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옛 대우자동차가 GM대우로 넘어온 이후 한국GM으로 사명을 변경하기 전까지 저평가되고 딱히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지도 못한 차를 뽑아보라고 하면 플래그쉽인 스테이치맨베리타스 그리고 윈스톰보다 조금 작은 윈스톰맥스 명실상부한 스포츠카 G2X 그리고 국내시장에서는 찬밥인 소형차 칼로스(젠트라,젠트라X 포함) 이정도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조금 차를 좋아하고 아는사람들이나 대우의 소형차라고 그냥 인식하던 차인 칼로스와의 8년간 추억이 담긴 생활도 모두 끝이났다. 새차는 사봐야 우리가족 상황에서는 손해라고 중고차를 알아보고 있는 부친께서 갑자기 다른 차를 계약하기도 전에 팔았다.

 (BGM: miss A Good-bye Baby)



2003년 2월 13일생 칼로스V 1.5 SOHC M/T LK 고급형 밝은연두색 옵션 그런거 안넣음.

2004년형부터 2008년형까지 생산되었고 비교적 흔히 칼로스라고 하면 생각나는 디자인의 차량은 뉴칼로스고 방향지시등이 분리되어있는 차량은 구칼로스. 약 8년동안 51000km 주행

일단, 칼로스라는 차에 대해 알고있는사람은 적다. 올해 1월 액센트 wit에게 자리를 내주고 퇴역한 동급의 현대차 클릭은 알아도 칼로스는 모른다.(그래도 젠트라는 다니얼 헤니의 광고가 화제가되어 비교적 많이 알고있다.) 또한 고속도로 요금소에 가면 경차가 아니냐는 질문도 꽤 받는다. 이것만으로도 칼로스라는 차의 입장에서는 참 슬프게 느껴질것이다.

하지만, 거기까지만해도 서러운 칼로스는 인지도가 낮은데다가 국내에서 소형차의 혜택이 딱히 있는것도 아니고 선호하는 차급도 아닌데다가 대우차라서 그런지 "중고 거래량또한 적어서 시세가 낮게 형성되어 있다." 그러한 국내 현실을 탈피하여 오토차량의 경우에는 해외로 날개돋친듯 수출도 나가긴 하지만, 수동밋션. 즉 스틱의 경우에는 수출같은건 꿈도 못꾸고 내수에서 역시나 매우 낮은 가격대에 매입이 되고있다.

처음이나 지금이나 저평가가 되며 타국에서는 GM의 글로벌 대표차종으로 이름을 날렸지만, 소형차에게는 찬밥인 대한민국에서는 그리 두각을 나타내지 못했던 칼로스. 보통 오토의경우 많게는 200만원 초반대에서 매입이 되고, 수동이나 조금 상태가 좋지 못한차들은 150만원 안팍에서 형성되고 있다고 한다. 뭐 필자네 차량은 딱히 외관상의 상태가 좋은건 아니고 딱히 주행거리마저도 그리 좋지 못하다면 아예 매입이 거절될수도 있었겠다.


그리스어로 아름답다는 이름을 가진 "칼로스"의 이 아름답고 스포티하며 역동적인 디자인을 보라. 왜 지금 나오는 차라고해도 손색이 없는 뒷태를 가진 이 아름다운차가 국내에서는 도무지 어떠한 이유로 인기를 끌지 못했다는것인지 이해가 가지 않는다. 해치백은 클릭에 비해 넓은 실내공간을 확보했고 세단의 경우 리오와 베르나보다도 충분히 메리트가 있던 차량이라고 생각된다.

그렇지만 가장 아쉬운부분인 마티즈의 수출형 엔진을 개량한 71마력 10.6토크의 1.2 SOHC엔진과 라노스 엔진을 개량한 86마력 13.4토크를 자랑하던 1.5 SOHC엔진의 조금은 부족하게 느껴질수도 있는 고속주행시 2%부족한 성능과 미흡한 방음만 초창기부터 잡아주었더라면 크게 성공했을수도 있으려나라는 아쉬운 생각도 해본다.(한참 뒤에야 라세티 엔진을 약간 개량한 105마력과 14.7 토크를 자랑하던 e-tec2 1.6 DOHC으로 바뀌었다.) 

아주 잠시동안 수출형으로만 생산되던 3도어 스포츠모델이 생산되어 나오고,(이후 젠트라X 3도어 생산) 신형과 구형 부품 사이에서 순정부품들로도 마음껏 자신의 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자동차로써 지금까지도 칼로스 동호회 회원을 비롯 칼로스를 사랑하는 많은 사람들에게는 언제나 발이 되어주고 있다.

여튼 다시 본론으로 돌아와서..
 


이 칼로스는 결국 170만원에 개인에서 딜러로 넘어가게되었습니다.

이리저리 긁힌곳도 움푹 들어간곳도 많은 차량인데다가 밝은 연두색(개인적으로 좋아하는색인데..)은 참고로 인기도 없어 딜러분 말대로 "가격이라도 메리트가 있어서 매입해간다"는 말이 조금은 안타까워도 맞다고 봐야겠네요. GM보다 대우의 영향이 더 큰 차이자 GM이전 대우의 야심찬 T200 프로젝트로 개발되어 GM의 글로벌망을 통해 전 세계를 무대로 팔린 차. 참고로 현재 스파크(마크리)는 T200의 플랫폼을 조금 손봐서 만들은 차량이니 옛 대우자동차 시절 개발되어오던 칼로스의 피가 흐르고 있다고 봐도 되겠습니다.

차에서 이런저런 짐들을 정리하고, 마지막으로 차가 떠나가는순간. 이젠 특별한 일이 없는이상 두번다시 볼 수 없는 차가 되어버렸습니다. 아니 만약 길거리에서 우연히 본다고 해도, 현재 지역번호판인 이 차량이 수원에서 활동하는 딜러에게 넘어간 이상 혹은 차주가 바뀌는 이상 번호판도 바뀌고 지금과도 많이 달라져있겠죠.

혹시나 다시 이 차를 본다고해도 알아볼 수 없는 차량이 되어있을테고.. 그렇게 임시번호판을 달았던 첫날부터 지금까지 오랫동안 희로애락을 함께해온 충남45마 7684는 더이상 그동안의 흔적들을 지우고 새로운 주인을 찾아서 멀고도 험한 길을 떠나게 되었습니다. 그 멀고도 험한 길.. 열심히 세워두며 혹사시킨 가족을 떠나 다음번엔 관리도 잘해주는 좋은 주인 만나서 그 주인에게 꼭 사랑받고 살아가기를 간절히 기원합니다.


이 차에 대한 기억은 여기에서 멈추어버립니다. 더이상 그 차량은 존재하지 않겠죠.

P.S 뭐.. 앞으로 몇년간 내가 간단히 끌고다닐만한 차는 없겠네..

"이 글을 잘 보셨다면 손가락버튼을 눌러주세요. 로그인 없이도 가능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쉐보레 크루즈. GM대우 라세티 프리미어. 서울모터쇼 11.04.02)

이전에 한번 GM대우시절 대우차 광고들을 한번 모아서 글을 올렸던 적이 있었다.
지금은 아무리 새차를 빼고싶어도, 못빼는 브랜드가 되어버렸지만...(흠.. 십자엠블럼 떼어버리고 돼지코를 다는 용자가 있으려나..?) 결국 지금은 수포로 돌아간 대우그룹과 김우중회장의 세계경영과 열심히 부딪혀서 얻어낸 동유럽과 중앙아시아 독립국가연합등에서 인지도.. 아직까지 대우버스와 타타대우상용차가 약간의 맥은 이어올 뿐이지만.. 아쉽기만 할 뿐입니다.


그리하여, 오늘은 Daewoo의 옛 광고들을 한번 더 모아보았습니다. 이전에는 GM대우 시절의 광고들이 주류였다면, 이번에는 더욱 더 이전에 나왔던 차량들 위주로 모아보았습니다.



대우 기업광고.  "미래는 바뀝니다."

공은 둥굴고, 미래는 바뀝니다. 오늘날의 1등이 영원한 1등으로 남을수도 없고, 전날의 꼴등이 오늘날의 1등이 되어있을수도 있습니다. 어찌되었건 미래는 바뀐다며 희망을 찾아나가던 대우자동차는 지금 한국GM이 되어있죠.. 유튜브 페이지에서 "daewoo forever!!"이라고 되어있던 베플이 참 와닿던 영상입니다.


마지막에 "질주본능! 라노스"라고 외치는... 무서운 범(?)인지 고양이(?)인지...

질주하기에는 약간은 부족한 차량이지만, 나름 스포츠모델까지 존재했었던.. 대우의 대표 소형차. 참고로 얼마전까지 아니 지금도 뉴스에 자주 오르락내리락 거리는 카다피관련 리비아 얘기와 함께 배경이 나올때 국내에서보다 라노스2가 더 많이 돌아다니는것 같은 느낌이...;;;;;;


"작은차 큰기쁨 다마스~~" 이 큰 기쁨은.. 20년이 지나서도...........

흐음.. 다마스는 아직까지도 계속 우려먹고 있다. 일본 스즈끼사의 에브리 2세대를 들여와서, 나름 싼값에 사업용으로 자주 쓰이고 있지만, 바람만 불어도 넘어지고.. 평범하게 커브돌다가도 넘어진다는 그 진리의 차... 현재 일본 스즈끼에서는 에브리 5세대가 그 자리를 대신하고 있다는데.. 아직까지도 이 차를 큰 개선없이 내놓고도 쉐보레 붙이기는 수치스러웠는지 브랜드불명의 차를 만들어놓았다. 카세트테이프 삭제, GM대우 엠블럼 삭제 이후 20만원을 올리는 그들.. 이제 다마스도 웬만해선 똥옵이라도 출고가 1000만원시대다..;;

당시 티코의 헬리오스엔진 그대로 얹은 가솔린모델이 초기형에는 존재했으나.. 지금은 헬리오스엔진을 개량한 LPG엔진만이 시판되고있다.. 


흐음.. 다음번에는 IMF이전의 기아차를 한번 포스팅해봐야할까요?? 이것도 나름 하면서 재미를 느끼게되네요..;;

"이 글을 잘 보셨다면 손가락버튼을 눌러주세요. 로그인없이도 가능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