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지난 3월에도 비슷한 내용의 포스팅을 했었죠. 호주대사관 1호차 에쿠스가 버스전용차로를 타고 넘어가는 모습을 목격한 내용입니다. 그 이후로도 오랜만에 경부고속도로에서 외교용 번호판을 달은 차량이 버스전용차로를 유유히 달리는 모습을 보았습니다.


지난 포스팅을 보시고 해당 사안에 관심을 가지시던 조선일보 기자분께서 취재를 해서 기사를 썼지만 공개되진 못한걸로 알고있습니다. 너무 상습적인 사안이라 그랬던걸까요? 지난번에 에쿠스를 목격했던 위치와 그리 멀리 떨어지지 않은 자리에서 버스전용차로를 타는 투싼을 발견했습니다.



경부고속도로 상행선. 여성특별시 아니 엄마특별시라 적힌 높은 건물이 보이는 곳.


저 큰 건물이 포은아트홀 건물로 알고 있으니 죽전 조금 못가서 보지 않았나 싶습니다. 저 큰 건물을 기준으로 자세한 위치를 로드뷰에서 찾아보니 경부고속도로 서울방면 396km 지점 부근이네요.


단속이고 뭐고 유유히 버스들과 함께 버스전용차로를 달리는 투싼의 모습입니다.



번호는 8번으로, 서열이 그리 높은 차량은 아니네요.


그 외 국가의 특정이 가능한 국기나 스티커같은 부착물은 없었습니다. 애초에 타국 외교용 번호판이 타국 외교관에게 특혜를 주기 위해 발급되는 번호판이고, 교통법규를 위반하더라도 비엔나 협약에 따라 자진해서 범칙금을 납부하지 않으면 따로 집행을 할 수 있는 방법도 없습니다. 그렇지만 이렇게 당연하게 교통법규를 위반하는 모습을 그저 계속 보고있자니 마음이 편하지도 않습니다.


지난번에는 혹여나 싶어 신고를 하지 않았지만, 이번에는 처리 과정이 궁굼하여 직접 '목격자를 찾습니다'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신고하였습니다.



신고 과정은 캡쳐기능이 막혀있어 캡쳐를 하지 못했고, 접수가 완료되었다는 알림이 뜬 모습입니다.


일반 차량들과 같은 절차를 거쳐 처리될지 아니면 담당 경찰관 선에서 반려가 될지는 모를 일입니다만 일단 지켜보기로 합시다. 대한민국에 상주하고 계신 각국의 공관과 국제기구에서 근무하시는 대사 이하 직원여러분. 한 국가를 대표하여 파견된 여러분과 조국의 위상을 생각해서라도 교통법규는 잘 지키고 다니셨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경남 서부권역을 대표하는 중심도시 진주.


인구 36만 수준의 경남 서부권역 거점도시로 왜군 장수를 껴안고 촉석루에서 뛰어내린 조선시대 기생 논개와 진주 시내를 가로질러 흘러가는 남강의 유등축제로 유명한 지역입니다. 창원 김해로 대표되는 경남 동부와, 여수 순천 광양으로 대표되는 전남 동부지역 사이에 끼어있습니다만, 산업보다는 관광지로 유명합니다.



진주시에는 시외버스와 고속버스터미널이 분리되어 있습니다. 물론 거리도 그리 가깝진 않고 말이죠. 시외버스터미널은 장대동에, 고속버스터미널은 칠암동에 소재해 있습니다.



1973년에 준공된 아주 오래된 건물입니다.


가끔 동양고속 차량들도 보이긴 합니다만, 대다수 운행 차량이 중앙고속 소속이고 중앙고속에서 운영하는 중앙고속 터미널이라 봐도 무방합니다.



요금표입니다. 일부 노선은 시외버스와 행선지가 겹치기도 합니다.


서울(강남),동서울,원주,인천,성남,용인(신갈),수원,광주,대구,대전,고양행 버스가 존재하며, 대구 광주행 차량을 제외하고는 인삼랜드 환승센터에 정차합니다.



서울행은 평일과 주말(금~일) 시간표가 조금 다릅니다.


새벽 4시 40분부터 시작해서 낮에는 10분에서 20분 간격으로, 밤에는 30분~1시간 간격으로 밤 12시까지 버스가 존재합니다. 서울행 버스만 평일엔 일 60회, 주말에는 80회 가까이 있다고 보면 됩니다.


그 외 용인 동서울 성남 대전행 버스는 1일 5회 대전행은 1일 6회. 원주행은 1일 2회 운행합니다.

인천행은 1일 7회, 고양행은 1일 4회 광주행은 1일 9~10회 운행합니다.

대구행은 1일 15회, 수원행은 요일별로 시간표가 다르니 잘 확인하셔야 합니다.

시외버스와 마찬가지로 개양정류소를 경유하거나 혁신도시를 경유합니다.



40년이 넘은 터미널인지라 승강장은 생각보다 좁았습니다.


양쪽으로 버스가 마주보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었고, 행선판을 보고 탑승하는 형태였습니다. 진주도 그리 작은 도시는 아니니 언젠가는 시외버스 터미널과 함께 종합터미널로 통합되어 혁신도시나 도시 외곽으로 이전하여 새 건물이 올라가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상 논개의 고장. 진주의 고속버스터미널 이야기를 마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