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쉐보레 뉴-볼트 EV가 아니라 대우 뉴-볼트 EV.

미국산 대우 전기차의 이야기입니다.

 

개발 과정에서도 한국 GM의 영향력이 상당했고 대부분의 부품이 MADE IN KOREA인 대우차입니다만, 단지 미국 미시간주 오리온에 소재한 GM 공장에서 생산해서 넘어왔다는 이유만으로 쉐슬람들이 미국차라고 물고 빠는 이 미국산 대우 전기차에는 미쉐린의 전기차 전용 타이어인 '에너지 세이버 A/S (ENERGY SAVER A/S)'가 장착되어 있습니다.

 

아직 덜 깨진 쉐슬람들만 미국차라 생각하는 이 대우차에는 매우 과분하게 미쉐린의 전기차 전용이자 런플랫 타이어가 OE타이어로 장착되어 출고되었습니다. 말은 올시즌 타이어라고 하는데 비만 살짝 내려도 체감상 타이어가 쭉쭉 밀려서 겁이 나는 수준입니다. 찾아보니 젖은 노면 제동력은 4등급이고, 아무래도 이 타이어를 장착하고 겨울을 보내다간 수리비만 고오급인 미국산 대우차의 수리 견적서를 다시 한번 더 받아보곤 또 입에서 쌍욕이 나올 거 같아 겨울용 타이어를 장착하기 위해 알아보기로 합니다. 

 

휠은 먼저 올 뉴 크루즈용 16인치 휠과 타이어로 구매해 뒀죠.

 

 

볼트 EV, 같은 색 EUV 만남 + 올 뉴 크루즈 16인치 휠타이어 구매

이 미국산 대우 전기차에 순정으로 달려 나오는 타이어는 미쉐린 에너지 세이버 A/S. 형식상 사계절용 타이어라 합니다만 비만 내려도 쭉쭉 미끄러집니다. 그래서 겨울용 스노우 타이어를 끼울

www.tisdory.com

 

장착까지 25만원

 

마침 군산에서 19년 말 생산에 트레드가 98% 남은 제품을 장착까지 25만 원에 판매하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군산까지 다녀오기로 합니다. 그래도 충청도라 어중간한 수도권으로 올라가느니 거리도 비슷하고 길도 덜 막힙니다. 평일에 미리 전화를 한 뒤 토요일에 시간이 생겨 재고를 다시 확인하고 다녀왔습니다. 차고에 넣어뒀던 휠과 타이어를 챙기고, 미리 알리와 미국 아마존을 통해 구입해 뒀던 TPMS와 인식 장치를 챙겼습니다.

 

TPMS와 EL-50448

 

TPMS 네 개와 EL-50448

 

이 미국산 대우차의 TPMS는 멕시코산. 정품은 개당 8만 원선. 국산 대우차의 TPMS는 중국산. 정품은 개당 4만 원선인데, 해외직구로 중국산 비품 4개를 배송비 포함하여 국산 대우차 정품 하나 가격에 구매했습니다. 걱정 많이 했지만 별다른 문제없이 잘 인식하더군요. 대우차 부품값이 얼마나 거품이 심한지를 느낄 수 있었습니다.

 

또한 EL-50448이라 적힌 저 리모컨은 TPMS를 리셋 후 재학습시켜주는 장치입니다. 만원 안팎에서 구입 가능한 물건인데 타이어집에 있어서 제가 구입한 이 기기는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그렇게 군산에 찍어주는 주소지로 향했습니다.

 

타이어클럽

 

타이어클럽이라는 이름의 작은 타이어 가게네요.

 

신품 및 중고타이어를 취급하고 있습니다. 대충 도착시간을 알리고 간지라 바로 차량을 올리고 작업을 진행할 수 있었습니다. 타이어도 바로 준비되어 있었고요.

 

 

작업중

 

작업이 진행됩니다.

 

기존 순정 17인치 휠타이어는 탈거하고, 가져온 16인치 휠타이어의 타이어를 분리한 뒤 새로 스노우타이어를 끼워줍니다. 작업장이 협소한지라 사무실에 와서 대기합니다.

 

장착완료

 

미국산 대우 전기차에 국산 대우차의 휠을 끼웠습니다.

 

거의 팔리지 않았던 J400. 올 뉴 크루즈의 16인치 알루미늄 휠입니다. 큰 위화감은 없습니다.

 

장착 완료 후 TPMS 초기화중

 

휠의 장착을 마치고 TPMS 초기화 작업을 진행합니다.

 

기존 휠과 타이어는 건드리지 않았고, 새로 사 온 비품 TPMS를 16인치 휠에 끼운지라 초기화 작업이 필요합니다. 국산 대우차들은 멀티펑션 스위치에 버튼이 있어 그걸 누른다던데 이 미국산 대우차는 핸들에 확인버튼이 있어 못하겠다고 하셔서 제가 눌렀습니다.

 

공기압이 표시되는 화면에서 OK 버튼을 꾹 눌러주면 재설정 모드로 진입합니다.

 

타이어 설정중

 

'타이어 설정 중'이라는 문구가 뜨고, 아까 봤던 EL-50448 리모컨을 들고 네 바퀴를 쭉 돌면 됩니다.

 

가지고 계신 리모컨이 있어서 그 리모컨을 들고 쭉 돌았습니다. 한 바퀴마다 설정이 완료되면 경적이 빵~ 하고 울리는데 마지막 바퀴까지 설정을 마치면 경적이 한번 더 울리고 비상등이 점등됩니다. 비품임에도 문제없이 설정을 마쳤습니다.

 

타이어 공기압 표시

 

설정이 완료된 뒤 타이어 공기압이 표시됩니다.

 

설정된 직후인지라 표시되는 수치에 차이가 보이지만, 이후 고속도로를 타고 달리니 모두 비슷한 수치가 표시되었습니다. 괜히 비품이라 걱정했는데 전혀 문제 없었습니다. 비품 쓰십쇼. 두번 쓰십쇼. 자칭 미제 고급차 쉐보레는 이렇게 타는 겁니다.

 

출고완료

 

TPMS 설정까지 마친 뒤 결제를 하고 차량을 출고합니다.

 

휠 사이즈가 작아지며 어벙한 느낌이 들긴 하지만, 주행질감은 상당히 좋아졌습니다. 겨울용 타이어만 끼워도 나쁘지 않다고 느낄 정도면 기존의 출고용 OE타이어가 얼마나 별로였다는 얘기겠습니까. 2~3월정도까진 이 휠타이어 조합으로 다닐 예정입니다. 스노우타이어는 한번 구입하면 최소 2년은 사용하더군요. 내년 내후년까지도 끼울 수 있을겁니다.

 

기존 휠타이어는 차 안에 억지로 때려싣고 옴

 

기존 17인치 휠타이어와 16인치 휠에서 탈거된 타이어 4본은 차에 억지로 때려싣고 왔습니다.

 

새차인데 괜찮아? 싶지만... 애초에 한달도 못타고 정떨어진 미국산 대우차라 상관없습니다. 뒷좌석 시트를 접고 최대한 집어넣고 남은 타이어 두본을 보조석에 올려뒀습니다. 그렇다고 놓고 갈 수도 없고 별다른 방법도 없으니 이렇게 갔네요. 바로 가서 차고에 내려놓고 싶었지만 사촌 모임이 있어 이 상태로 사촌 모임에 갔다가 다음날 해산한 뒤 차고에 갖다 넣어뒀습니다.

 

여튼 겨울용 타이어를 생각보다 저럼한 가격에 장착까지 마쳤습니다. 무탈히 타봅시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지난 7월 신차 출고 이후 약 일주일 이상을 정비소에 넣어두긴 했지만 만 3개월 만에 1만 km를 탔습니다.

 

 

쉐보레 볼트 EV 계약. (EV, EUV 폭탄할인 재고 떨이 중)

우연히 볼트 EV와 EUV가 싸다는 글을 보고 대우의 전기차 볼트를 계약했습니다. 기존에 계약했던 GR86은 기약도 없어서 결국 취소했네요. 왜 그간 나라에서 돈도 퍼주고 전용 주차구역도 제공해 주

www.tisdory.com

 

쉐보레 볼트 EV 출고 이야기 (1) 출고 전 서류 작성, 차량 도착.

결론부터 요약하여 말하자면 지난 7월 18일에 차가 왔습니다. 결제는 7월 12일에 마쳤고 차량 임시번호판도 7월 12일 자로 발급되었는데... PDI센터에서 시간 잡아먹고, 탁송에서 시간 잡아먹어서 7

www.tisdory.com

 

쉐보레 볼트 EV 출고 이야기 (2) 틴팅 및 블랙박스 장착, 검수 및 인수

쉐보레 볼트 EV 출고 이야기 (1) 출고 전 서류 작성, 차량 도착. 결론부터 요약하여 말하자면 지난 7월 18일에 차가 왔습니다. 결제는 7월 12일에 마쳤고 차량 임시번호판도 7월 12일 자로 발급되었는

www.tisdory.com

 

230721 볼트 EV 신차 등록, 포커번호판 부착.

7월 21일에 정식 등록과 함께 번호판을 달았습니다. 임시번호판 기간은 본래 22일까지였으나, 토요일에 걸려버린 관계로 그냥 금요일에 달았네요. 사실 탁송만 좀 빨리 왔더라면 큰 미련 없이 번

www.tisdory.com

 

그간 나라에서 돈도 주차장도 퍼주고 유지비 싸서 타는 주제에 같잖은 선민의식을 가지고 친환경 깨시민 코스프레나 하고 있는 전기차 차주들과 민원을 넣어가며 싸우던 적폐 디젤차 찬양론자였고 다른 차를 계약해 둔 뒤 기다리고 있었지만, 국산 부품이 다수를 차지하지만 미국에서 조립해서 대우차가 아니라고 쉐슬람들이 악을 쓰고 물고 빠는 자칭 미제 고오급 대우 전기차의 폭탄할인이 진행 중이라는 글을 우연히 보고 바로 계약했었습니다.

 

아반떼 풀옵션보다 저렴한 가격에 천상계 황족들이나 타는 전기차를. 그것도 400km 이상 주행이 가능한 전기차를 살 수 있다고 하니 눈이 돌아가서 천상계 황족이 되겠다 결심했고, 우여곡절 끝에 천상계 황족으로 전직에 성공했지요. 충전문제라던지 여러가지 걱정했던 부분들이 있긴 했었지만 걱정은 기우에 불과했었습니다. 

 

일단 무엇보다도 일반 내연기관 차량과 달리 최대출력이 바로 나와버리니 퍼포먼스가 상당히 좋습니다. 다만 약 158km/h에 속도 리밋이 걸려있어 고속도로에서 속도를 높이다 보면 따이겠지만, 국도나 시내구간에서 어지간한 3000cc대 차량들까진 다 갖고 놀 수 있습니다. 아 렉서스 LS460이 작정하고 밟으니 따이긴 했지만 그거 말곤 어지간한 내연기관 차량들에게 가속력의 차이를 느끼게 해 줬습니다.

 

그렇게 1만km를 탔습니다. 지난 화요일 새벽 출근길로 기억합니다.

 

9999km

9999km를 기록합니다.

 

이제 1만KM를 앞두고 있는데, 바로 고속도로 출구네요. 1만 km는 정차하고 볼 수 있을 거라 예상했는데 예상대로 고속도로 IC를 나와 좌회전을 대기하는 삼거리에서 맞이하게 되었습니다.

 

10,000km

그렇게 주행거리의 앞자리가 만단위로 바뀌게 되었네요.

 

번호판 달고 일주일만에 미국산 대우차의 사악한 수리비를 보고 덜 깨져서 차값이 싸다고 덜컥 물 정도로 덜 깨졌던 대가리가 확 깨져버렸고 아주 저렴한 국산 대우차라면 몰라도 다시는 미국산 대우차를 사지 않겠다 결심했습니다. 진짜 쉐슬람 팬심으로 사는 사람들이 아닌 이상 국산 대우차도 아니고 울화통 터지는 미국산 대우차를 겪은 사람들은 어지간해서 다시 사진 않더군요. 저 역시 저렴한 가격에 혹해서 샀지 자칭 미제 고오급차가 좋아서 산게 아니지만요.

 

전기차 카페에 올리니 아직도 대가리 덜깨진 쉐슬람들이 대거 몰려와서 난 만족하며 타니 수리비 원래 비싸니 대가리 깨졌다는 소리는 심하니 현기차도 수리비가 비싸니 하면서 발광해대는데 니들만 미제 고오급 쉐보레 탄다고 생각하지 난 대우차라고 생각하고 샀고 대우차라 생각하고 타고 남들 입장에서도 스파크를 타던 콜로라도를 타던 대우차라고 생각하고 전기차 전용 부품은 단 하나도 건드리지 않았다 얘기하니 더이상 반박들이 없더군요. 쉐슬람 카페에서 심기를 건드리는 어그로를 끌었더라면 진작 강퇴당하고도 남았을 겁니다.

 

결론은 이 차의 메이커가 자칭 미제 고오급차 '쉐보레'. 미국산 대우차라는 사실만 빼면 다 만족스럽습니다. 무탈히 2만 3만 10만 그 이상까지 달려봅시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