십니다.


이 동네는 쓸만한걸 내놓으면 바로 다 주워가는 동네라고 하네요. 닦아서 사용하려고 하시는지 고물상에 팔아 넘기시려는지는 모르겠지만 그렇게 티코에 묵어있던 물건들도 제각기 주인을 찾아 뿔뿔이 흩어졌습니다.


여튼 가지고 오는데 그냥 굴러는 잘 가더랍니다. 클러치는 너무 바짝 붙여놔서 거의 버튼수준이고, 뒷 드럼은 한번 손을 봐야 할 듯 보이고요. 수온도 정체시에 조금 올라갔다가 팬이 도니 내려가고 여튼 오르락 내리락 잘 합니다. 낙찰기는 여기서 마무리 짓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