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94년 12월에 등록된 2세대 그랜저. 뉴 그랜저입니다.

일본 미쓰비시와의 공동개발로, 미쓰비시에서는 3세대 데보네어로 판매되었습니다.

 

이전에도 준수한 상태의 뉴그랜저를 올드카 목격담에서 다루곤 했었죠. 다만 이 차량은 상태가 그리 준수하지는 않습니다만, 한자리 지역번호판에 수동변속기가 장착되어 있습니다. 그랜저 역시 3세대 모델인 XG까지 제한적으로나마 수동변속기의 선택이 가능했지만 실제로 목격하기는 정말 오랜만이네요.

 

 

[목격]1996 현대자동차 뉴그랜저 2.0 (HYUNDAI NEW GRANDEUR)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서울 뚝섬 근처에서 목격했던 96년 7월에 등록된 97년형 뉴그랜저 2.0입니다. 한국에서는 2세대 그랜저, 일본에서는 3세대 데보니아로 파생모델인 다이너스티는 2005년까지

www.tisdory.com

 

1993 현대자동차 뉴그랜저 3.0 (1993 HYUNDAI NEW GRANDEUR 3.0)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보령(대천)의 신도심인 명천동 일대에서 목격한 뉴그랜저 3.0입니다. 경기37. 경기도 부천시에서 발급된 지역번호판을 부착하고 있었는데, 목격 된 곳은 충청남도 보령시

www.tisdory.com

 

1997 현대 뉴그랜저, 1994 쌍용자동차 코란도 롱바디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짧막하게 보고 지나가 사진이 몇장 없는 차량 두대를 모아봤습니다. 당진의 한 아파트 지하주차장에서 목격했던 97년식 뉴그랜저 2.0과 홍성 광천읍에서 목격했던 구형

www.tisdory.com

 

참고로 그간 올드카 목격담에서 다뤘던 차량들은 죄다 오토였습니다.

 

1994 HYUNDAI NEW GRANDEUR 2.0 M/T

킥보드를 고치러 천안에 갔다가 코너에 세워진 이 그랜저를 보고 잠시 차를 세웠습니다.

 

후드탑 엠블럼도 떨어져 나갔고 여기저기 찌그러진 흔적으로 보다시피 관리상태는 그닥이었지만 '서울 4' 지역번호판을 보고 구경이나 하고 가야지 싶어 차를 세웠는데, 가만 보니 2.0 수동이더군요. 지금이야 그랜저의 문턱이 많이 낮아져서 중산층들도 부담없이 타는 세단이지만 당시 그랜저는 현대의 플래그쉽 세단으로 부의 상징처럼 여겨지던 그런 차량이었습니다. 물론 최하위 트림에 2.0 DOHC 엔진이 적용된 모델이라 하더라도 차량의 기본 가격만 1850만원이었고 당시 소형차인 엑센트보다 2.5배 이상 비쌌습니다. 티코로 비교하자면 4.5배 이상 차이나네요.

 

뒤 역시 관리상태가 그리 좋진 못하다.

뒤로 가도 관리상태가 그리 뛰어나진 않습니다.

방향지시등과 후진등이 함께 붙어있는 전기형 테일램프도 잘 살아있네요.

 

다들 V6 3500 레터링을 붙이고 다니던데 따로 뭐 붙은건 없습니다. 천장 위에 샤크안테나를 달아두었지만 차량 안에 DMB 시청이 가능한 내비게이션이 없고 배선을 확인할수 없는것으로 보아 그냥 멋으로 부착하지 않았나 싶습니다. 범퍼의 칠은 다 바랬고, 트렁크에도 푹 찍힌 자국이 있으며 테일램프도 살짝 금이 가 있습니다. 보는 관점에 따라 다르겠지만 30년 가까운 세월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었습니다.

 

태양을 연상시키는 14인치 알루미늄 휠

태양을 연상시키는 14인치 알루미늄 휠입니다.

 

예전에 97년형 차량을 다룰때 15인치라고 잘못 언급했었지만 2.0용 휠은 14인치가 맞습니다. 타이어는 195/70R14. 14인치 휠이 최고급 승용차에 적용되었던 시절이 있었는데 지금은 깡통 경차에나 적용되는 신세입니다.

 

노 에어백 수동

핸들리모콘은 당연하고 운전석 에어백도 없습니다.

당연히 대시보드에 절개선이 없으니 조수석 에어백도 없네요. 거기에 수동입니다.

 

94년 뉴그랜저 가격표를 찾아봅니다. 수동은 2.0에서만 선택이 가능했고, 그냥 '2.0'과 '디럭스팩' '이규제큐티브'까지 총 세가지 트림이 존재했습니다.

 

이그제큐티브부터는 가죽시트와 운전석 에어백이 기본사양으로 적용되었으니 아니고.. 우드그레인은 디럭스팩으로 ABS,무선리모콘과 함께 묶인 옵션이었는데 도난방지 스티커나 뒷유리의 ABS 스티커가 없는것으로 보아 본넷을 열어 ABS 모듈이 있음을 확인하지 않는 이상 디럭스도 아닌 느낌입니다. 그렇지만 센터페시아와 도어트림에 우드그레인이 적용되었네요. 따로 나와서 장착하지 않았나 생각됩니다.

 

깡통이더라도 고급 이퀄라이저 오디오와 풀오토 에어컨이 적용되었다.

아무리 깡통이라 하더라도 풀 오토 에어컨과 고급 이퀄라이저 오디오는 적용되었습니다.

 

명색이 고급차이니 직물시트에 에어백도 없는 차량이라 한들 고급 오디오와 당시 기준으로 최첨단 사양인 풀오토 에어컨은 기본으로 적용되었습니다. CDP와 핸들리모콘은 이그제큐티브에서 옵션으로 선택이 가능했던지라 이 차량엔 선택조차 할 수 없었습니다.

 

우레탄 핸들은 30년 가까운 세월을 회전하며 많이 닳았고 기어부츠 역시 세월의 풍파를 그대로 맞았지만 2023년 6월에도 문제 없이 움직이고 있습니다.

 

오래 살아남길

비록 외관 상태는 좋지 못하지만 오래 살아남았으면 좋겠습니다.

 

당시 기준으론 가장 저렴했던 그랜저지만 수동변속기의 선택조차 어려운 지금 시대에는 깔끔한 그랜저 이상의 높은 가치를 지닌 차량일지도 모르겠습니다. 충분한 보존가치를 지닌 차량이라 하더라도 관종들이나 되팔이들에게 농락당하며 차값만 올라가는 꼴은 보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고급 세단으로 도로를 평정하던 시절은 비록 옛날 얘기처럼 들리겠지만 험한 모습으로 차생을 마감할지라도 지금의 주인과 생명을 다하는 그날까지 무탈히 돌아다녔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작년 연말에 당진에서 목격했었던 각-그레이스를 우연히 다시 목격하였고, 차주분께 전화를 드려 짧은 시간 만나게 된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86년 당시 미쓰비시의 최신형 차량이던 3세대 델리카(L300)를 라이선스 생산한 차량으로, 91년 4월에 생산된 이 차량은 각 그레이스로만 따지면 후기형에 속하게 됩니다.

 

 

1991 현대자동차 그레이스 (1991 HYUNDAI GRACE)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당진의 한 주유소에서 목격한 구형 그레이스. 각-그레이스입니다. 당시 미쓰비시와의 기술제휴로 도입된 차량들이 죄다 각이 살아있어 구형 차량을 부를 때 '각'이라는

www.tisdory.com

 

이 차량을 다시 목격하게 된 경위는 그닥 특별하지 않습니다. 주말 내내 합덕에 있다가 티코나 좀 가동하고 운동이나 할 겸 삽교천 외곽에 가게 되었습니다. 야구장 옆 주차장에 차량을 주차하고 내리는데, 그 옆 뚝방길로 각 그레이스가 지나가더군요.

 

뚝방으로 각그레이스가 지나가는 모습을 목격.

각그레이스가 달리는 모습을 보고 사진을 촬영하고 바로 티코의 시동을 걸었습니다.

 

따라가 보기로 합니다. 이전에 올드카 목격담에서 이 차량을 다루고 차주분이 보시고 다른 지역에 살고 계시지만 동향사람이라며 연락을 주고받았던 일이 있었는데, 열심히 문자 내역을 뒤져 전화번호를 찾아냅니다. 그리고 지나가는 차량 뒤에 붙어 전화를 드리고 근처에서 잠시 뵙고 가기로 했습니다.

 

1991 HYUNDAI GRACE

그렇게 다시 보게 된 91년식 각그레이스입니다.

 

2003년까지 대대적인 변화는 있었지만 풀체인지 없이 판매되었던 그레이스의 역사만 놓고 본다면 초기형이지만, 각그레이스만 놓고 본다면 후기형에 속하는 차량입니다. 사이드 마커 램프가 새로 생겼고, 프론트 가니쉬가 장착되었으니 말이죠.

 

대한민국에 현존하는 각그레이스 중 가장 상태가 좋고, 주행거리가 적은 차량일 겁니다.

 

바코드

바코드가 살아있습니다.

 

점점 색이 바래는 것을 막기 위해 차대번호 자리에 PPF 스티커를 붙여놓으셨다고 하네요. 딱 도어캐치 자리에 들어가는 PPF 스티커입니다. 바코드로 알 수 있는 생산일은 91년 4월 1일. 32년 넘는 세월을 버티고 또 버텨왔습니다.

 

1991 HYUNDAI GRACE

일단 얼마 타지 않은 차량인지라 차량 자체가 상당히 깔끔합니다.

 

도색이 들어갔던 흔적도 있고 하체 부식도 존재하지만, 현재 생존한 개체 중 갖아 상태가 좋다는 사실은 부정할 수 없을 겁니다. 이후 뉴그레이스 시절 적용되었던 T-엔진 스티커는 그냥 붙여두셨다고 하네요.

 

범퍼와 리어 가니쉬

범퍼의 경우 약간 찍혀있는 부분이 보이긴 하네요.

 

범퍼도 옛날차답게 철제입니다. 한 10여 년 전에 각그레이스 범퍼를 구하지 못해 절곡집에서 제작하려 한다는 글을 보기도 했었습니다만, 뒤 범퍼는 구해놓으셨다고 하시네요. 다행입니다.

 

그레이스

그레이스 스티커도 세차하다 '그' 부분이 훼손되어 PPF 스티커로 붙여놓으셨다 합니다.

 

정품 스티커가 어느 오래된 부품점에서 악성재고로 잠자고 있을지는 모르지만, 이런 부분은 쉽게 스티커집에 가서 제작이 가능하니 복원이 어렵진 않을 겁니다.

 

GRACE

그레이스 레터링도 깔끔하게 잘 붙어있습니다.

 

그 시절 그랜저고 쏘나타고 같은 폰트와 비슷한 형태의 레터링이 사용되었습니다.

 

1991 HYUNDAI GRACE

4등식 헤드램프에 백색 턴시그널 램프.

 

시간을 30여 년 전으로 돌려놓은 이 차량을 보며 감탄사를 연발합니다.

 

운전석

실내 역시 특유의 와인색 내장 컬러가 고급감을 더하고 있습니다.

 

차량을 운용하다 보면 가장 먼저 닳게 되는 핸들까지도 무늬 질감이 그대로 살아있습니다. 사실상 신차급 컨디션이라 봐도 무방한 상태입니다.

 

주행거리

주행거리는 현재 1.9만 km를 넘어섰습니다.

최소 90년대 초반에나 봤을법한 주행거리를 2020년대 초반에 보고 있습니다.

 

이 차량이 매물로 나왔던 시기 7000km대의 사기급 주행거리를 가지고 있었으나, 현재 차주분이 약 1년간 차량이 좋아 꽤 많이 타고 다니셨다고 합니다. 1년간 30여 년간 누적되었던 수준의 거리를 주행했더라도 냉동차급 주행거리와 냉동차급 컨디션을 자랑하고 있습니다.

 

실내

시트 상태도 도어트림도 필러트림도 모두 때 묻지 않은 신품급 상태를 자랑합니다.

 

보면 볼수록 경이롭습니다. 감탄사를 연발합니다.

 

운전석 시트

운전석 시트 끝단의 색이 약간 바래기는 했지만 직물 상태는 매우 우수합니다.

 

대시보드 비닐이 살짝 뜬다

다만 30년 넘는 세월을 버텨오며 대시보드 상단 푹신푹신한 질감의 비닐이 살짝 떠있네요.

 

그래도 찢어지지 않고 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니 다행입니다. 커버나 장식품을 깔아주면 충분히 보이지 않는 부분이기도 하니깐요. 

 

80년대 일본차 그 자체

80년대 일본차 그 자체인 각 그레이스의 실내 공간입니다.

 

9인승 차량이라 4열 시트나 접의식 시트는 없고 2열 3열 시트만 존재합니다. 90년대 후반 이후 본격적으로 카니발과 스타렉스 같은 미니밴이 등장하며 원박스형 승합차는 인력수송을 위한 업무용 차량의 성격이 강해지긴 했습니다만, 이 시기만 하더라도 12인승이나 15인승이 아닌 9인승 승합차는 지금의 레저용 미니밴과 비슷한 포지션에 있었습니다.

 

슬라이딩 도어 오픈

슬라이딩 도어를 열고 2열과 3열을 살펴봅니다.

 

차주분께서 캠핑을 가던 길이셨던지라 이런저런 짐이 꽤 많이 있습니다만, 2열 3열 시트와 차량 내부의 트림들까지 모두 신차급 상태를 자랑하고 있었습니다.

 

일본차 느낌 가득한 천장 트림

문을 열고 주행했던지라 파리가 좀 앉아있지만, 파리똥도 변색도 하나 없는 천장트림입니다.

 

데보니어에도 사용되었던 실내등

각그랜저에도 사용되었던 실내등이 그레이스에도 사용되었습니다.

 

이 역시 미쓰비시의 원본 차량들에도 적용되었던 부분이라고 하네요.

 

시트?

 

시트?

엔진터널과 슬라이딩 도어 사이 공간에 시트 비슷한 무언가가 있습니다.

 

어릴 적에 유치원 통학버스로 92년형 각그레이스를 탔던 기억이 남아있어 그 당시에도 이 비슷한 것이 있었던 것으로 기억은 되는데 막상 뭘 하는 물건인지는 모르겠네요.

 

매트 상태도 우수

30년 넘는 세월을 버텼고 많은 사람이 탑승하는 승합차임에도 매트 상태 역시 우수했습니다.

 

그 시절 승합차들이 대부분 바닥 장판 느낌의 청소가 용이한 모노륨 매트를 깔고 다녔던 것으로 기억하는데 이 차량은 그런 작업이 되어있지 않음에도 상당히 깔끔한 매트 상태를 보여주고 있었습니다. 당연하겠죠 주행거리가 얼마 되지 않는데 사람이 많이 탔겠습니까.

 

스텝

슬라이드 도어를 열면 보이는 발판. 스텝마저도 제 색상을 유지하고 있었습니다.

 

사람도 많이 타지 않았다는 증거겠지요. 다만 하체에서 올라오는 부식의 모습이 보이긴 하네요. 원판을 훼손하지 않고 수리하는 곳에서 수리한다면 차량의 가치를 유지하면서 오랜 세월 유지 할 수 있을 겁니다.

 

대향시트 사용방법

그레이스의 시트는 돌아갑니다. 풀 플랫과 마주 보는 형태의 대향시트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차박이 유행하는 현시점에서 풀 플랫 시트는 차량의 특색 있는 장점으로 소개되곤 합니다만, 80년대에 출시된 차량에 풀 플랫이 가능하고 회전이 가능한 이런 시트가 적용되었다는 사실은 참 신기하고 대단하게 여겨집니다. 어떤 레버를 조작하여 어떻게 해야 돌아가고 눕혀지는지 상세하게 설명해주고 있습니다.

 

2열에서 바라본 운전석

2열에 탑승한 승객의 시점에서 바라봅니다.

 

요즘 나온 승합차  수준의 관리상태. 일본에 가더라도 이 수준의 주행거리를 가진 델리카는 볼 수 없을 겁니다. 우연히 목격한 그레이스를 따라와 좋은 경험을 하고 왔네요.

 

손잡이

플라스틱 손잡이도 한 번 잡아보고 차량에서 하차했습니다.

 

몰딩

이 시절 현대차에는 쇠가 들어간 이런 뭉툭한 몰딩이 다 붙어있었죠.

 

세월을 보내며 오그라든 부분도 보이지만 문제없이 붙어있습니다.

 

트렁크 도어 부식

트렁크 도어에서도 약간의 부식이 올라오네요.

 

하체부식처럼 수리가 어려운 부분도 아니고 경미한 수준이니 큰 문제는 없을 겁니다.

 

작별

그렇게 짧은 만남을 뒤로하고 헤어졌습니다.

 

캠핑을 가시던 길이라 길게 뵙지는 못했습니다. 나중에는 카페 같은 한적한 곳에서 뵐 수 있었으면 좋겠네요. 한번 더 우연히 목격했지만 지금의 주인과 오랜 세월 사랑받으며 앞으로도 지금과 같은 모습을 유지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