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쉐보레 홍성서비스센터'에 해당되는 글 4건

반응형

2025.01.13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볼트 EV 경고등 점등 + 고속충전 불가

 

볼트 EV 경고등 점등 + 고속충전 불가

지난주 목요일로 기억합니다. 회의차 서울에 다녀오게 되었는데, 버스를 타고 갈까 하다가 미국산 대우 전기차 볼트를 타고 다녀왔고 갑자기 내연기관으로 따지자면 엔진체크등에 준하는 경고

www.tisdory.com

 

지난번에 서울에 다녀오며 경고등이 점등되었고 급속충전이 불가능했던 미국산 대우 전기차 볼트 EV.

 

시간여유가 생겼던 1월 17일 금요일 오후에 다시 홍성 서비스센터에 방문하여 본사에서 요구하는 데이터도 추출할 겸 다시 입고시켰습니다. 아 여기서 아이폰을 떨어뜨려 뒤판이 깨져 대우전자 서비스센터까지 다녀왔었죠. 여튼 늦게까지 시간 여유가 있었던지라 편하게 기다렸고, 결국 이날 원인으로 추정되는 문제를 찾아냈습니다.

 

 

보증수리 내역서

 

주행거리가 늘어난 관계로 새로 출력한 종이에 주행거리만 다시 적어놓았네요.

 

 

스캔중

 

요구하는 데이터를 추출하고 있습니다.

 

어떤 데이터인지는 모르겠는데 며칠 타다 보니 경고등은 사라지더군요. 그래서 혹시나 싶어 급속충전기를 물려보니 다시 경고등이 점등되며 급속충전이 안됩니다. 지난번에 봤던 오류코드들과는 큰 관련이 없다는 급속충전이 불가능한 문제가 가장 크기에 설 명절 전에 해결해야만 합니다.

 

오류코드 중 접지 관련 오류코드가 떠있어서 조치합니다.

 

차 띄움

 

차를 띄우고 어디서 종이를 가져와서 처리방법을 확인한 뒤 처리하는군요.

 

방금 출력한 종이처럼 보이지 않는데 아마 비슷한 문제로 입고되었던 차량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일단 급속충전이 불가능한 문제의 원인으로 추정되는 배터리 히터를 교체해 보자고 합니다. 볼트 EV에 현대 전기차에는 존재하는 히트펌프는 없습니다만, 겨울철에 배터리 효율을 높이기 위해 데워진 냉각수를 순환시켜 배터리의 온도를 올려주는 배터리 히터는 존재합니다.

 

그래서 배터리 사용량 그래프를 보다 보면 배터리 컨디셔닝이라는 그래프가 있는데 그 배터리 컨디셔닝 히터입니다. 부품은 그래도 국내 재고가 있는지 화요일(21일)에 도착한다고 하더군요. 시간 여유가 없어 22일 오후에 퇴근하며 차를 놓고 왔고 퇴근하는 직원분 차를 타고 집에 왔다가 다음날엔 티코를 타고 출근했었습니다.

 

그리고 23일 오전에 수리가 모두 끝났다고 하더군요. 지난여름에 깜빡했던 송풍구 보증과 내연기관도 아닌지라 딱히 뭐 할 것도 없는 설맞이 무상점검까지 함께 진행했습니다.

 

티코

 

차를 찾으러 가야 하는데... 23일도 꼬여서 결국 느지막에 차를 찾으러 갑니다.

 

이날 경남 의령에 내려가는 짐을 상차해서 화물차를 타고 일단 집에 갔다가 버스와 택시 편으로 차를 찾으러 갈 예정입니다. 본래 목적은 티코를 합덕에 세워두고 기차를 타고 홍성역으로 가서 홍성역에서 대우차 서비스센터로 이동한 뒤 볼트를 타고 집에 들어올 예정이었습니다.

 

즉. 갤로퍼는 사무실에 티코는 합덕 차고에 볼트는 집에 세워두고 티코와 볼트만 날 좋을 때 서로 자리를 바꿔주려 했는데 결국 꼬여서 티코를 24일에 다시 집으로 끌고 왔네요.

 

집에 돌아오니 8시가 다 된 시간입니다. 집 앞에서 시내버스를 타고 홍성으로 나갑니다.

 

버스도 겨우 탐

 

놓칠뻔한 버스를 겨우 타고 나갑니다.

 

내포에서 홍성터미널 홍성역으로 바로 나가는 직통 시내버스가 생기고 처음 타 봅니다. 확실히 빠르긴 빠르네요. 홍성터미널 앞에서 하차한 뒤 바로 대기 중인 택시를 타고 대우차 서비스센터로 향합니다.

 

택시 탑승

 

대우차 서비스센터라고 하니 잘 알아듣지 못하셔서

검사소랑 폴리텍대 옆이라고 얘기하니 쉐보레라고 알아들으시네요.

 

택시비로 8,100원을 썼습니다. 당연하게도 8시가 넘은 시간인지라 서비스센터 직원들은 모두 퇴근했고요 어둠 속에서 차를 찾아갑니다. 업무시간 중에 담당 정비사에게 혹시 급속충전 테스트 해봤냐고 하니까 안 해봤다고 하네요. 그래서 또 급속 안 먹으면 그대로 놓고 간다고 했습니다. 그럼 또 택시를 탔어야 했는데 다행스럽게도 또 택시를 타는 일은 발생하지 않았네요. 

 

미국산 대우차 힘들어서 타겠나

 

진짜 미국산 대우차 힘들어서 타겠나 싶어요.

 

대차도 없어 서비스센터는 홍성 시내 남쪽 끝이라 교통편도 좋지 않고 이거 참 힘들어서 못 타겠네요. 제대로 된 수입차라면 알아서 픽업 딜리버리 다 오고 기간이 길어지면 대차도 탁송으로 보내주는데 그것도 아니고요. 그렇다고 현대처럼 집에서 걸어서 10분 이내에 있는 것도 아니니 힘들기만 합니다. 그나마 티코가 집에 세워져 있었어서 티코를 타고 움직일 수 있었네요.

 

송풍구는 갈아도 똑같음

 

송풍구를 교체해도 대시보드가 뜨네요

 

그리고 자칭 미제 고급 대우차 쉐보레는 보증수리의 경우 내역서가 따로 발행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홈페이지에 접속해서 수리내역을 확인해도 보증은 나오지 않고 일반수리로 정비한 내역만 나타난다고 하네요.

 

일반수리 내역

 

이렇게 말이죠.

 

참고로 저 센터에 있는 급속충전기는 자리만 있지 전원이 꺼져있어 길 건너편 교통안전공단 홍성검사소의 급속충전기로 가 보기로 합니다. 제발 급속충전이 정상적으로 되길 바라면서 말이죠.

 

다행히 된다

 

다행히 급속충전이 됩니다.

 

천만다행이네요. 급속충전이 되지 않으면 연휴에 사실상 중장거리는 갈 수 없는지라 크게 걱정했습니다만, 걱정은 기우에 불과했네요. 그나마 보증이라 다행이지 보증이 끝난 뒤 이 사태가 벌어졌다면 또 쌍욕을 남발하며 백단위 돈을 쓰지 않았으려나 생각됩니다.

 

부디 앞으로는 이런 사태가 벌어지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진짜 대우차 타기 힘드네요.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지난주 목요일로 기억합니다.

 

회의차 서울에 다녀오게 되었는데, 버스를 타고 갈까 하다가 미국산 대우 전기차 볼트를 타고 다녀왔고 갑자기 내연기관으로 따지자면 엔진체크등에 준하는 경고등이 점등되었으며 급속충전이 되지 않고 있습니다.

 

경고등

 

계기판의 경고등이 점등되었습니다. 자동차 모양에 느낌표가 그려진 경고등입니다.

 

이 경고등 아래의 타이어 공기압 경고는 잊을만하면 한 번 이상씩 봤던 경고등이고, 그 위의 이 경고등이 점등되는 상황은 처음 겪어보게 되는군요. 설명서상으로도 빠른 시일 내 서비스센터로 이동하여 점검을 받으라는 설명이 적혀있었습니다.

 

이 상태에서 올라가는 길에 시간 여유가 있어 급속충전기의 충전선을 차량의 충전 단자에 꼽으니 차량에서 충전불가 경고등이 뜨더군요. 수차례 반복해도 충전이 불가하여 결국 그냥 서울로 올라왔습니다.

 

서울에서도 경고등이 꺼지지 않는다.,

 

서울에서 11시 가까이 회의 겸 신년회를 마치고 내려가는 길에도 경고등이 그대로 남아있더군요.

 

내려가는 길에 휴게소에서 급속충전을 재차 시도하였으나 역시 상행과 동일하게 충전이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그나마 다행스럽게도 집까지 주행가능거리 20km를 남기고 도착하였고 오류와 함께 수차례 시도하였으나 계속 실패했던 급속충전과 달리 완속충전은 정상적으로 진행되더군요.

 

애초에 훨씬 이전부터 어디선가 고장이 발생하여 급속충전이 불가했을지는 모르겠습니다만, 급속충전은 장거리를 이동할 때 한 달에 많아야 한 두 번 사용하는지라 모르고 있다 이제야 눈치챘을 확률도 있을 겁니다. 고로 다음날 아침에 바로 서비스센터로 달려갔습니다.

 

대우 아니 쉐보레 홍성서비스센터

 

금요일 아침. 대우 아니 쉐보레 홍성서비스센터를 찾았습니다.

 

그래도 아침이라고 전날 문제가 발생한 온갖 대우차들이 서비스센터를 찾아와 있었습니다. 조금 기다리니 제 차례가 왔고, 경고등이 점등되어 있으며 급속충전도 되지 않는다는 증상을 설명하니 진단기를 물리더군요.

 

 

진단중

 

노트북과 차량의 OBD를 연결하여 고장코드를 확인합니다.

 

현재진행형인 고장코드가 두 개 뜬다고 하더군요.

 

고장코드

 

P0AC4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 컨트롤모듈 MIL 지시등 켬 요청

P1AF0 구동 모터 컨트롤모듈 하이브리드/EV 배터리 전압 시스템 차단 소실

 

고장코드로 검색하니 프로그램 업데이트를 진행했었던 고장코드라고 하네요. 제가 구입하기 전에 있었던 무상수리인지라 아마 차량을 인수하기 전에 프로그램 업데이트는 마쳤을 겁니다. 이외에도 볼트의 본고장 미국에서도 추운 날에 이 경고등이 점등되어 증상을 묻는 질문글들이 다수 있었는데, 아마 날이 추워지며 발생한 고장코드로 보입니다.

 

근데 이 고장코드들과 급속충전은 큰 연관이 없다고 하더군요. 자세한 원인을 찾기 위해 본사에 연락을 시도하였으나 아침시간이라 전화를 받지 않았고, 일단 완속충전은 가능하고 바로 차를 타고 나가야 하는지라 본사에서 연락이 오면 다시 입고하기로 하고 나왔습니다.

 

본사에서 연락이 왔는데..

 

한참 뒤 본사에서 연락이 왔습니다만.....

 

몇몇 데이터를 추가로 요구한다고 하여 평일에 다시 입고해 달라고 하더군요. 토요일은 본사 직원이 휴무라 불가하고, 월요일은 제가 하루종일 억까만 당해서 갈 시간조차 없었습니다. 물론 데이터를 추출하여 본사로 보내고 또 추가로 요구하는 것이 있다면 원인 규명 없이 그렇게 또 추가 자료만 계속 보내줘야 한다고 합니다.

 

그렇게 데이터를 보내고도 마땅한 해결책이 없으면 또 대전 직영으로 가야한다고 하네요.

그나마 보증기간이라 다행이지 보증도 끝난 마당에 이런다면 뺑뺑이에 수리비까지 걱정해야 할 상황인데..

제대로 된 수입차처럼 알아서 픽업 딜리버리를 해 주는 것도 아니고 여기서 해결되지 않는다면 순전히 제가 대전이고 서울이고 어디고 시간 내서 다녀와야 하네요. 진짜 쓰레기 같은 자칭 미제 고오급차 쉐보레 아니 미국산 대우차 지겨워서 못 타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