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뭐 제 인생이 풀리는 일이 있냐 싶다만은, 킥보드를 타고 가다 사고가 났습니다.


한 면소재지를 지나며 갓길을 타고 달리고 있었는데, 저를 추월해서 나갔던 승용차가 상가 방향으로 우회전을 하면서 결국 그 차의 조수석 뒷문과 충돌하였고 킥보드는 차체 아래로 들어가 차량에 깔려버렸습니다.



SM6 뒷바퀴에 깔린 킥보드의 모습입니다.

뒷문짝은 판금이 불가할 정도로 움푹 들어갔고요.


그렇습니다. 반사적으로 차를 피해 안쪽으로 들어가다가 차량과 충돌한 뒤 킥보드는 차 밑으로 깔려들어갔습니다. 저는 오른쪽 어깨와 팔뚝으로 차량과 추돌한 뒤 피해를 최소화 시키는 자세로 굴러떨어졌네요.


핸드폰 거치대는 따로 떨어져 나왔고, 킥보드 핸들은 그대로 밟혀있습니다. 넘어진 자리에서 일어나서 본 상황은 대충 이랬습니다. 그래도 머리는 다치지 않았습니다. 일단 차를 빼고 사고처리를 진행합니다. 자동차 아니 하다못해 오토바이만 하더라도 책임보험에 의무적으로 가입하도록 법으로 강제하고 있습니다만, 킥보드는 그런류의 보험도 단체보험 말곤 없고 그마저도 신차 출고시 1년말고는 보장을 받을 방법이 없습니다.


결론은 과실에 따라 상대 차량 수리비용을 현금으로 지불해야 한다는 얘기겠지요.



차가 깔고 지나간 자리의 킥보드는 일단 그대로 유지시켜놓습니다.


핸들을 밟고 지나간 이상 핸들에 달린 핵심부품들은 다 아작났을테고, 견적을 내도 뭐 신차에 준하는 견적이 나올 것 같습니다. 수리비 비싼 삼성차를 들이받은 사람이 할 걱정은 아니지만, 뭐 여튼 그렇습니다.


일단 어깨로 차체와 충돌했고 굴러떨어지면서 손바닥과 팔꿈치에는 타박상을 입었고, 팔을 몸 안쪽으로 굽히며 당장은 아녔지만 시간이 조금씩 지나니 갈비뼈를 건드려 늑골에 통증이 옵니다. 



SM6 문짝은 꽤나 심하게 들어갔습니다.


사이드스텝 몰딩과 문짝 그리고 상단의 크롬몰딩까지 총 세판이 파손되었네요. 여러모로 수리비가 비싼 삼성차라 수리비 걱정도 하고 있습니다. 여튼 보험사 출동직원이 와서 대인 및 대물 접수를 하고 택시를 타고 차를 찾아 집 근처 병원으로 향했습니다.


X-RAY를 촬영하고, 타박상을 입은 자리에는 드레싱을 했습니다. 당장 소견상에 보이는 골절은 없어보이네요. 늑골의 경우 숨을 쉬다가 뼈에 금이 간 모습이 보일 수 있으니 며칠 더 지켜봐야 한다고 합니다. 


여러모로 일상배상책임보험으로 처리가 된다면 좋겠습니다만, 일상배상책임보험은 무동력장치에 한해 활용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자전거나 일반 킥보드를 타고 가다가 타인과 사고나 났다면 모를까 전기자전거나 전동킥보드는 원동기이다보니 해당이 없다고 하네요. 여러모로 일도 없는데 힘들게 되었습니다.


뭐 보험사끼리 싸우는것도 아니고 보험사와 개인이 서로 따져봐야 개인의 힘이 얼마나 있겠습니까. 요즘 풀리는 일도 없고 되는일도 없는데 암담하기만 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지난달로 기억하네요. 갑자기 공기압이 빠져 경고등이 들어와 긴급출동을 불러 지렁이를 떼웠었죠. 



그리고 대략 4~50일이 지난 시점에 와서 또 공기압 경고등이 뜹니다. 아 물론 같은 타이어에서 말이죠. 지렁이를 박았던 자리가 아마 다 닳아서 또 공기가 새는게 아닌가 싶은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렇습니다. 지렁이를 박았던 자리에서 아마 또 새지 않나 싶네요.


대략 39-40에 가까운 공기압이 표시되고 있지만, 우측 앞바퀴만 저압이라는 문구가 떠 있습니다. 진짜 타이어를 교체하던지 해야겠다는 생각이 드는데 가뜩이나 재앙급 불경기에 돈도 없고 하다보니 막상 며칠 또 지렁이 박고 타야겠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여튼 학원에 거의 다 와서 경고등이 들어왔던지라, 살살 학원에 가서 세워놓습니다.



뭐 육안상으로는 크게 문제점이 보이지 않습니다만, 안쪽에 지렁이를 박았던 자리에서 새고 있습니다.


일단 점심을 먹으러 나가야 하니 긴급출동을 부르기로 합니다. 긴급출동을 불러 또 지렁이를 다시 박고 밥을 먹으러 나가야죠. 타이어를 교체하자니 무엇보다 2월부터 계속 적자를 보며 모아둔 돈을 까먹고 사는 한푼이 아까운 거지새끼고, 아직 트레드가 가을까지 버틸 수준으로 남아있어 아깝기도 합니다. 


답은 타이어를 도리까이(탈거 후 재장착)하여 트레드가 얼추 다 닳을때까지 쓰는 방법 말곤 없어보이지요.



지루한 기다림 끝에 긴급출동 렉카가 도착하였습니다.


상황을 설명하고 어디서 바람이 빠지는지 확인해보기로 합니다. 주차된 차를 뒤로 살살 빼면서 바람이 새는 부분을 확인합니다. 다른 타이어의 공기압도 겸사겸사 체크합니다.



미세하게 공기압이 빠지는 모습이 보입니다.


대략 7,000km를 타고 지렁이가 다 닳아버렸습니다. 원인은 편마모인데, 가장 싸게 해결하는 방법은 도리까이가 아닐까 싶습니다. 트레드를 봐도 무조건 가을까지는 탈 수 있을테니 가을에 타이어를 교체하며 휠 얼라인먼트를 다시 보는게 가장 경제적으로 탈 수 있는 방법이 아닐까 싶습니다.


작년만 같아도 그냥 크게 마음먹고 휠 얼라인먼트를 보고 타이어를 교체하겠습니다만, 올해는 너무 힘듭니다. 그냥 하루하루가 재앙이라 그럴 여유조차 없습니다.



여튼 지렁이를 다시 박았습니다.


가까이에서 보면 트레드가 얼마 남지 않은듯 보이지만, 그래도 아직 절반은 남아있습니다. 일단 지렁이를 다시 박고 타니 별다른 문제는 없네요. 또 안쪽으로 타이어를 파먹으며 얼마 타지 않은 시점에서 바람이 빠지는 일을 방지하기 위해 엔진오일 교체와 함께 타이어의 도리까이도 필히 진행하는걸로 해야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