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늘 인천의 한 골목길에서 본 차량입니다.


GM대우시절 아주 잠시 들여왔던 홀덴 카프리스의 뱃지 엔지니어링 모델인 GM대우의 스테이츠맨입니다. 2005년 출시되어 대략 1년간 판매되었던 비운의 모델인데, 이 차량에 대한 상세한 스토리는 2018년 가을 스테이츠맨을 폐차장에 가지고 갔던 이야기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그럭저럭 보기는 힘들어도 가끔 한두대씩 보이는 스테이츠맨입니다만, 뭔가 이상했습니다.


인상이 조금 달라보여 자세히 보니 1세대 SM5의 그릴을 가져다 끼워놓았네요.



뭐 어떻게.. 큰 위화감 없이 그릴이 맞는 느낌이네요.

마침 SM525V가 스테이츠맨과 마주보고 세워져 있었습니다.


멀리서 문득 보면 NF쏘나타와 비슷한 분위기로 보이기도 하고 2000년대 초중반 출시되었던 일본차 느낌도 풍겨오곤 합니다. 번호판은 녹색 전국번호판. 인천에서 발급된 27머 6천번대였습니다. 예전에 집에 있었던 코란도가 2005년 5월 즈음에 번호판이 변경되어 27머 5천번대의 번호가 부착되어 있었는데, 대략 그 즈음 신차를 출고하여 지금껏 타고 있다는 이야기겠죠. 


그릴에 도색을 하거나 아예 뚫어버리고 망그릴을 이식하는 경우는 많이 보았지만, 이렇게 타 차량의 라디에이터 그릴을 이식하는 경우는 드레스업을 목적으로 작업하는 경우를 제외하면 거의 없을겁니다. 그럼에도 고급차량에 타 회사의 중형 승용차의 그릴을 이식하는 경우는 처음 보았습니다.


그릴이 망가졌는데 호주에서 건너온 수입차인지라 그릴값이 대략 50만원을 상회하는 가격이라 신품을 사다 끼우기에는 부담스럽고 어디서 SM5의 그릴을 주워다가 끼웠을 확률이 가장 높다고 추정됩니다. 여튼 그럼에도 생각보다 위화감 없고 사이즈도 큰 가공 없이 맞는 모습을 보니 신기하기만 하네요.


그릴 하나로 GM대우에서 르노삼성으로 메이커가 바뀌어버린 스테이츠맨. 


조금은 이상한 모습이지만 그 모습 그대로 차생을 마감하는 그날까지 잘 달려주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오늘은 4년만에 돌아온 국회의원선거가 있는 날입니다.


물론 지난 이틀동안의 사전투표에서 한 표를 행사하신 분들도 계시겠지만, 저는 어짜피 임시공휴일인 선거일에 쉬는지라 사전투표 대신 본 선거일인 오늘 투표를 하고 왔습니다. 직접 프린터에서 투표용지를 출력해주는 사전선거와는 달리 이미 유권자 수만큼 인쇄해놓은 본선거용 투표용지가 버려지는게 아까워 본 선거일에 가는것도 아니라면 아니지 않네요.


여튼 홍북읍 제 4 투표소에서 투표를 마쳤습니다.



사전선거는 충남도서관에서 진행되기에 본 선거일에도 충남도서관에서 투표를 하는지 싶었습니다만, 예년처럼 교육청에서 선거가 진행되었네요. 2016년에 이사 오기 전 국회의원 선거 투표를 했었으니, 사실상 홍성에 와서는 처음 맞이하는 국회의원 선거입니다.



대충 씻고, 홍북읍 제 4 투표소를 향해 달려갑니다.


평화로운 임시공휴일 오전. 투표를 위해 가족단위로 나온 사람들이 대부분입니다. 전반적으로 도로도 한산하네요. 킥보드를 타고 나갈까 하다가 그냥 차를 타고 나왔습니다. 나들이 가기 좋은 날씨입니다만, 여러모로 강도높은 사회적 거리두기를 실천해야 하기에 아쉽기만 합니다.



오늘의 선곡은 나래 -호랑풍류가.


흥겨운 명곡이죠. 호랑풍류가를 빵빵한 사운드로 들어가며 투표소를 향해 갑니다. 내포신도시 내에 총 다섯곳의 투표소가 존재합니다만, 다들 아파트단지 옆 초등학교와 중학교가 투표장인데 이유는 모르겠지만 제가 사는 아파트만 교육청으로 오라고 하더군요. 살고있는 아파트와 근처 오피스텔의 유권자들이 투표를 합니다.



홍북읍 제4투표소.


충남대로에서 교육청과 경찰청 방향으로 우회전 하여 교육청 안으로 들어와야 합니다. 딱히 주차장을 안내해주는 사람은 없었지만, 그래도 그동안의 경험대로 들어가 주차장에 주차를 합니다. 생각보다 차도 있고 사람도 있네요.



충청남도교육청. 


투표를 위해서는 정문 옆 우측 1층 강당 방향으로 들어가야 합니다. 화창한 날씨를 만끽하며 주차장에서 투표장을 향해 살살 걸어갑니다.



투표장 입구 앞. 방진복을 입으신 분이 무섭게 느껴집니다만, 투표장 진입 전 체온을 체크하십니다.


요즘은 어딜가나 체온체크가 일상화 된 느낌입니다. 투표소에 들어가기 전 체온을 체크하는데 별 이상이 없어 투표소로 진입 할 수 있었습니다.



물론 사람이 하나둘씩 끊임없이 오긴 했습니다만, 줄을 서는 수준까지는 아녔습니다.


사회적 거리두기를 실천하자며 발자국 모양의 종이를 거리를 띄워서 놓았네요.



홍북읍 제 4 투표소.


들어가니 손소독제를 짜주고, 비닐장갑을 두개 줍니다. 손소독제가 다 마르기 전인데 비닐장갑을 껴야 한다고 합니다. 여튼 비닐장갑을 끼고 신분증과 마스크를 내려 얼굴을 확인하고 선거인명부에 정자로 서명을 한 뒤 투표용지를 받았습니다.


실제로 보니 압박감이 드는 48cm의 비례대표 투표용지와 총 세명의 후보가 출마하여 짧은 길이의 평범한 지역구 투표용지를 받았네요. 비례대표 정당투표는 일찌감치 어느 정당에 투표할지 결정했지만, 지역구 후보는 오늘 아침까지도 결정하지 못했습니다. 


결국 투표장에 가기 전 최종 결정을 마치고 지역구와 비례대표 모두 착오로 다른 정당이나 후보에 도장을 찍는 일 없이 잘 찍고 나왔습니다.



투표를 마치니 뒷문으로 나가라고 하네요.


지금 이 시간에도 투표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그런고로 제가 어느당과 어느 후보에 투표했다는 얘기는 깨낼 수 없겠죠. 생각해보니 셀카도 안찍었고 투표확인증도 받아오지 못했네요. 막상 나온 이상 뒤로 돌아가기도 뭐하고요. 여튼 그렇게 투표를 마쳤습니다. 국민에게 주어진 소중한 권리. 어느 정당을 찍어도 좋습니다. 별거 아닌 한표라 생각할지 모르겠지만, 투표장에 가지 않은 당신은 정치인 욕을 할 자격이 없습니다.


여튼 즐거운 마음으로 개표방송을 지켜보는 일만 남았네요. 

2021년에는 선거가 없으니 2022년 대통령선거와 지방선거를 기약해야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