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쉐보레'에 해당되는 글 60건

반응형


우연히 금산의 렌터카 물류센터에서 2개월 10일간 함께했던 스파크를 보았습니다.


기억하시는 분들은 아마 기억하시겠지만, 2018년 당시 쉐보레 엠버서더라는 시승행사에 당첨되어 당시 막 출시되었던 M400 스파크의 부분변경 모델인 '더 뉴 스파크'를 원없이 타고 다녔었습니다.



M300 스파크는 어머니 출퇴근용으로 드리고 대략 시승기간동안 동명의 레드벨벳 노래를 듣다 영감을 얻어 '빨간 맛'이라는 애칭을 붙여주고 열심히 타고 다녔던 기억이 있습니다. 쉐보레에서 시승용으로 나왔던 이 스파크로 폐교탐방도 갔었고, 저 위에 보이는 포스팅 외에도 수많은 콘텐츠를 생산해내기도 했었습니다.


여튼 수동에 루프박스가 올라간 M300과 비슷하거나 좀 더 나은 연비를 내던 차량으로 경차에 적용되는 무단변속기도 꽤 수준이 올라갔음을 느꼈던 차량인데, 마지막 2018년 9월 9일을 마지막으로 다시 보지 못할 줄 알았던 차를 우연히 보게 되었습니다.



반납차량이 있는 자리에 빨간 스파크가 보여 혹시나 싶어 가까이 다가갔습니다.


같은 자리를 제가 가지고 나갈 차를 찾는다고 두어번 지나가면서는 보지 못했는데, 그 차를 가져가기 위해 다른 차를 빼다가 핸드폰을 놓고 내려서 핸드폰을 가지고 오던 길에 빨간 스파크가 보여 가까이 다가가 번호판을 보니 제가 탔던 그 차가 맞네요. 유채색 장기렌터카가 그리 많지 않아 눈에 띕니다. 


제가 타고다녔던 당시 붙어있던 쉐보레 엠버서더 데칼은 이미 다 떼어냈지만, 그래도 번호판을 보고 차대번호 숫자를 보니 제가 탔던 그 빨간 맛이 맞습니다.



예상치 못한 곳에서 대략 604일만에 다시 보게 되었습니다.

앞 유리창의 SK렌터카 스티커도 제가 붙여놓았는데 그대로 남아있네요.


45호 1368. 애초에 시승차로 공급되었던 차량인지라 최고등급인 프리미엄에 풀옵션을 자랑했었습니다. 그동안 어디서 어떤 차주와 함께 세월을 보냈는지는 제가 알 방법은 없지만, 그래도 반가운 마음에 잠시 그 시절을 추억하며 구경을 하고 가기로 합니다.



변함 없는 모습입니다.


직전에 타던 운전자는 아마 초보운전자가 아녔을까 싶습니다. 차량 컬러도 빨간색이니 여성운전자가 탔을 확률이 높을테고 초보운전 스티커가 붙어있으니 말이죠. 전반적인 차량 상태는 깔끔했습니다. 저도 깔끔하게 타고 반납했었고 이후 바뀐 주인들 역시 별다른 사고 없이 깔끔하게 타지 않았나 싶네요.. 



운전석 도어트림에는 하얗게 화장품이 묻어있네요.


주로 여성운전자가 타고 다녔던 흔적입니다. 뭐 저도 뒷 문 도어트림에 킥보드를 싣는 과정에서 기스를 만들기도 했습니다만, 여튼 닦아내면 쉽게 지워지리라 생각됩니다. 세차 과정을 거친 뒤 새 장기대여자를 찾아가겠지요.



그 외에는 깔끔합니다.


키는 하나밖에 없네요. 제가 처음 이 스파크를 받았던 당시만 하더라도 두개가 있었습니다만, 제가 항시 주머니에 넣고 다니며 스마트키 뒤에 붙어있던 바코드 스티커가 일부 바랬던 그 키만 있었습니다. 



다시 운전석에 앉아봅니다. 지금까지 주행한 주행거리는 18,310km


제가 짧은 기간 타고 반납했던 주행거리가 9,817km인데 2년 가까운 세월동안 제가 탔던 주행거리에 미치지 못하는 수준으로 주행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결론적으로 이 차는 아직까지도 다른 운전자들보다 제가 더 많이 탔다고 봐야겠죠.


주인이 여러번 바뀌고 또 바뀌었다 한들 빨간맛 스파크도 아직까지는 제 손이 익숙할겁니다.



제가 적어놓았던 서비스 가이드 정보도 그대로 남아있네요.


그리 오래된 추억은 아니지만 차량 곳곳에 남아있는 제 흔적들을 보고나니 반가운 마음에 이어 감동까지 느껴집니다. 겨우 몇달 타다 반납한 렌터카에 오만 감정을 느낀다고 생각하실지 모르겠지만, 잠깐을 탔던 오래 탔던간에 애정을 가지고 탔던 제 차였습니다. 



53번째로 생산된 차라고 자랑하고 다녔었는데 바코드도 많이 바랬네요.


깔끔했던 바코드 역시 바래고 갈라지고 있습니다. 그래도 대략적인 차량 정보는 식별이 가능하지만 시간이 지난다면 떼어내거나 식별이 불가능한 수준까지 가지 않을까 싶습니다. 



저도 갈 길을 가야하고, 더 뉴 스파크도 다시 새 계약자를 찾아 가게 될 것입니다.


언젠가 길 위에서 우연히 만나는 상상도 했었지만 예상치 못한 공간에서 다시 만날지 누가 알았겠습니까. 같은 자리를 여러번 지나치며 눈치를 채지 못하니 하늘에서 핸드폰을 놓고 내리게 만들어 차를 발견할 기회를 한번 더 주지 않았나 싶습니다. 저도 반가웠고, 아마 말은 못하지만 빨간 맛 스파크 역시 반가웠을겁니다.


다음으로 함께 하게 될 사람은 누가 될지 알 수 없습니다만, 부디 좋은 계약자 만나 잘 굴러다니며 언젠가 다시 만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업무용 똥차를 하나 샀습니다.


폐차장 가기는 아까운 굴러가는 차. 업무의 편의를 위해 어디 주요 요충지에 세워두고 탈 수 있는 차. 저는 그런 차를 원했습니다. 최소 서너번만 잘 타고 들어와도 본전은 뺄테고 폐차를 해도 별 손해가 없고 다시 되팔아도 그가격에 혹은 그가격에 팔 수 있으리라 생각해서 말이죠.


딱 그런 차가 하나 나오더군요. 2004년 11월식. 밝은 하늘색의 후기형 마티즈2입니다. 흠이라면 문제가 많은 무단변속기가 달린 모델이네요. 인천대교 버스 참사의 원인 역시 이 무단변속기가 달린 마티즈였습니다.


물론 한국GM에서 보상판매라는 명목 하에 집중적으로 사다 누르고, 말이 무상수리지 소모품인 파우더클러치의 수리비용이나 차량의 가치가 어느정도 비등해진데다가 수출길에 오르다보니 요즘은 꽤 보기 힘들어졌습니다만 그래도 2세대 스파크까지 나온 마당에 대우/한국GM의 경차 계보를 놓고 봐도 가장 귀엽고 경차스러웠던 차량이 아닐까 싶습니다.


2003년 이후 에어백이 기본적용되고 컬러팩이 들어간 차량은 지금 봐도 준수하게 여겨집니다. 마침 제 눈에 걸린 이 차량도 그런 밝은 하늘색의 후기형 차량이였네요.



2004년 11월 11일에 최초등록된 GM대우 마티즈2 BEST 고급형 모델입니다.


당시 차값으로 896만원. BEST 고급형 오토모델에 컬러팩과 에어컨만 추가했네요. 특유의 투톤 몰딩과 함께 컬러팩이 들어간 차량인지라 실내 역시 알록달록합니다. 이시절 컬러팩이 적용된 마티즈를 가장 좋아합니다. 



주행거리 11만 3천km 수준.


대략 15년 넘은 자동차가 이정도 주행거리라면 뭐 거의 세워뒀다 봐도 무방합니다. 다만 클럭스프링에 문제가 있는지 아니면 다른 부분에 문제가 있는지 에어백 경고등이 점등되어 있네요. 경적은 정상 작동합니다. 원인이 무엇인지 모르겠지만 그냥 타던지 정 거슬린다면 고치던지 해야겠죠.




순정 오디오. 그리고 수동 공조기와 크롬으로 마감된 버튼들과 크롬 에어덕트.


그래도 나름 고급사양 모델임을 알 수 있습니다. mp3 지원 오디오가 아닌 이상 깡통부터 최고사양까지 이 오디오가 적용되었습니다. 여튼 스피커 네개 다 잘 나오고 하니 딱히 바꿀 필요도 없습니다. 걍 탈거에요.



광고용으로 방치중인 빨간 마티즈와 함께...


마티즈 보기 참 힘들어졌습니다. 둥글둥글하고 귀여운 이미지의 마티즈도 2020년대 후반에는 아마 올드카 대접을 받지 않을까 조심스레 예측해 봅니다. 뭐 여튼.. 큰 문제는 없었습니다. 고질병인 와이퍼 링게이지의 고장이라던가 핸들이 좀 떠는 문제는 감수하고 넘어갈 수준이고요.


CVT 사망을 암시하는 시동시 벨트소음도 없고 그럭저럭 살살 타면 문제될건 없다 보네요. 다만 인수시 전차주가 뒷 드럼 라이닝과 휠실린더를 교체했다는데 브레이크 오일이 없었던 부분이 걸리기에 정비소를 찾았습니다.



다행히 우측 뒷드럼으로 이어지는 브레이크 파이프가 제대로 조여져있지 않아 누유되었다 하네요.


누유되던 부분을 잘 조여주고 부족하다 싶은 제동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에어만 빼주기로 합니다. 그래도 아주 잘 선다는 수준은 아니지만, 타는데 큰 문제는 없어졌습니다. 이 차를 주요 요충지에 세워둠으로서 조금이라도 더 편하게 일을 할 수 있겠죠. 아무렴 밋션 퍼지지 않도록 잘 타봐야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