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02년 3월 등록된 최후기형 싼타모와 92년 9월 등록된 라이노 카고입니다. 

 

두 차량의 차령 차이가 10년이나 나긴 하고, 상태도 매우 준수한 차량과 금방 폐차장의 이슬로 사라질 것 같은 차량으로 극과 극을 달리고 있긴 하지만, 둘 다 지나가던 길에 목격한 차량인지라 사진이 별로 없어 모아서 소개를 드리려 합니다.

 

먼저 대구 지역번호판을 부착하고 있던 매우 준수한 상태의 싼타모입니다.

 

미쓰비시의 2세대 샤리오에 쏘나타3의 파워트레인을 적용하여 현대정공에서 96년부터 라이선스 생산하였던 싼타모는 후속 모델로 기아자동차의 카스타가 등장한 이후로 그럭저럭 판매를 이어가다가 2002년 12월 환경규제로 단종되었습니다. LPG 모델의 등장 및 7인승 모델의 세제혜택으로 불티나게 팔려나갔고 중고차 시장에서는 저렴한 가격에 넓은 공간을 제공하는 차량으로 그럭저럭 인기를 구가했었습니다.

 

이전에도 올드카 목격담에서 많이 다루곤 했었죠.

 

 

[목격] 현대 싼타모(2000 HYUNDAI SANTAMO)

2000년대 이후 차량들은 잘 다루지 않지만, 며칠 전 고속도로에서 지역번호판이 부착된 우수한 상태의 싼타모를 목격하여 간단히 사진으로 남겨보았습니다. 95년 연말 출시되어 2002년까지 판매되

www.tisdory.com

 

[목격] 1996 현대정공 싼타모 가솔린, 1999 대우자동차 누비라2

오늘은 그간 짧게 지나쳤던 차량들의 사진을 모아 왔습니다. 인천에서 목격했던 현대정공의 싼타모 휘발유 모델과 서해안고속도로 팔곡터널 부근에서 목격했던 99년식 대우자동차 누비라 2의

www.tisdory.com

 

2002 HYUNDAI SANTAMO 2.0 SOHC

이렇게 깔끔한 싼타모는 정말 오랜만에 보는 느낌입니다.

 

월드컵 직전까지 부착되었던 2002 한/일월드컵 공식 스폰서 스티커가 뒷유리에 붙어있습니다. 최후기형 싼타모의 특징이자 그 시절 출시되었던 현대차의 상징과도 같은 스티커라 볼 수 있겠습니다. 스티커와 썬팅이 오랜 세월에도 변색되지 않았던 모습으로 추정컨대 지하주차장이나 개인차고에서 20년 넘는 차생을 보내오지 않았나 싶습니다.

 

부식도 긁힘도 없다

203S 레터링과 함께 리어스포일러와 루프렉이 부착되어 있는 걸로 보아 7인승 디럭스로 보이네요.

 

싼타모라 하면 스페어타이어가 뒤에 붙어있는 플러스 모델이 인상적이긴 하지만 규제로 인해 후기형에 와서는 일반형 모델과 큰 차이가 없어졌습니다. 이 차량은 플러스는 아니고 리어스포일러와 루프렉이 존재하는 모습으로 보아 디럭스 고급형으로 보이네요. 일반형 싼타모의 최상위 트림입니다.

 

사진을 촬영했던 시점이 휴가철이었던지라 대구에서 바다를 보러 멀리까지 달려왔나 싶었습니다만, 계속 가는 길이 같아 따라가니 탈모약으로 유명한 병원에 가시더군요. 어르신께서 대구에서 탈모약을 받기 위해 먼 길을 오셨던 것 같습니다. 앞으로도 준수한 상태를 유지하며 오랜 세월 함께 하셨으면 좋겠습니다.

 

1992 KIA RHINO 5t cargo

다음은 92년 9월 등록된 장비수송용 차량으로 이용 중인 라이노 카고트럭입니다.

 

신갈에서 수지방향으로 가는 길에 목격했던 차량인데, 용인시에서 발급된 지역번호판을 부착하고 있는 모습으로 보아 아직도 용인시에 차적을 두고 있는 차량 같았습니다. 현장에 3톤급 굴삭기를 싣고 다니는 용도로 활용되는 차량인데, 저감장치를 부착하여 살아남았는지는 모르겠지만 5등급 경유차의 씨가 말라버린 수도권에 아직도 이런 상태의 차량이 존재한다는 사실 자체가 경이롭게 느껴졌습니다.

 

당시 기아자동차의 대형 상용 모델은 아시아자동차 브랜드로 판매되었지만, 중형 차종인 라이노까지는 기아자동차 브랜드로 판매되었습니다. 3세대 히노 레인저를 기반으로 생산되었던 라이노는 4세대 모델을 기반으로 한 2세대 라이노로 이어졌고, 위에 언급했던 싼타모와 함께 2002년 환경규제 겸 대대적인 라인업 정리로 인해 단종되었습니다. 3세대 레인저를 기반으로 한 1세대 라이노는 아직도 간간히 영업용 번호판을 부착하고 현역으로 뛰는 차량들도 보이고, 지방에서도 드문드문 보이긴 하지만 수도권에서 보기는 정말 오랜만입니다.

 

1992 KIA RHINO 5t cargo

30년 넘는 세월을 보내오며 적재함도 탑도 곳곳에 부식이 보입니다.

색만 바랬을 뿐이지 데칼은 그대로 살아있네요.

 

큰 사고 없이 30년 넘는 세월을 보내지 않았나 싶습니다. 우렁찬 엔진음을 내며 약간 경사가 있는 도로를 열심히 올라가고 있습니다. 대부분 근거리 현장으로 향하는 굴삭기 수송용 차량은 딱히 좋은 차를 탈 필요가 없어 이렇게 오래된 차량을 운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새 차를 굴리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은 굴삭기 장비를 늘리거나 교체하는 쪽으로 투자를 하시죠. 30년 넘은 라이노 위에 실려있는 굴삭기는 신형 모델인 모습인 것처럼 말입니다.

 

부디 오래 살아남길..

과연 이 라이노가 언제까지 수도권 현장을 누빌 수 있을지는 모르겠습니다.

 

계절관리제 기간에는 굴삭기가 움직일 일이 그렇게 많지 않고 지자체 경계를 넘어가는 일 없이 대부분 관내에서 움직이는 차량인지라 지금껏 살아남았으리라 생각되는데 앞으로는 어떨지 모르겠습니다. 일찌감치 저감장치를 부착해서 살아남은 차량이라면 문제없겠지만, 그렇지 않은 차량으로 보이니 우려스럽기만 합니다.

 

보내온 31년의 세월. 용인군에서 용인시로, 분구와 인구 100만 돌파 대도시로의 성장까지의 역사를 모두 함께했던 라이노가 앞으로도 용인땅에서 굴삭기와 함께 무탈히 달릴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그간 지나가며 짧게 목격했던 차량들을 다뤄보려 합니다.

 

91년 2월 등록 현대 마이티와, 95년 12월 등록 대우 프린스입니다. 한 대는 증평에서, 한대는 서해안고속도로 당진ic 부근에서 목격했습니다. 요즘들어 올드카 목격담에 올라올만한 차량들을 보는 빈도가 상당히 줄었습니다. 5등급 경유차들이 거의 다 적폐청산을 당했기에 확실히 보이는 빈도가 줄었음을 체감합니다. 매우 아쉽게 생각합니다.

 

1991 HYUNDAI MIGHTY

먼저 증평에서 목격한 현대 마이티입니다.

 

마이티는 그간 올드카 목격담에서 정말 많이 다뤘었지요. 대부분 초기형 모델이었습니다만, 이 차량처럼 극초기형 모델은 없었습니다. 92년형부터 현대(HYUNDAI) 레터링의 위치가 변경되었는데, 그 이전 모델로 91년 2월 등록된 차량입니다.

 

 

1996 현대 마이티 카고크레인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당진 장고항에서 목격한 마이티 카고크레인입니다. 장고항은 관광지이기 이전에 어항(漁港)인지라 작은 어선들을 육지로 들어올리거나 어획물이나 그물을 들어올리고

www.tisdory.com

 

1993 현대자동차 마이티 (1993 HYUNDAI MIGHTY)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용인시 외곽의 읍지역에서 목격한 93년 2월 등록된 마이티입니다. 다음 세대 모델(마이티2)용 청색으로 겉 칠이 되어 있고 적재함 문짝도 신형이지만, 옛 지역번호판을

www.tisdory.com

 

1994 현대자동차 마이티 저상 카고 (1994 HYUNDAI MIGHTY LOW DECK CARGO)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현대자동차의 준중형트럭인 마이티입니다. 2019/04/23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올드카 목격담] - [목격] 1995 현대자동차 마이티 2.5t 카고 (HYUNDAI MIGHTY 2.5TON CARGO) 지난해 4

www.tisdory.com

 

1992 현대자동차 마이티 저상 (1992 HYUNDAI MIGHTY LOW DECK)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천안의 한 골목에서 본 92년 3월 등록 마이티 저상차량입니다. 구형 마이티는 그럭저럭 많이 다뤘었죠. DPF를 장착하고 영업용 번호판을 달고 고속도로를 활보하던 후기

www.tisdory.com

 

1993 현대자동차 마이티 저상 (1993 HYUNDAI MIGHTY LOW DECK)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합덕의 한 도로변 주차장에서 발견한 93년 4월 등록된 마이티입니다. 1세대 마이티는 미쓰비시후소의 5세대 캔터를 기반으로 라이센스 생산했던 차량입니다. 그 당시 현

www.tisdory.com

 

[목격] 1995 현대자동차 마이티 2.5t 카고 (HYUNDAI MIGHTY 2.5TON CARGO)

평일에 쉬는 일이 생겨 탁송이나 탈 겸 서해안고속도로를 타고 유유히 올라가던 길에 목격했던 차량입니다. 지금으로부터 약 20여년 전. 3세대 뉴포터 출시 이전 각포터와 구형 포터 그리고 마이

www.tisdory.com

 

이 많고 많은 마이티 목격담 중 극초기형 개체는 처음입니다. 거기에 번호판까지도 '충북 7'입니다. 92년 93년형 모델들과 달리 현대 레터링이 가운데 붙어있습니다. 차량의 도장 상태는 별로 좋아보이지 않습니다만, 로드뷰를 보니 2020년만 하더라도 특유의 문짝 도색이 살아있었고 이렇게 누런 모습이 아니었더군요. 아마 중간에 재도장을 했으리라 추정되는데, 그 재도장이 누렇게 변해서 지금의 모습을 하고 있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근래까지 상당히 우수한 상태를 자랑했었는데, 여러모로 아쉽게 느껴집니다.

 

1995 DAEWOO PRINCE 1.8

다음은 당진IC 근처에서 목격했던 프린스입니다.

 

프린스 역시 올드카 목격담에서 자주 다뤘던 차량 중 하나죠. 95년 12월 등록이니 91년 부분변경 모델의 끝물격에 해당하는 모델입니다. 카렌스를 타고 수원으로 가던 길에 목격했었는데, 정속으로 달리던 카렌스보다 빠른 속도로 달려와서 금방 사라지더군요.

 

 

1992 대우자동차 프린스 (DAEWOO PRINCE)

오랜만에 올드카 목격담으로 뵙는 느낌입니다. 촬영한지는 좀 된 느낌입니다만, 귀차니즘에 업로드를 계속 미뤘던 차량의 목격담에 대해 풀어보고 넘어가려 합니다. 대우자동차의 프린스입니

www.tisdory.com

 

[목격] 1995 쌍용 SY 카고트럭/1996 대우 뉴 프린스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충북 음성에서 목격했던 쌍용 SY트럭과, 노원검사소 인근에서 목격했던 뉴프린스입니다. 아주 잠깐 지나쳤던 차량들이기에 간단한 설명과 함께 사진만 보여드리고 가기

www.tisdory.com

 

[목격] 1994 대우자동차 프린스 / 1998 대우자동차 누비라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토요일에 서울에 다녀오며 서울 시내에서 봤던 차량들의 목격담입니다. 둘 다 대우차고, 최소 한 번 이상 다뤘던 차량이기에 간단히 몰아서 다뤄보려 하네요. 먼저 한남

www.tisdory.com

 

1994 아시아자동차 AM670 / 1993 대우 프린스.

오늘 간단히 지나친 올드카들에 대한 사진입니다. 첫번째로 아시아자동차의 AM트럭입니다. 1984년 일본 히노의 슈퍼돌핀트럭을 기반으로 출시되어 1992년 부분변경 모델의 출시. 그리고 1995년 그

www.tisdory.com

 

1995 대우 프린스(DAEWOO PRINCE)

근래에 번호판을 새로 받았는지 깔끔한 전국번호판을 부착하고 달리는 프린스. 60년대 개발된 V-플랫폼을 기반으로 로얄시리즈 및 프린스 브로엄까지 엄청난 수의 사골국을 우려냈던 모델이지

www.tisdory.com

 

1995 DAEWOO PRINCE 1.8

빠른 속도로 달려나갑니다.

 

1.8 오토인지 수동인지는 몰라도 연비스티커도 남아있고 전반적으로 준수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습니다. 크롬 몰딩의 상태도 그렇고 휠의 상태도 그렇고요. 거기에 빠른 속도로 달리는 모습을 보니 차량의 컨디션도 우수하다고 볼 수 있겠죠.

 

프린스 치곤 후기형이고, 흰색 전국번호판도 얼마 되지 않은것으로 보아 아마 새 주인이 보존을 목적으로 근래 가져오지 않았나 생각됩니다. 새 주인과 함께 앞으로 오랜 세월 그 모습 그대로 유지 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