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에 해당되는 글 929건

반응형


얼추 차를 타고 다닌지도 보름 가까이 지났지요.


기름을 처음 만땅을 채우고는 시동도 많이 꺼먹고 차량에 적응을 하던 기간이였던지라 명확하게 뭐 연비가 어떻다 말을 하기는 조금 그런 시기였는데, 어느정도의 적응기를 지내고 기름을 다시 한번 더 넣은 다음의 연비가 이렇답니다.


비교조건은 비스토입니다. 


변속기가 오토와 수동이라는 차이가 있긴 하지만 연료탱크도 35리터로 스파크와 동일하고 보통 주유불이 들어오고 주유소에 갔을 때 약30리터정도를 주유합니다.


비스토는 보통 450km정도 타고 주유소를 들어갔지요. 만땅을 채웠을 때 비스토의 경우에는 400~420km정도에서 불이 들어옵니다. 시내 비중이 높거나 조금 막탄다 싶을때는 390km정도에서 불이 들어오기도 하지요. 에어컨 틀고 어쩌고 하면 여름에는 350km에서 바늘이 바닥으로 가 있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말이 경차지 기름은 중형차 수준으로 쳐먹더군요;;;


근데... 스파크는 말입니다..



320km정도 주행을 한 상태인데 무려 연료탱크의 3/4이 남아있습니다.


아아 경이로운 스파크! 저만큼 타고도 트립컴퓨터상 남은 주행가능거리가 534km정도가 되네요. 


처음 가져와서 기름을 채웠을 때, 시동도 상당히 많이 꺼먹고 스타트 연습한다고 가다서다도 수십번 이상 반복했는데 670km에 가서 기름을 넣었습니다. 물론 중간에 막히는 서울 시내에서 에어컨도 하루종일 켜고 있었고 이래저래 기름 퍼먹을 짓을 했는데 그정도 연비가 나왔다면 정말 잘 타면 800km 이상도 탈 수 있다는 이유겠지요.


고로 비스토 연비의 두배?! 기름냄새만 맏고 굴러가는 공인연비 21km의 스팕크!


P.S 비스토 공인연비가 17km입니다. 실연비 12~13km정도 나오고요.. 근데 스파크는 공인연비보다 더 잘 나오는 것 같네요!!



아아 돈벌어주는차 스파크!! 역시 경차는 수동이 진리!!!!!!!!!!


물론 제 운전스타일이 2차선 국도에서도 고속도로에서도 동일하게 80놓고다니고, 3000rpm이상 웬만해서는 높이지 않으려는 성격이라 연비가 좋을 수 밖에 없지만 비스토를 타면서도 사실상 같은 스타일로 운행을 해왔기에 체감상 느껴지는 연비향상 효과는 큽니다.


이거 힘만 빼고 연비로는 디젤승용차들 부럽지가 않네요..ㅎㅎ 가스팍은 가스값도 저렴해서 봉을 뺀다고 하던데.. 가스팍 수동도 좋지만 스파크 휘발유 수동도 이렇게 경이롭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저사람 차 좀 신경써서 탄다 하는 사람들이면 백이면 백 번호판등을 LED로 바꾸곤 합니다. 


물론 백열전구도 상당히 쓸만합니다만, LED가 시안성이 뛰어나고 멋도 있는데다가 소모전력도 적은편이다보니 많은 사람들이 LED에 열광하지요. 저도 뭐 비스토에 아홉발씩 달린 LED를 갖다 달았으니 말이지요. 가끔 파란색이나 빨간색등의 LED를 번호판등에 박는 경우가 있고 그런 경우에는 문제시 될 수 있으나 백색의 경우에는 전혀 경찰아저씨가 잡아서 딱지 끊게 만들진 않는답니다.


고로 스파크에도 LED 번호판등을 장착하게 되었지요. 물론 앞뒤 세트로 미등도 같이 하는게 정석이지만, DAEWOO 이놈들이 수출형에만 미등을 넣어주고 내수용 스파크와 마크리에는 미등 구멍만 있지 미등이 없답니다. 이건 나중에 업체 가서 알아보려구요 ㅎㅎ



스파크의 평범한 트렁크입니다!


오늘 뜯어 볼 물건은 트렁크등입니다. 이건 DIY라고 하기도 애매할정도로 너무 쉬워요. 초등학생도 십자드라이버 하나만 건네주면 쉽게 할 수 있을겁니다. 여성분들도 노약자분들도 눈만 있고 드라이버 돌릴 힘만 있으시다면 언제든지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하실 수 있어요!!!



번호판 위를 봅시다! 뭔가 있지요? 이걸 탈거해주면 떨어져 나옵니다.


탈거를 위해서는 번호판등 커버 양쪽으로 박힌 나사 두개씩 네개를 풀어주시면 된답니다.



일단 풀기 전에 백열전구 밝기 테스트!



그리고 가차없이 풀어줍니다.


사실 스파크 트렁크가 나름 작게 설계가 되었고, 번호판 플레이트때문에 일반적인 드라이버로는 돌아가는 공간이 나지 않아서 풀기가 조금 힘들더군요. 작은 드라이버를 이용하거나, 좋은 장비들이라면 상황은 달라지겠지요.


가차없이 나사를 풀어주면 저렇게 데롱데롱 번호판등 커버가 탈거됩니다. 소켓을 살짝 돌려서 빼주면 전구가 나오고 T10규격의 전구를 탈거 해 준 다음에 LED 전구를 끼워주면 작업의 80%는 끝난겁니다.



자. 커버를 탈거하고, LED 전구를 장착한 상태입니다.


LED가 아홉개나 박힌걸 샀지요. 더 박힌걸로 하려다가 공간도 나지 않을 것 같고 비스토 역시나 아홉개짜리를 이용했는데 밝기도 적당한게 멀리서도 번호판을 비춰주니 딱 적당합니다. 



이게 이번에 장착하게 된 LED구요...



요게 기존에 달려있던 T10규격의 전구입니다.


비스토 역시나 T10 규격이였는데, 작은 전구였습니다. 최근 나온 스파크에 들어가는 전구는 그래도 큰편이네요. 크고 아름다우니 더 밝게 비춰줬던걸까요..? 역시나 예비용으로 빼놓습니다.



누런 전구불빛보단 확실히 밝지요?! 그걸 노렸습니다!


초등학생도 드라이버 하나만 주면 할 수 있는, 남녀노소 누구나 가능한 국민DIY!!!



LED 번호판등은 밤에 진가를 발휘한답니다! 이렇게 말이죠!!


P.S 비스토에 장착한 물건 산곳과 다른 샵에서 샀는데 푸르스름한 빛을 띄네요... 비스토에 달은건 사진상으로도 하얀빛이라 딱 좋았는데.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