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대전의 한 신도시 골목길에서 목격한 차량입니다.


아시다시피 갤로퍼는 1991년 현대정공(現 현대모비스)에서 미쓰비시의 4륜구동 SUV인 파제로를 라이선스 생산하기 시작하여, 현대자동차로 통합된 이후 부분변경을 거쳐 2003년까지 판매된 차량입니다. 90년대 초반 국민소득의 비약적인 상승과 중산층의 본격적인 차량 교체시기와 맞물려 당시 기준으로도 꽤나 비싼 가격이였음에도 꽤나 잘 팔려나갔습니다.


물론 지금도 리스토어라 쓰고 빈티지 튜닝카를 만드는 열풍에 힘입어 도로 위에서 상대적으로 흔히 볼 수 있는 차량이지만, 95년 이전 지역번호판에 순정 그대로 살아있는 9인승 갤로퍼를 보았습니다.



1995년 이전에 등록된 차량임을 알려주는 한자리수 지역번호판.

정확히 알아보니 95년 8월에 등록되었네요.


옛 지역번호판의 차종 분류기호상으로 5는 승합차입니다. 그리고 잘 보면 차량 루프가 높게 솟아있지요. 그렇습니다. 9인승 모델입니다. 지금은 9인승 모델 역시 승용차로 분류됩니다만, 이 당시만 하더라도 승합차 기준에 부합하던 차량이였습니다. 당연히 세금도 저렴하고 탑승 인원만 충족한다면 버스전용차로도 탈 수 있지요.


그리고 동그란 원형 라이트 대신 사각형 형태의 라이트가 적용된 뉴갤로퍼 모델입니다. 


자칭 올드카를 사랑한다면서 빈티지 튜닝카를 만들고, 이시국 노재팬 따지면서도 전범기업인 미쓰비시에서 생산된 파제로를 따라하지 못해서 안달이 난 사람들이 파제로와 동일한 구형 갤로퍼의 동그란 라이트를 박아놓곤 합니다만, 이 차량은 순정 그 당시의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었습니다.



특유의 빛바랜 데칼이 바랜 모습을 보면 도색 역시 제치로 보입니다.


흔히 않은 중후한 진녹색 컬러가 그대로 살아있습니다. 발판에서 살짝 찍힌 부분이 존재하지만, 발판과 보조범퍼는 쉽게 교체 할 수 있고, 부품 수급도 원활하기에 큰 문제 없으리라 생각되네요. 본넷에 콧구멍이 있는 인터쿨러 모델도 아니고 그냥 흔하게 팔렸던 터보 엑시드(EXCEED) 모델입니다만, 순정 상태에서 흔치 않은 색상에 구형 지역번호판까지 달고 있는 갤로퍼를 보아하니 경이롭게 느껴지기만 합니다.



측후면 썬팅은 진하게 되어있네요. 스페어타이어 커버의 비닐코팅만 들고 일어났습니다.


보통 오프로드 혹은 시골에서 다목적으로 사용하는 빈도가 높은 구형 SUV입니다만, 도시인 대전에서 25년 넘는 차생을 보내왔기에 아무래도 최상급에 준하는 깔끔한 상태로 살아남았지 않았나 싶습니다. 아직까지도 동급 경쟁차종 대비 비싼 가격에 거래되고 있고, 조기폐차로 받는 보상금을 상회하는 수준에 거래되는 차량 중 하나이다보니 이정도 상태라면 주인의 사랑을 꽤나 많이 받았으리라 생각되네요.


험난한 25년을 버텨왔지만, 앞으로가 문제입니다. 대도시인 대전에 등록된 5등급 노후경유차. 그렇다고 매연저감장치가 개발이 된 차량도 아닌지라 한시적으로 단속이 유예됩니다만, 단속 유예라는 특혜 역시 언젠가는 사라지겠고, 결국 미세먼지의 주범으로 지목받아 괜찮은 상태임에도 폐차장의 이슬로 사라지겠지요.


여러모로 앞으로의 미래가 불투명합니다만, 부디 오래도록 대도시 대전에서 살아남았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모처럼만에 야외에서 고기를 구워먹었습니다.



비가 내리는데 굳이 야외에서 고기를 구워먹겠다고 굴다리를 찾아갔는데, 이거저거 챙겨오고 정리하고 하는 과정을 생각하면 그냥 무한리필집이 훨씬 더 낫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네요.


비도 오고.. 지난 3월에 구워먹었던 경치 좋은 장소에서 다시 굽기는 불가하니 결국 굴다리를 찾았습니다. 서해안고속도로가 지나가는 다리 밑의 공간인데, 근처 사는 사람들에게는 나름 고기 구워먹기 좋은 유원지 취급을 받는 공간입니다. 벚꽃 피는 계절에 오면 하천 옆으로 아름다운 벚나무들이 심어져 있기에 분위기도 좋은 곳이죠.



서해안고속도로 순성교 다리 밑. 그게 아니라면 벚꽃교로 검색하셔서 가시면 됩니다.



미쓰비시 기술로 만들어진 갤로퍼와 일본 캐릭터가 붙여진 토착왜구 자동차 두대로 자리를 잡습니다.


이미 하늘에서는 폭우가 쏟아지고 있습니다만, 자리를 잡기 위해 오는 사람들도 많았고 이미 많은 사람들이 자리를 잡고 있었습니다. 물론 저 위로 올라갈까 아니면 안쪽으로 자리를 잡을까 고민하다가 하천쪽으로 자리를 잡았네요.



하천쪽으로 자리를 잡은 이유는 바로 이것....


멀리 조경수도 보이고요. 폭우로 교각 상단에 고인 물이 배수관을 타고 당진천 아래로 떨어지는데 이 폭포수가 나이아가라폭포 부럽지 않을 수준으로 정말 장관입니다. 물론 비가 내렸다 그치기를 반복하여 폭포수는 계속 떨어지지는 않았지만, 조경수와 어우러진 폭포수의 위엄은 직접 본 사람만이 알 수 있습니다.



본격적인 장비를 펼쳐봅니다.


지난 3월 사용했던 장비들. 비싸지만 매우 실용적인 캠핑용품들. 정말 부럽습니다.



10만원대 고기구이 전용 버너.


기름도 튀지 않고, 어지간한 강풍에서도 고기가 잘 구워집니다.



셋팅 완료. 삼겹 및 목삼겹 한근씩.

미제 구이용 등심 하나. 양념 안창살 구이 두팩.


처음엔 꽤 많다 싶었는데 먹다보니 다 먹었네요.



이런저런 얘기를 나누며 천천히 먹습니다.


둘이 먹었으면 아마 좀 남았을텐데 중간에 지나가던 친구가 한명 더 합류하여 마저 먹으니 싹 다 치워지네요.



중간에 온 스파크까지 차량은 총 세대... 

두시쯤 와서 네시 좀 넘은 시간에 다 먹고 정리합니다.


여러모로 정리가 가장 귀찮습니다. 쓰레기는 쓰레기대로 모아서 가져가고 장비는 장비대로 닦아서 접어넣습니다. 이 고생이면 차라리 명륜진사갈비에 가서 배터지게 먹고 후식으로 냉면을 시켜먹는게 훨씬 더 편하고 가격 차이도 나지 않을텐데 말이죠.


그렇게 근처에 새로 생긴 카페에 들려 간단히 커피를 마시고 해산했습니다.


정말 야외 고기구이가 땡기는 경우가 아닌 이상 다음번엔 그냥 무한리필 고기집 가는걸로...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