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뭐 이날도 별다른 일 없이 그저 평범했습니다.


조금 외딴곳인 삼성전자 반도체공장 근처에서 봉천동 봉천역 근처 주차장까지 가는 오더였는데 나름 괜찮은 가격대에 올라와서 그 콜을 잡고 움직였습니다. 경부고속도로 기흥ic에 진입하고. 차량 통행량이 조금 많았지만 정체라고 보기엔 그냥저냥 차량 통행량만 많은 수준. 뭐 여튼 속도도 80km/h 가까이 나던 상황이였네요.


수원신갈ic를 약 2km정도 앞둔 지점. 버스전용차로 옆 2차선을 잘 달리고 있었습니다. 앞 차가 급하게 서네요. 브레이크를 밟았습니다. ABS가 드르르륵 걸리더군요. 거리상 서는 줄 알았습니다만, 타이밍이 한 발 늦었던건지 밀린건지 거의 속도가 줄은 상태에서 앞 차와 쾅은 아니고 퍽 수준으로 충돌하게 됩니다.


빼박없이 후방추돌 100% 제 과실입니다.


자랑은 아니지만 자의던 타의던간에 사고 경력은 면허 취득 이래 상당히 많은지라 벌벌 떨거나 혼미해지거나 그러진 않고 그냥 침착해 지더군요. 사고 경험이 없는 사람들이 자칫 흥분해서 감정적으로 나오는 경우가 있는데 감정적으로 나와서 좋을건 없습니다. 양방 사고던 자신이 잘못해서 낸 일방 사고던 말이죠. 근래도 뒤에서 박아놓고 감정적으로 나오는 차주와 실랑이 했던 일이 있었구요.



일단 내려서 상대 차주 아주머니께 연신 죄송하다는 말을 건넵니다.

제가 잘못했고, 제가 다 배상해야 합니다.


일단 사고가 난 장소가 고속도로 2차선 한복판이다보니 다른 2차사고 그리고 정체를 방지하기 위해 갓길로 옮기기로 합니다. 갓길차로제가 시행중인 상황인지라 수백미터를 이동하여 근처 비상정차대에 정차해서 차량 상태를 확인합니다.


저는 아반떼 AD를 타고 있었고, 제가 추돌한 차량은 현재 구형이 된 모델이긴 하지만 독일제 벤츠 C클래스였습니다. 보험처리를 하기로 하고 해당 오더를 발주한 상황실에 연락한 뒤 제가 가입된 보험사에 사고 접수를 진행했습니다.



제가 타고 있던 아반떼AD.


현대 엠블럼이 일단 깨져서 떨어졌구요. 그릴이나 범퍼에 묻은 페인트나 스크레치가 손상의 전부입니다. 범퍼가 밀리지도 않았네요. 그나마 속도가 거의 줄은 상태였던지라 이정도 선에서 끝났습니다.



피해차량도 천만 다행히 범퍼 손상 이외에 큰 손상은 없었습니다.


주변 렉카들이 여러대 몰려왔다가 이건 뭐 렉카 올리기도 뭐한 상황이라 조금 대기하더니만 사이렌을 울리고 단체로 어디론가 이동하더군요. 추후 얼마 못가 비슷한 형태의 3중 추돌사고가 났더랍니다. 그쪽 사고는 속도가 있던 상태였던건지 가해차량의 본넷까지 접혀버렸더군요.


여튼 서로 전화번호를 교환하고, 보험사 사고 접수번호 문자까지 확인시켜 드린 후 제 갈길을 가기로 했습니다. 내일 재차 몸은 괜찮으신지, 차량은 공업사에 입고 하셨는지 한번 더 죄송한 마음을 전할 겸 전화를 드리려 하네요.



여튼 복잡해졌습니다.


그래도 큰 사고는 아니고 단순 접속사고 수준인지라 천만 다행입니다. 이 글을 보시는 여러분들도 부디 항상 안전운행 하시길 기원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 국내 유일 폐교된 대학 탐방 및 정부재정지원 제한대학 전문 탐방 블로거 ★

이런류의 글을 쓰는 블로거 찾기 힘듭니다. 고로 북마크 누르고 자주 간간히 살펴봅시다!



뭐 여튼 그렇습니다. 폐교탐방과 함께 일명 부실대학이라 불리는 '정부재정지원 제한대학 탐방기'도 꽤나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서남대학교 아산캠퍼스 탐방기는 1회성 특집으로 준비하긴 했습니다만, 이 역시 폐교탐방처럼 반응이 괜찮아 남들이 다루지 않는 잉여로운 분야를 다루기 위해 노력하는 티스도리닷컴에서 취급하기로(?) 했습니다.



이번 탐방기의 주인공은 U1대학교(유원대학교)입니다.



유원(U1)대학교라는 이름을 처음 듣는 분들도 계실겁니다.

2016년 9월 1일자로 영동대학교의 교명이 유원대학교로 변경되었습니다. 


학교 이름에 알파벳과 영어를 넣는 조금은 이상한 조합입니다만, 그동안 부실대학 리스트에 계속 올라가던 학교의 이미지도 바꿔보자는 취지도 있었을테고 학교가 살아남기 위해 충남 아산에 분교를 건립했는데, 그러한 아산캠퍼스 개교에 맞춘 명칭 변경입니다.


뭐 그러한 노력의 결과물로 2016년 대학구조개혁평가에선 국가장학금 제한조치가 해재되는 성과를 내기도 했습니다. 정부재정지원사업에 참가를 할 수 있는 완전 해재와 2018년 재평가시 부실대의 늪을 빠져나올 수 있겠는지가 가장 큰 관심거리입니다.



경부고속도로 영동IC에서 U1대학교까지의 거리는 약 9.5km

영동읍 소재지에서는 약 3km정도 들어가야 합니다.


영동읍내로 들어가는 길목에 대학이 소재해 있습니다. 뭐 대학에서 영동읍 소재지까지의 거리는 약 4km정도로 그렇게 시내에서 가깝지만도 않습니다.



국도 제 19호선. 지방도처럼 보여도 국도입니다. 고로 국도를 타고 영동읍 방향으로 들어갑니다.


물론 고속도로 근처만 4차선 확장이 깔끔하게 잘 되어있고, 그 뒤로는 가끔 선형개량이 된 구간이나 하천을 건너는 교각에서만 차로가 늘어납니다. 인구 5만명의 작은 동네 영동에 교통량이 그리 많은것도 아닌지라 언제 선형개량과 확장공사가 진행될진 모르겠습니다.


구불구불 산과 강을 끼고 넘어가는 도로도 그저 멋있기만 하네요. 마치 강원도에 온 기분이랄까..



19번 국도를 타고 험한 고갯길을 타고 내려오다 보면 대리석으로 치장된 학교의 정문이 보입니다.


아무래도 점멸신호가 아닌 삼색신호등을 설치를 하려고 보도블럭을 설치하는 모습으로 보이는데, 공사가 다 끝난 뒤 방문한다면 뭔가 달라진 모습을 보여주겠죠. 



영동군민과 함께하는 U1대학교 영동본교 화이팅!


이동네 현수막들은 유독 '영동본교'라는 사실을 강조합니다. 


암요. 포도와 감의 주산지인 그저 그런 평범한 시골동네의 대학생들이 이 지역 경제에 기여하는 공이 상당히 크고, 영동군과 군민들도 이 학교에 꽤나 애착을 가지고 있는데 아산캠퍼스 개교와 교명 변경 당시 학교와 지역주민간에 있었던 트러블 탓에 영동군과 상생협정을 맺었고, 그 이후로 지자체나 주민들이나 영동 본교라는 사실을 무척이나 강조하는걸로 보입니다.


관련기사

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60831_0014357837&cID=10806&pID=10800



언덕길에서 내려오는 차량들은 카메라로 인해 강제로 속도가 줄어서 내려옵니다.


그럼에도 술먹고 도로로 뛰어나오는 학생들이 없는진 모르겠네요.



석상이 한두푼 하는것도 아닌데 교명 변경에 맞춰 유원대학교라는 새 이름을 새겨두었네요.



교명 변경 이후 약 두달의 세월이 지난 지금은, 옛 영동대의 흔적을 찾기가 쉽지만은 않답니다.



학교법인 금강학원이라 적혀있네요.


그렇습니다. 유원대학교를 설립하고 운영하는 학교법인에 대한 설명은 한국어 위키백과를 찾아봐도, 나무위키를 찾아봐도, 학교 홈페이지를 찾아봐도 딱히 언급이 없더군요. 학교 앞 대리석 조각상에서 답을 찾았습니다.



이 학교의 정문 앞을 지나가는 도로는 왕복 2차선에 선형이 그리 좋지만은 않던데..


캠퍼스 내 중앙통로는 왕복 4차선에, 경사가 조금 있는걸 제외한다면 도로 상태는 매우 좋습니다.



"영동으로 주민등록을 옮겨오세요" 

20만원(영동사랑상품권)을 드립니다.


20만원이면 꽤 많이 주는겁니다. 인구걱정이 없는 일부 지자체를 제외하고는 인구를 유지하기 위해 온갖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인구 5만의 영동군 역시, 이 지역에서 자취를 하는 대학생들이라도 잡고싶은 마음일겁니다. 상품권의 사용처가 영동군 지역으로 한정되어 있더라도 20만원이면 꽤나 큰 돈이니 많은 학생들이 주소를 옮겼을거라 짐작 해 봅니다.


계속 이어집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